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Editor’s note] 도전! 노벨상 따라잡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문제를 보고도 ‘쫄지’ 않으리라고 믿습니다. 누구도 풀지 못한 난제에 도전하는 건 학자의 몫이요, 다른 이의 성과를 이해하는 건 우리같이 배우는 사람의 몫입니다. 그동안 수학동아에서 접한 지식을 동원해 도전해 보세요. 그 또한 즐겁지 않을까요?특집 기사는 구부러진 세상을 다뤘습니다. ... ...
- Part 1. 이런 게 다 곡선?!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문학은 읽는 사람이 누구냐에 따라 함축된 언어를 색다르게 해석할 수 있다”며, “수학자의 눈으로 시를 바라보면 읽는 재미가 독특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구부러진 세상Part 1. 이런 게 다 곡선?!Part 2. 세상은 구부러졌다Part 3. 자꾸자꾸 굽어가는 ... ...
- [지식] 세계는 스팸과 전쟁 중수학동아 l2016년 11호
-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이듬해 빌 게이츠는 세계 각국에서 온 기업인, 경제학자, 기자 등이 모여 세계 경제에 대해 토론하는 세계경제포럼에서 “2년 안에 스팸메일이 사라질 것”이라고 예언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하고 있는 프로그램으로 스팸메일을 모두 걸러내겠다는 ... ...
- [Knowledge] DNA 검사는 정말 만능 열쇠일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테이블에 반듯이 누워있는 시체. 서랍에서 족히 10cm는 돼 보이는 주사 바늘을 꺼내 주사기에 연결한 뒤 손가락으로 시체의 쇄골 사이를 꾹꾹 눌러본다. 주사 바늘이 뼈에 걸리지 않고 심장 위쪽에 있는 대동맥까지 닿을 수 있는 길을 가늠하기 위해서다. 대동맥에서 채취한 피는 DNA 검사를 위해 일부 ... ...
- [교과연계수업] 멸종위기 생물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동물들이 사람들 탓에 100년 동안 빠르게 사라졌다는 거예요. 그래서 네덜란드 화학자 크뤼천은 지난 2000년에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를 ‘인류세’라고 분류하자는 의견을 내기도 했어요. 석탄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지층을 보고 그 시대를 ‘석탄기’라 부르듯, 인류의 흔적이 남은 이 시기를 ... ...
- [News & Issue] 우주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통찰과, 우리의 삶을 개선하는 혁신을 얻는다. 만약 여러분이 (입자물리학이 아니라도) 과학자가 된다면, 무언가 새로운 것을 최초로 알아내는 사람이 될 기회가 많다. 그건 정말, 말로 표현할 수 없는 특별한 느낌이다 ... ...
- [Knowledge] 그들은 왜 몸집을 줄였을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70cm에 달했다(위 화석 사진). 지금은 대부분의 곤충이 손바닥 하나 크기를 넘지 못한다.과학자들은 곤충이 몸집을 줄인 이유가 지구 대기 중의 산소 포화도가 줄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 이유는 곤충의 호흡 방식에 있다. 곤충은 기공이라는 구멍을 통해 숨을 쉰다. 기공을 통해 들어간 산소는 ... ...
- [Tech & Fun] 러시아 과학원 레베데프 물리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물리연구소는 러시아 과학의 시작이라고 불립니다. 설립은 1934년 광학 분야 물리학자 세르게이 바빌로프가 했지만, 18세기 표트르 대제가 과학을 육성시킬 목적으로 설립한 연구소가 모태기 때문입니다. 체렌코프 효과, 위상 안정성의 원칙, 열핵융합 기술 등 기초과학 분야에서 그동안 뛰어난 연구 ... ...
- [재미] 기하학의 아버지? 수학의 아버지!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책을 만들게 됐다고 말하기도 했다.어떤 이유든 유클리드의 책이 이후의 많은 수학자에게 영향을 끼친 건 틀림없는 사실이었다.단은 경탄하며 유클리드를 바라보고 있었다. 그때 유클리드가 나직하게 한마디 했다.“제 책에는 지금 이 상황을 나타내고 있는 공준도 있어요.”“무엇인가요 ... ...
- [과학뉴스] 우주 속 은하는 1000억 개가 아닌 1조 개!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천문학자들이 생각했던 것보다 10배나 많은 은하가 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노팅엄대 물리·천문학부 크리스토퍼 콘셀라이스 교수팀은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심우주 영상을 모아 3차원으로 변환했다. 사진에는 별들이 2차원 평면에 배열돼 있지만 사실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 ...
이전1551561571581591601611621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