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뉴스
"
발표
"(으)로 총 19,780건 검색되었습니다.
[캐치 업! 구글 (3)] 이미지 인식 스타트업 인수
2016.07.11
보세요. ● 구글 인공지능 스타트업 인수 이번 주 구글은 2곳의 스타트업 인수를
발표
했습니다. 이미지 인식에 강점을 지닌 프랑스의 인공지능 업체 무드스톡스(Moodstocks)와 온라인 동영상 처리 기술을 가진 아반토(Avanto)를 인수했습니다. 무드스톡스는 2008년 파리에서 설립됐으며 이미지 인식을 ... ...
왜 유라시아판은 크고, 필리핀판은 작나
2016.07.10
해구의 위치와 판의 강도라는 사실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밝혀 ‘네이처’ 7일자에
발표
했다. 연구진은 판이 어디서 잘 나뉘는지 알기 위해 3차원 컴퓨터 모델을 만들어 맨틀과 지각의 움직임을 시각화했다. 맨틀은 지구 내부의 유동성 고체로 서서히 움직이며 위에 있는 판(지각과 최상부 ... ...
페르미를 사랑하는 한 물리학자의 에세이
2016.07.10
됐던 2011년 하반기의 사건과, 2012년 오스트리아 빈 공대 연구팀이 ‘네이처 피직스’에
발표
한 ‘불확정성 원리의 오류’에 관한 이슈 등을 풍문 정도로는 들었어야 이해가 쉽다. 풍문으로는 듣지 못했다 해도 하이젠베르크가 제창한 ‘불확정성의 원리’ 정도는 어느 정도 감을 잡고 있어야 ... ...
세균으로 스마트폰 충전?
2016.07.10
구동할 수 있다는 결과를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9일자에
발표
했다. 세균은 인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피부와 호흡기 등에서 우리 몸을 지켜주는가 하면 먹은 음식물을 소화하고 흡수해 생활에 필요한 에너지원을 만들어주기도 한다. 연구진은 세균들이 빽빽하게 모여 ... ...
광(光) 자극으로 조정하는 ‘가오리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16.07.10
미국 스탠퍼드대와 공동으로 생체모방 가오리 로봇을 개발해 ‘사이언스’ 8일자에
발표
했다. 납작한 몸통에 긴 꼬리를 가진 가오리는 머리에서 꼬리까지 웨이브를 타며 빠르게 헤엄칠 수 있다. 에너지 효율도 높아 잠수함이나 비행기 선체 설계에도 활용된다. 연구진은 금으로 가오리와 ... ...
최고의 드론 사진들 ‘주목’
2016.07.10
팝뉴스 제공 ‘드론스타그램’이 주최하는 세계 드론 사진 콘테스트의 결과가
발표
되었다. 위 사진들은 6천 여 편의 사진 중 입상작으로 꼽힌 최고의 드론 사진들이다. 맨 위는 ‘스포츠 모험’ 분야에서 1위를 차지한 사진. 미국 유타의 모아브 암벽을 오르는 등반가를 담았다. 만일 드론이 ... ...
복잡한 알고리듬만큼 어려운 게임?
수학동아
l
2016.07.09
증명해, 지난 6월 이탈리아에서 열린 ‘재미있는 알고리듬에 관한 국제회의’에서
발표
했습니다. ‘계산 복잡도’는 계산 문제를 푸는 알고리듬을 복잡도에 따라 분류해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여기서 P와 NP, NP-하드, PSPACE 등으로 어려운 정도가 나뉘는데, 슈퍼마리오 게임은 매우 어려운 집합에 ... ...
두 달동안 한 번도 땅을 밟지 않고 쉬지 않고 나는 새가 있다?
2016.07.09
아닐까 추정했습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과학진흥협회 주간저널인 ‘사이언스’에
발표
되었습니다. ※필자소개 민혜영. YBM시사에서 각종 영어 학습 월간지 및 내셔널 지오그래픽 단행본의 에디터를 거쳐 현재는 프리랜서 외신 번역 및 에디터로 활동하고 있다 ... ...
브랜드와 상표를 지키는 방법 ③: 중국어 브랜드 명을 만들어야 할까?
2016.07.08
이름을 ‘盖乐世(가이르어스 ; 세상을 기쁨으로 덮는다)’라고 지었다고 대대적으로
발표
했다. 과거 삼성은 2011년 경 Galaxy에 대한 중국어로“盖世(가이스 ; 세상을 덮는다)”라는 중국어 이름을 붙였었는데 이 브랜드가 중국 시장에서 잘 활성화되지 않다 보니 중국어 이름을 포기하고, Gelaxy라는 ... ...
광시계도 맞춰야 보배
과학동아
l
2016.07.08
오차로 맞추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피지컬리뷰엑스(Physical Review X)’ 5월 11일자에
발표
했다. 광시계는 1초에 91억9263만1770번 진동하는 세슘원자보다 더 빠르게 진동하는 원자를 이용한 시계로, 차세대 시간 기준으로 거론되는 기술이다. 하지만 아직 발전단계라 같은 종류의 광시계끼리 시간이 ... ...
이전
1665
1666
1667
1668
1669
1670
1671
1672
16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