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위상적인 미래를 엿보다
수학동아
l
2016년 12호
외과 의사이자 해부
학자
인 줄리어스 울프는 많은 사람의 뼈를 해부해 본 결과 패턴을 발견했다. 그리고 1892년에 사람이나 동물의 뼈는 받는 압력에 따라 변형된다는 ‘울프의 법칙’을 발표했다. 뼈가 환경에 따라 스스로 최적화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엄밀한 증명이 있었던 건 아니고, ... ...
Intro. 백두산 폭발 대해부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백두산이 동아시아에서 가장 활동적인 화산임을 알게된 것은 30여 년 전. 백두산에서 1100km가량 떨어진 일본 북부 지방에서 백두산에서 폭발한 것으로 보이는 화산재층이 발 ... 가다Part 2. 백두산 최신 연구 업데이트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Part 4. “나는 백두산 화산
학자
다 ... ...
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백두산 천지에 고인 약 20억t의 물은 폭발 시나리오의 중요한 변수 중 하나다.일부가 상승하는 마그마의 열에 데워져 부피가 팽창하면 천지의 수위가 순식간에 높아진다. 이것이 장 ... 2. 백두산 최신 연구 업데이트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Part 4. “나는 백두산 화산
학자
다 ... ...
Part 2. 내 안에 펼쳐진 나만의 우주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따라 가지를 친 게 아니라, 사방팔방으로 수많은 혈관들이 뻗어 나간 셈이다.영국의 물리
학자
이자 과학저술가인 필립 볼은 저서 ‘가지’에서 혈관이 고유한 프랙탈 구조를 띠는 이유는 혈관모세포에서 자라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혈관모세포가 혈관내피 성장인자라는 단백질분자를 ... ...
[Tech & Fun] 고요한 시대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안 되었다. 그렇게 간단히 한두 단어로 후려칠 일이 아니었다.그래서 영희는 언어
학자
가 되기로 결심했다. 언어가 그날을 모독하고 현상을 바꾸었기에. 세상을 지배하는 것은 언어고, 사람의 마음은 언어에 담기고, 경험은 사라지고 언어만이 남는 것을 뼈저리게 느꼈기에.영희는 마인드넷에서 ... ...
Part 1. 생물들이 빠르게 사라지고 있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년에 2000종이 사라진다?지금까지 과학적으로 분류된 종은 약 200만 종이에요. 하지만 몇몇
학자
들은 최대 1억 종이 살고 있다고 이야기해요. 이렇게 전문가들의 의견마저 엇갈릴 정도로 우리는 아직 지구상에 살고 있는 생물의 수를 정확히 알지 못해요.하지만 지구상의 종 수와 상관없이 대부분의 ... ...
[Tech & Fun] 스티븐 킹의 역작 ‘살렘스 롯’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연구하고 있는데요. 내년 하반기에 연구 결과가 나올 예정이라고 하네요.하지만 일부
학자
들은 이런 연구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합니다. 아직 쥐에게서만 증명됐을 뿐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너무 대규모의 실험을 한다는 겁니다. 더구나 암브로시아는 임상에 참여하는 ... ...
[Editor’s note] 도전! 노벨상 따라잡기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문제를 보고도 ‘쫄지’ 않으리라고 믿습니다. 누구도 풀지 못한 난제에 도전하는 건
학자
의 몫이요, 다른 이의 성과를 이해하는 건 우리같이 배우는 사람의 몫입니다. 그동안 수학동아에서 접한 지식을 동원해 도전해 보세요. 그 또한 즐겁지 않을까요?특집 기사는 구부러진 세상을 다뤘습니다. ... ...
[Knowledge] DNA 검사는 정말 만능 열쇠일까?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테이블에 반듯이 누워있는 시체. 서랍에서 족히 10cm는 돼 보이는 주사 바늘을 꺼내 주사기에 연결한 뒤 손가락으로 시체의 쇄골 사이를 꾹꾹 눌러본다. 주사 바늘이 뼈에 걸리지 않고 심장 위쪽에 있는 대동맥까지 닿을 수 있는 길을 가늠하기 위해서다. 대동맥에서 채취한 피는 DNA 검사를 위해 일부 ... ...
[Interview] 우주생물
학자
의 ‘발칙한’ 문명 재건법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경제
학자
레너드 리드는 1958년 ‘나는 연필입니다(I, Pencil)’라는 논문을 썼다. 원료를 제공하는 곳과 생산수단이 따로 흩어져 있기 때문에 연필이라는 지극히 단순한 도구를 만들어낼 능력과 자원을 동시에 가진 사람이 지구에 더 이상 없다는 것이 결론이었다. 산업화와 전문화의 그늘을 지적한 ...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