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호주 산불로 파괴된 숲, 돌아올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피해 범위가 워낙 넓기 때문에 사람의 손으로 이를 복구하기란 불가능하죠. 가장 중요한 건 ‘앞으로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막는 것’이랍니다. 기후변화의 가속을 막아야 한다는 말이에요. 큰 산불로 인해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지금이 기회라고 생각해요. 목소리를 모아서 정부에 ... ...
- [한페이지 뉴스] 거북 개미의 진화는 거꾸로도 간다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출현했다가 현재는 4종류만 남게 됐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진화 과정에서 특이했던 건 거북 개미의 머리가 커졌다 작아지기를 반복했다는 점이다. 머리 형태의 진화도 일정한 방향성을 보이지 않았다. 디스크형 머리가 개미집 입구를 가장 효율적으로 막을 수 있음에도, 이전의 덜 효율적인 머리 ... ...
- 아로코스, 행성 탄생 이론 뒤집나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살펴본 결과 핵 강착 이론과 정반대라는 결과가 나왔다. 인류가 아로코스를 직접 관측한 건 2019년 1월 1일이었다. 이날 NASA의 무인 탐사선 뉴허라이즌스호는 아로코스로부터 3500km 떨어진 지점까지 접근해 아로코스의 형태와 지형을 촬영하고 표면온도를 측정했다. 아로코스 관측을 마친 ... ...
- [매스미디어] 3000만큼 사랑해, 블랙 위도우수학동아 l2020년 04호
- 깨고 정보를 찾아내거나, 비밀 장소에 침입하는 블랙 위도우의 수학 실력이 뛰어나다는 건 틀림 없겠죠? 마블의 흥행 신화 계속될까? 영화 ‘블랙 위도우’는 MCU 페이즈 1, 2, 3의 23편, 즉 10년에 걸친 ‘인피니티 사가’가 끝나고 페이즈 4의 문을 여는 작품입니다. 주축이었던 아이언맨, 캡틴 ... ...
- 마스크 5부제 실시, 치솟는 마스크 가격 규제 못하는 이유는?수학동아 l2020년 04호
- 보통 균형점에서 가장 큰 값을 갖습니다. 여기에 코로나19를 뿌리면 지금까지 알아본 건 별다른 외부 요인이 없는 평화로운 시장의 모습이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코로나19라는 외부의 큰 충격으로 인해 고정됐다고 가정한 마스크 시장 모형의 상수들이 급격히 변했습니다. 가령 마스크를 ... ...
- [오일러 프로젝트] 200만 이하 소수의 합은 얼마일까? 블랙 위도우수학동아 l2020년 04호
- 수학자가 소수를 찾는 것에 집중했습니다. 하지만 어떤 자연수가 소수인지 알아내는 건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같은 고민을 했던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에라토스테네스는 소수를 찾을 수 있는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생각해냈습니다. 수 전체에서 약수의 개수가 3개 이상인 합성수를 체로 ... ...
- 부품의 세계를 탐험하다! 일렉트론 영웅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진공관 1만 8000여 개가 쓰였기 때문이지요. 이처럼 거대했던 컴퓨터가 작아질 수 있었던 건 ‘트랜지스터’ 덕분이에요. 1947년 미국의 벨 연구소에서 개발한 트랜지스터는 진공관보다 훨씬 작고, 전력 소비량도 20분의 1에 불과했지요. 1954년 벨 연구소가 만든 트랜지스터 컴퓨터 트래딕(TRADIC)은 ... ...
- 코로나19 결말 영화 ‘컨테이젼’ 시나리오 따라가나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바랄 뿐이다. ※필자소개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2012년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8권)’ ‘늑대는 어떻게 개가 되었나’가 있고, ... ...
- [과학동아X긱블] 마동석도 들 수 없는 페인트통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있는 힘껏 당길 때 손잡이가 계속 빠졌거든요. 찬스 님이 달려 나와 빠진 손잡이를 글루건으로 고정했지만, 다음 사람이 드니 또 빠져버렸습니다. 급하게 철물점에서 이런저런 부품들을 구해와 고치는 데 몇 시간이 걸렸는지 모릅니다. 그러다 보니 다른 사람 골탕 먹이는 시간보다 수리하는 시간이 ... ...
- [과학동아 키즈] 인공 뇌 연구의 최전선에 서기까지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졸업할 수 있었다. 이 기간에 내가 국제학술지에 발표한 논문은 8편이었다(연구실 졸업요건의 4배를 달성했다!). 이 시점에서 나는 나노기술을 이용한 반도체 전자소자 연구에 매진하기로 마음을 굳혔다. 깊이있는 연구를 하는 동시에 미래의 동료가 될 후학도 양성할 수 있는 교수가 되겠다는 ... ...
이전1621631641651661671681691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