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뉴스
"
발표
"(으)로 총 19,778건 검색되었습니다.
항암치료에 쓸 ‘백신 배달부’ 개발됐다
2016.07.20
면역세포로 전달하는 단백질 나노입자인 ‘인캡슐린(Encapsulin)’을 개발했다고 20일
발표
했다. 연구진은 세균의 일종인 ‘서모토가 마리티나(Thermotoga maritina)’에서 분리한 단백질로 이 나노입자를 만들었다. 실험결과 인체내부 조건은 물론 고온에서도 매우 안정적이었다. 연구진은 생쥐실험 ... ...
균과 공생해 뿌리 성장 조절… 나무도 영양분 스스로 찾는다
2016.07.19
확보하는 과정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밝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8일자에
발표
했다. 연구팀은 소나무와 버드나무, 삼나무 등 모두 16종의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이용해 실험했다. 이 결과 대부분의 식물이 뿌리부분에서 균(fungus)과 공생관계를 맺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균은 ... ...
[궁금한 이슈 why] 이름도 들어본 적 없는 ARM이란 회사가 35조원이라고요?
동아사이언스
l
2016.07.19
연결하는 기기와 네트워크의 근간에 ARM의 저전력 반도체 기술이 들어갑니다. 이제 막
발표
가 된 사안이라 앞으로 어떻게 사업을 전개할 지 지켜봐야 하겠지만, 앞으로 소프트뱅크가 그리는 비즈니스의 그림에 밑바탕이 되리라는 기대가 나옵니다. 물론, ARM의 성장성을 염두에 둔 단순 투자일 수도 ... ...
1941년 하이젠베르크는 왜 보어를 방문했을까
2016.07.19
곧 나치에게 날개를 달아주는 걸 의미한다. 연극은 영국 작가 마이클 프레인이 1998년
발표
한 동명의 희곡이 원작이다. 같은 해 영국에서 초연됐고 토니상, 몰리에르상을 수상했다. 우리나라에서도 여러 차례 공연된 인기작이다. 연극은 다양한 관점에서 이 방문을 조명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다 보고 ... ...
닭 대가리보다는 오리 대가리?!
2016.07.19
설명했습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과학진흥회에서 발간하는 과학저널 ‘사이언스’에
발표
되었습니다. ※필자소개 민혜영. YBM시사에서 각종 영어 학습 월간지 및 내셔널 지오그래픽 단행본의 에디터를 거쳐 현재는 프리랜서 외신 번역 및 에디터로 활동하고 있다 ... ...
물고기가 사람의 얼굴을 알아본다?
과학동아
l
2016.07.18
Ltshears(W) 제공 특정 물고기가 사람의 얼굴을 구별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런 능력이 새에게서 관찰된 적은 있지만 물고기에서 발견된 건 처음이다. 영국 옥스퍼드 ... 있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온라인판 6월 7일자에
발표
됐다 ... ...
[캐치 업! 구글(4)] 구글 자체 VR 기기 개발 포기?
동아사이언스
l
2016.07.18
‘데이드림’에 집중될 전망입니다. 데이드림은 지난 5월 열린 구글 개발자 행사 I/O에서
발표
한 안드로이드 단말기용 VR 플랫폼입니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만드는 기업들이 자사 제품에 VR 기능을 구현하도록 해 주는 기술입니다. ※업데이트: 리코드의 보도 이후 또 다른 IT 매체 인가젯이 익명의 ... ...
2014년 아이슬란드 화산피해 줄인 일등공신은 ‘빙하’
동아사이언스
l
2016.07.17
아일랜드대 교수팀은 바우르다르붕가 화산의 진행과정을 분석해 그 결과를 논문으로
발표
했다. 해발 2009m의 바우르다르붕가 산은 아이슬란드 바트나이외쿠 빙하에 위치한 거대한 화산이다. 1910년 폭발한 이후 잠잠하다가 무려 104년 만에 다시 폭발을 시작했다. 2014년 폭발은 유럽에서 관측된 것 중 ... ...
도시 새는 순정파, 바람 피우지 않는다
2016.07.17
대부분 새가 바람을 피우지 않는다는 관찰결과를 학술지 ‘플로스 원(Plos One)’ 15일자에
발표
했다. 매는 일반적으로 낭떠러지에 둥지를 짓고 평생 한 명의 반자와 고립돼 함께 살아간다. 서식지가 넓어 다른 가족과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바람을 피울 기회가 적기 때문에 1부 1처제를 택한다는 ... ...
예쁜꼬마선충의 암수 다른 뇌구조
과학동아
l
2016.07.16
간의 뇌 신경세포 차이가 행동 차이로 이어진다는 연구결과를 ‘네이처’ 5월 4일자에
발표
했다. 연구팀은 예쁜꼬마선충 암컷과 수컷의 뇌 신경세포에 일부 차이가 난다는 데 주목해 각각이 서로 다른 신경망과 연결돼 행동 차이를 만들어낼 것이라고 가정했다. 실제로 유충 단계에서 먹이, 포식자, ... ...
이전
1662
1663
1664
1665
1666
1667
1668
1669
16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