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주얼 과학교과서] 장미꽃 뒤의 검은 그림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다리!‘뿌리 깊은 나무는 바람에 흔들리지 않는다.’조선시대 세종대왕 때 집현전 학자들이 쓴 ‘용비어천가’의 내용 중 일부분이에요. 뿌리가 깊을수록 나무가 튼튼하다는 말로, 식물을 지탱하는 뿌리의 ‘지지작용’을 설명하기도 하지요.뿌리는 꽃과 잎, 줄기와 달리 땅속에서 식물이 살아가는 ... ...
- [수학 뉴스] 갈대 같은 내 마음 수학이 더 잘 안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마음을 수학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요? 최근 미국 사회학자들은 사람들의 생각이 변하는 모습을 수학 모형으로 만들었습니다.노아 프리드킨 미국 캘리포니아대 산타바버라 사회학과 교수는 9년 전 미국이 이라크를 침공하는 동안 미국인의 믿음이 어떻게 변했는지 수학으로 증명했습니다. 처음에 ...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끼이익’ 컨테이너 철문을 열자 돌이 무더기로 쌓인 선반이 눈에 들어왔다. 뽀얀 돌먼지를 뒤집어쓴 컨테이너 내부는작업 중인 채석장을 연상시켰다. 11월 2일 오후 1시, ... 가다Part 2. 백두산 최신 연구 업데이트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Part 4. “나는 백두산 화산학자다 ... ...
- [Knowledge] 우주에는 정말 중심이 없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하나의 점에서 시작하는 것과 같은 원리다. 우리가 알고 있는 ‘빅뱅 우주론’이다.일부 학자들은 이런 에너지의 특이점을 피하기 위해, 프리드만이 가정했던 공간적인 균일을 넘어 시간을 포함한 시공간의 균일을 도입했다. 이들은 팽창과 함께 우주밀도가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팽창하는 ... ...
- [Knowledge] 뒤섞인 시체들의 신원 파악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문제를 해결하려는 법의인류학자의 노력은 계속됩니다. 언젠가 한국에도 법의인류학자들이 깊이 있는 연구를 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기를 바라면서 연재를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 ...
- [Tech & Fun] 직장과 집만 고집하는 당신, 변해야 ‘동안’된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집에서 홀로 편안히 여유를 즐기는 것도 효과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여러 분야의 학자들은 좋아하는 사람들을 적극적으로 만나 편안한 마음 상태를 만드는 것이 해법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미국 워싱턴주립대 심리상담학과 티모시 처치 교수는 2014년, 미국과 중국, 필리핀, 일본 등 문화권을 ... ...
- [Tech & Fun] 범인의 마음을 해킹하다 ‘멘탈리스트’와 ‘라이 투 미’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표정의 변화를 관찰하는 이들도 있습니다. 드라마 ‘라이 투 미’의 천재 심리학자 칼 라이트만은 약 0.2초 동안 잠깐 드러나는 표정으로 용의자의 거짓말을 알아차립니다. 라이트만의 모델로 알려진 폴 에크먼 박사는 40여 년 동안 미세 표정을 연구한 이 분야의 대가입니다. 그는 사람의 표정을 ... ...
- [Info] “노벨상 수상 업적 한 자리에”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나와 위상수학을 설명하고, 물질에서의 의미를 명쾌하게 풀어줬다.과학동아 독자와 과학자가 직접 만나는 ‘과학동아카페’는 2017년에도 이어진다. 1년에 8회 개최되며, 주로 두 번째 주 토요일 오후에 열린다(강연자 사정에 따라 약간씩 달라진다). 유료 강연(2만 원)이지만, 과학동아 정기구독자는 ... ...
- Part 4. “나는 백두산 화산학자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독일에 있는 북한 대사관에 여러 번 비자신청을 했습니다. 번번이 거절하더군요. 안되겠다 싶어 중국 베이징에 있는 북한 대사관으로 직접 갔죠. 10분 만에 비자를 얻어 곧바로 평 ... 2. 백두산 최신 연구 업데이트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Part 4. “나는 백두산 화산학자다 ... ...
- [Knowledge] 뉴턴에 날개 달아준 여성 물리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교수는 8월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성 고정관념 때문에 여성들이 자신감을 잃고 물리학자가 되는 진로에 불안감을 갖는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18세기 여성들이 이미 보여줬다. 그것은 ‘고정관념’일 뿐이라고 ... ...
이전1531541551561571581591601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