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스페셜
"
우리
"(으)로 총 3,185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여러달 걸릴 실험 며칠 만에 끝내는 '로봇 화학자'의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20.07.11
말했다. 쿠퍼 교수는 “화학실험 장비를 자동화하는 것보다는 연구자를 자동화하는 게
우리
의 전략”이라며 “로봇은 기계가 아니라 능력이 뛰어난 또 한 명의 연구실 멤버로 다른 인간 연구자가 창의적인 일에 몰두할 수 있게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 ...
[프리미엄 리포트] 백신 개발의 뒷이야기
과학동아
l
2020.07.11
알 수 없다. 하지만 ‘역사는 반복된다’는 말처럼, 백신 개발의 역사를 돌아본다면 끝내
우리
는 코로나바이러스를 해결할 답을 찾을 것이다. 늘 그랬듯이 말이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과학동아 7월호 Chapter 06. 백신┃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 세포에 바이러스를 기억시켜라 생백신 ... ...
코로나19 위험국 입국자 PCR 음성 확인서 제출 의무화
동아사이언스
l
2020.07.10
국내 지역사회 감염으로 확산할 가능성은 거의 없으나 격리와 치료 등이 필요한 만큼
우리
방역과 의료체계에 부담을 줄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달 23일부터 코로나19 감염 위험도를 평가해 방역강화 대상국을 지정하고 비자와 항공편 제한 등의 조치를 시행해 왔다. 일주일 단위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전자기학의 완성
2020.07.09
제시했다. 지구가 우주에 퍼져 있는 에테르 속을 날아다니니까 지구 표면에 있는
우리
입장에서는 에테르 바람이 한쪽으로 불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렇다면 에테르가 부는 방향과 그렇지 않은 방향으로 빛의 속도가 달라질 것이다. 당대의 많은 과학자들이 비슷한 아이디어로 실험에 ... ...
코로나19 전파 연결고리 '소셜 버블' 끊을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7.08
거품 속에 있다고 생각하라”며 “바이러스가 거품 안에 없고
우리
가 거품 속에 있다면
우리
는 안전하고 삶을 지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뉴질랜드는 감염자 수가 빠르게 줄며 봉쇄를 3단계로 완화하며 거품을 조금 확장했다. 아던 총리는 “간병인을 데려오거나 고립된 사람을 지원하기 위해 ... ...
태양 주변서
우리
은하서 태어나지 않은 '의붓별' 무리 찾아내
연합뉴스
l
2020.07.08
면서 "이런 자료에 적응하려면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으며,
우리
가 변하지 않거나 이용방법을 개선하지 않는다면 자료 속에 있는 것들을 놓치게 될 것"이라고 했다. ... ...
WHO "코로나19 공기감염 가능성 인정" 중대본도 '인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7.08
해당 증거가 확정적이지는 않다면서 관련된 분석이 더 필요하다고 시사했다. 그는 “
우리
는 이 증거에 열려 있어야 하며 전염 방식과 예방책과 관련해 그 의미를 이해해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간 WHO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퍼지는 주요 경로로 침방울을 언급해왔다 공기 전파는 5미크론 이하의 ... ...
“코로나19 입원 치료기간 평균 3주. 10명 중 9명 경증”
동아사이언스
l
2020.07.08
정은경 본부장은 “7일 통계청에서 발표한 이동통신 가입자료 분석결과를 보면
우리
국민의 하루 이동량이 코로나 발생 이전 수준까지 늘었다고 한다”며 “코로나19 장기화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지만 마스크, 손 씻기 등 개인방역과 사람 간 접촉을 최소화하는 사회적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체중 낙인은 이제 그만
2020.07.07
많은 독설들을 읽고 “여자다움에 관한 사회적 규범들은 아직 사라지지 않았다”며 “
우리
에게서 진정한 삶을 앗아가는 그 규범들을 강제하는 통로가 바로 수치심”이라고 갈파했다. ‘오늘부터 운동뚱’을 계기로 체중 낙인이라는 사회적 규범이 사라지기를 바란다. ※필자소개 ... ...
우주 생명체 '씨앗' 탄소 뿌리고 스러지는 백색왜성
연합뉴스
l
2020.07.07
미만일 때는 그렇지 못한 것으로 분석했다. 이는 지구 생명체 출현에 필수적인 탄소가
우리
은하의 별에 의해 언제, 어떻게 형성돼 약 46억년 전 태양계를 형성하는 물질에 포함됐는지에 대한 범위를 좁혀주는 결과로 평가됐다. 논문 제1저자인 이탈리아 파도바대학의 파올라 마리고 교수는 "이제 ... ...
이전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