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절
절기
시즌
어린시절
어린
철
철강
d라이브러리
"
시절
"(으)로 총 2,272건 검색되었습니다.
향수감별사가 손 휘저으며 냄새 맡는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시간을 찾아서’에서는 주인공이 홍차에 적신 마들랜 과자의 냄새에 이끌려 어린
시절
고향을 찾아 시간여행을 떠나는 얘기가 나온다. 그래서 냄새가 기억을 이끌어내는 것을 ‘프루스트 현상’이라고 한다.한 과학자가 프루스트 현상을 과학적으로 증명해냈다. 미국 모넬 화학감각연구센터의 ... ...
심해저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작가 쥘 베른이 지은 세계 최초의 해양과학소설‘해저 2만리’. 어린
시절
누구나 한번쯤 이 소설을 읽으며 깊은 바닷속에 펼쳐진 신세계를 꿈꿔봤을 것이다.그런데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인간이 해저 세계를 직접 탐험하는 일은 더이상 공상이 아니다. 눈앞에 펼쳐진 신세계 심해를 밝히는 모험을 ... ...
[과학뒤집기 시리즈 1] 드디어 빛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어린
시절
친구들과 함께 했던 그림자 놀이, 태양광선을 렌즈에 모아 종이를 태우며 신기해하던 기억, 거울로 만들어진 만화경 속에 담겨 있는 즐거운 세상. 우리의 궁금증과 호기심을 자아내던 이런 일들은 모두 ‘빛’과 연관돼 있다.하지만 지구과학, 화학, 물리, 생물로 나눠지는 우리나라 ... ...
미래 노벨상 수상자 발굴하는 연구대회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습득하기 보다 장기간에 걸친 집중적인 탐구활동이 과학교육에서 강조되고 있다. 어린
시절
부터 직접 과학자의 길을 가봐야 한다는 말이다.그러나 대개 학교교육과정에서 이를 기대하기는 쉽지 않다. 때문에 세계 여러 나라는 학생의 연구활동을 장려하고 그 결과를 겨루는 대회를 열고 있다. ... ...
로봇 개념 창시한 신 헤파이스토스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어머니’, 그러니까 데메테르는 농업과 곡식의 여신입니다. 사람들이 땅만 파먹고 살던
시절
, 데메테르 여신의 신전이 있던 도시 엘레우시스는 신전에 제물을 바치려는 사람들로 북적거렸습니다. 하지만 기원전 5세기 무렵부터 사람들의 관심은 아테나 여신의 신전이 있는 아크로폴리스로 쏠립니다. ... ...
고등학생이 개발한 수화번역장갑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이후 그가 인생에서 접한 절호의 기회는 인텔과의 만남이었다. 그로브도 역시 방황의
시절
을 보낸 것이다. 그가 연설에서 강조한 것은‘여러 인생의 방황길에서 자신의 열정을 따르라’는 것. 젊은이에게 참으로 귀감이 되는 말이었다 ... ...
파멸로 치닫는 투명인간의 욕망 할로우 맨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내가 투명인간이 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영화‘할로우 맨’은 어린
시절
누구나 한번쯤 꿈꿔봤던 투명인간 이야기를 화려한 특수효과와 함께 실감나게 그려낸 작품이다. 지난 5월 11일 오후 6시 30분에 시작한 이번 방담회에는‘정재승 박사의 사이코 시네마’로 잘 알려진 고려대 물리학과 ... ...
다이슨의 상상의 세계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다이슨은 영국의 버크셔 지방에서 음악가의 아들로 태어났다. 10대부터 캠브리지 대학
시절
까지 수학에 몰두했으나 2차 세계대전으로 중단됐다. 전쟁기간 중 영국공군의 폭격사령부에서 근무하기도 한 그는 1945년 대학으로 돌아와서 학사과정을 마쳤다. 1947년 영연방 장학금을 받아서 미국으로 ... ...
'당신은 창의적인가' 진단기준 4가지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시급하다. 그런데 창의성이란 무엇일까.유창성 관련된 정보를 많이 찾는다초등학교
시절
, 구구단을 외우던 때로 잠시 되돌아가보자. 어떤 학생이 구구단을 한번에 다 외운다고 해서 창의성 있다고 말할 수 있을까. 그렇지 않다. 창의성은 한번 배운 것을 그대로 반복해서 외우는 능력을 의미하지 ... ...
꿈의 이동통신시대 준비하는 이론공학자 송익호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서울대 대학원에서 시작한 새로운 신호검파이론이 미국 펜실베이니아대에서 수학하던
시절
을 거쳐 거의 마무리 단계에 이른 것은 지난 1999년. 송교수의 신호검파이론이 실제 세계에서 유용한 통신시스템으로 거듭난다면 18년간 한 문제에 매달려 온 보람을 찾을 것 같다는 말에 “통신의 기본적인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