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술과 안전, 맹목적 기대 경계해야│심지원 동국대 철학과 교수과학동아 l2021년 08호
- 것 같다.편리함이 좋은 가치라는 것은 부정하지 않는다. 전치형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는 저서 ‘사람의 자리’에서 ‘가벼운 기술에는 무거운 것들이 숨어 있다’라고 적었다. 미래 모빌리티도 마찬가지다. 이동이 지금보다 쉬워지고 간단해질테지만 그 이면엔 분주하게 움직여야 하는 ... ...
- 미래 모빌리티 도시 공간구조를 바꾸다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인류의 기술문명을 돌아보면 모빌리티 기술은 도시환경 변화와 분명한 상관관계를 보인다. 자동차의 등장이 대표적이다. 자동차 기술의 상용화와 이어진 대중화는 도시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1908년 미국의 헨리 포드가 ‘자동차 가격은 노동자나 서민이 구매할 수 있을 정도로 낮아야 한다’ ... ...
- [인터뷰] "만화로 수학 공부했어요" 이혜성 아나운서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8호
- 하셨어요. 그때부터 방송일을 꿈꾸게 됐어요. 또 수업 시간에 제가 발표하는 것을 본 교수님이 “아나운서를 하면 잘할 것 같다”고 말씀해 주셔서 용기를 얻었어요. 어수동 아나운서가 되는 데에도 수학이 도움이 되나요? 논리적으로 생각하고 말하는 데에 수학 공부가 도움이 돼요. 수학에서는 ... ...
- [몬스터를 잡아라!] 나 잡아봐라~! 변 몬스터와 오각형 몬스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8호
- +놀이북21쪽과 함께 보세요! “으아아아악! 나 과자 아니고 변 몬스터야~.”이게 무슨 소린가 하고 주위를 둘러보니 오각형 몬스터가 변 몬스터의 뒤를 쫓고 있네요. 변 몬스터가 초콜릿이 묻은 막대 과자와 닮아서 헷갈렸나 봐요. 게임을 즐기면 두 몬스터를 잡을 수 있어요. 몬스터를 잡으러 떠나 ... ...
- [만렙!디지털 리터러시] 이 뉴스, 믿어? 말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살균할 수 있다’는 가짜뉴스가 퍼진 적 있어요. 과학적 근거가 없을 뿐더러, 한 대학교 교수의 이름을 사칭한 허위조작 정보였지요. 이처럼 정보가 과도하게 쏟아지면서 사람들이 무엇이 올바른 정보인지 제대로 판단하지 못하는 현상을 ‘팬데믹’에 빗대어 ‘인포데믹(Infodemic)’이라고 해요. ... ...
- [수학뉴스] 어릴 때 공간추론능력이 수학 실력 결정한다수학동아 l2021년 08호
- 만 3세 때 공간추론능력이 더 높았던 아이들을 따라잡지 못한 것이죠. 뫼링 교수는 “매우 어린 나이에 공간추론능력을 키울수록 수학 실력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라며 “공간추론능력을 높이기 위해 ‘크게, 길게, 위, 아래’ 등의 공간 언어를 자주 사용하거나 블록 쌓기와 같은 입체 ... ...
- [특집] 새로운 세상 메타버스가 온다!수학동아 l2021년 08호
- 나온 메타버스가 갖춰야 할 조건은 있습니다. 이병호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는 플레이에 제약이 없는 높은 자유도가 보장된 ‘오픈 월드’, 아이템이나 월드를 사용자가 직접 제작할 수 있는 ‘사용자 기여도’, 제작된 상품을 판매하는 등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사용자의 수익 구조’, ... ...
- [특집] 약일까 독일까?수학동아 l2021년 08호
- 규제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죠. 이병호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는 “메타버스는 또 하나의 사회이기 때문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단체가 각자 다른 방법으로 노력해야 한다”며 “국회는 관련 법을 제정하고, 교육계는 올바른 가치관을 가르치고, 과학자는 기술을 개발해야 ... ...
- [기획] 묻고 더블로 가? 공룡 대멸종, 소행성 이중 충돌로 일어났다?수학동아 l2021년 08호
- 방해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다만 이정현 충남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교수는 “동위원소를 이용한 연대측정법은 오차가 1% 내외로, 약 6600만 년 전이라면 오차 범위는 66만 년이다. 따라서 다른 방법으로 추가 연구가 진행되면 정확한 시점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며 연구에 대한 ... ...
- [IBS 수학동아 수학동아 l2021년 08호
- 계속되고 있으며, 우리는 3권의 공동 저서와 논문 15여 편을 출판했다. 플로어 교수가 하다가 멈춘 연구를 이어받거나 다른 수학자와 함께 연구해 나의 연구 여정을 채운 것처럼, 내가 풀다 만 문제를 또 다른 수학자가 이어받아 그의 연구 여정을 채워나가고 있다. 수학자가 하는 모든 연구가 바로 ... ...
이전1611621631641651661671681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