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즉시
당장에
바로
직접
d라이브러리
"
곧
"(으)로 총 3,232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3번째로 큰 공룡 한국에 왔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계룡이는 걸을 때 발톱을 옆 방향으로 돌릴 수 있다. 이번에 처음 밝혀진 사실로,
곧
국제 학술지에 실릴 예정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는 어른보다 큰 계룡이의 허벅지뼈와 종아리뼈도 직접 만져볼 수 있었다.커다란 화석 옆에는 새끼 공룡들이 막 알을 깨고 나오고 있었다. 미국 몬타나주에서 실제 ... ...
3. 첨단 나노기술로 웰빙의약품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분해되거나 소변을 통해 배설되기 때문이다. 향수를 뿌렸을 때 처음엔 향이 강하다가
곧
사라지는 것과 마찬가지다.둘째로, 우리가 아플 때나 몸에 이상이 있을 때만 약이 공급돼야 한다. 우리 몸은 필요할 때만 반응하는 자극-반응의 자동적인 체계다. 예를 들어 체내에 포도당농도가 높을 때 이를 ... ...
RNA로 유전병 고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혈관 형성을 제어하도록 했다. 임상시험이 성공한다면 RNA라는 새로운 신약 사용이
곧
실현될 수 있는 길이 열린다.RNA 간섭의 ‘능력’ 은 여기서 끝이 아니다. RNA 간섭은 유전병 치료뿐만 아니라 다방면에 걸쳐 응용이 가능하다. 우선 RNA 간섭은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현재 RNA ... ...
자동차 대중화 시대 연 포드 '모델 T'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이를 실현시킬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그에게 새로운 모델은
곧
대중용 자동차를 의미했다. 지금은 미국에서 자동차가 생필품의 하나지만 당시만 해도 비쌌기 때문에 대중이 쉽게 살 수 있는 품목이 아니었다.따라서 그는 가족이 모두 탈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넓으면서도 ... ...
'꿈의 차세대 원자로' 가 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미래에 석유를 대체할 에너지로 손꼽히는 수소를 대량 생산하겠다는 것이다. 과학자들은
곧
자동차에 휘발유 대신 수소를 넣고 휴대전화에 수소 배터리를 달고 다니며 가정에서는 수소 연료전지로 전기를 만드는 세상이 온다고 예상한다.“요즘 ‘수소경제시대’ 라는 말이 유행입니다. 원유값이 5 ... ...
갯벌은 숨쉬어야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이 녀석이 어떻게 모래 속으로 들어가는지.”윤 교수가 민들조개를 모래 위에 내려놓자
곧
작업을 시작한다. 자세히 보니 몸을 세운 뒤 모래 속으로 쏙쏙 들어간다. 조개가 이처럼 다이나믹하게 움직이다니 신기하다.“먼저 발을 모래 속으로 뻗은 뒤 발끝으로 혈액이 몰리게 합니다. 그 결과 발끝이 ... ...
블랙홀 둘러싼 거장과 신인의 싸움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관심을 갖지 않게 됐다. 거장과 신인의 ‘싸움’ 은 일단 휴전상태에 들어갔다.하지만
곧
싸움은 신인들의 승리로 판명났다. 1960년대 펄서, 퀘이사 등 새로운 별들이 관측되기 시작하면서 이들을 해석하기 위해 블랙홀 이론이 다시 등장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아인슈타인의 1939년 논문은 50년 후 ... ...
3. 인터넷 또다른 나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마음은
곧
개인의 정체성을 뜻한다. 사람에 따라 모두 다르지만 개인에게 있어 결코 변하지 않는 존재인 셈이다. 현대사회에서 마음이 다양한 상태로 표현되는 것은 비정상적인 병리적 행동이었다. ‘정신적 해리’ 와 유사한 상태, 즉 ‘다중인격’ (multiple personality)은 이런 마음의 일탈행위를 ... ...
호킹은 왜 자신의 블랙홀 이론을 수정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혜택을 누리며 살고 있는 것이다.그런데 질량을 가진 물체는 중력의 영향을 받고 질량은
곧
에너지이므로, 에너지를 가진 모든 물체는 중력의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이 아닐까? 그렇다면 빛도 에너지를 가지고 있으므로 중력의 영향을 받아 휘는 것은 아닐까? 특수상대성이론을 발표한 후 아인슈타인은 ... ...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러플린, KAIST 총장 취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거듭날 것 유진 부총장의 소개로 KAIST 교수들과 간단히 인사를 마친 러플린 박사는
곧
기자회견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그는 “연구중심대학의 본질은 어디나 동일하다”고 밝히면서 “(자신이 몸담았던) 미 스탠퍼드대와 KAIST의 상황은 다르지만 연구중심대학이라는 속성은 같다”는 말로 총장직에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