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쌍쌍
듀오
한 쌍
뉴스
"
둘
"(으)로 총 2,015건 검색되었습니다.
[2015년] 일반상대성이론의 마지막 선물
2016.02.12
앞으로 ‘멀티메신저 천문학’이라는 새로운 분야가 뜰 것이다. 중력파와 전자기파를
둘
다 이용해 관측효과를 극대화하는 걸 말한다. 초신성이나 감마선 폭발처럼 우주에 거대한 일이 벌어질 때 중력파가 나온다. 이후 수 초~수 일간 감마선과 X-선, 뉴트리노가 쏟아지며 광학적인 후광이 지속된다. ... ...
[2013년] 우주에 퍼지는 시공간의 물결, 중력파
2016.02.12
물리학자 러셀 헐스와 조셉 테일러는 쌍성을 이루고 있는 중성자별을 발견했다. 이
둘
사이의 거리는 매우 가까워서 8시간마다 한 바퀴씩 서로 공전했다. 정밀하게 관측한 결과 두 중성자별은 조금씩 가까워지고 공전주기도 조금씩 짧아지고 있었다. 중력파가 나오면서 그만큼 에너지를 잃고 있기 ... ...
태양계에서 가장 거대한 얼음 화산
과학동아
l
2016.02.10
NASA 제공 명왕성의 비밀이 하나
둘
밝혀지고 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지난해 뉴호라이즌 호가 촬영한 명왕성 남극의 화산 ‘라이트몬스(Wright Mons)’의 사진을 1월 15일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라이트몬스는 너비가 약 160km, 높이가 4km로 지구에서 가장 높은 에베레스트산의 절반 정도다. ... ...
설날 묻지 말아야 할 질문 3가지
2016.02.07
조언 해주시길 권유 드립니다. 칭찬은 다른 사람 앞에서 큰 소리로 하고, 충고는
둘
이 만나서 조용히 해주는 것입니다. 행복한 설 명절 되시길 바랍니다. ※ 필자소개 박한선. 경희대 의대 및 대학원을 졸업하고 이대부속병원 전공의 및 서울대병원 정신과 임상강사로 일했다. 현재 ... ...
연기 잡으러 베트남 간 한국 대학생들
2016.02.05
긴 파이프 하나씩만 있으면 된다. 폐유 통에 짧은 파이프와 긴 파이프를 나란히 꽂고
둘
을 연결한 뒤 짧은 파이프에 장작을 집어넣는다. 긴 파이프 위에는 연통을 설치한다. 그런 다음 장작을 태우면 양쪽 파이프에서 기압 차가 생겨 장작이 탈 때 나오는 연기가 짧은 파이프로는 안 퍼지고 긴 ... ...
[반려동물 1000만 시대, 개와 고양이의 과학 ③] 스트레스 받으면 음악을
2016.02.04
pixabay 제공 사람들은 말 못하는 반려동물이 무엇을 요구하는지 정확히 알기가 힘들다. 특히 고양이는 성격이 민감해 주변 환경에 변화가 생긴다면 주인들을 골치 아프게 하기도 한다. 새 이불 위에 소변을 보거나 책상 위의 물건을 일부러 떨어뜨리는 등 ‘못된’ 행동을 하는 것이다. 많은 이들 ... ...
팡! 물풍선이 터진다!
수학동아
l
2016.02.03
공이 부딪혔다가 튕겨 오르면서 벽돌을 부숩니다. 좌표에서 점이 선 위에 놓여 있다면
둘
이 충돌했다고 볼 수 있지요. 수학동아 제공 이것을 쉽게 보기 위해 수학에서는 ‘맨해튼 거리’를 이용합니다. 대각선을 생각하지 않고 가로 와 세로만 고려해 거리를 재는 방법이지요. 예를들어 2차원 ... ...
[반려동물 1000만 시대, 개와 고양이의 과학 ①] 달라도 너무 다른
둘
2016.02.02
요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가득 채우고 있는 가장 ‘핫’한 친구 고양이. 하지만 이
둘
은 사람과 가장 가까운 반려동물이라는 공통점 외에는 습성이나 생활 방식이 전혀 다르다. 고양이가 물을 마시기 직전의 모습. 혀를 살짝 구부린 것을 볼 수 있다. - 로만 스토커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 ... ...
지카 바이러스에 대해 궁금한 12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6.02.02
출혈이 있기 때문입니다. 뎅기열 역시 모기가 매개하는 전염병이기 때문에 일반인은
둘
을 구분할 수 없습니다. Q12. 또다른 주의 사항은 없나요? A. 바이러스에 일단 감염됐다면 또다시 다른 모기에게 물리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카 바이러스는 모기를 매개로 하기 때문에 모기에 의해 ... ...
[서울대 물리학과 편] 1986년 서울, 그들은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6.02.01
“졸업을 앞두고, 옆에 있는 지승훈 교수와 ‘고급물리 실험’을 들었습니다. 당시에
둘
이 실험을 하면서 기계를 많이도 망가뜨렸죠. 그래서 실험은 안 되겠단 생각에 이론으로 방향을 틀었습니다.” _임명신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천체물리) “저도 그때 같이 이론을 하기로 마음 먹었어요. ... ...
이전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