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연혁
유래
역사책
과정
역사학
역사과학
d라이브러리
"
역사
"(으)로 총 4,676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나로호 2025년 달을 쏜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8월 말 타계한 닐 암스트롱. 그가 1969년 7월 20일 인류
역사
상 처음으로 달에 발을 내딛는 순간을 우리는 기억한다. 밤하늘에 떠 있는 ‘왕별’쯤으로 여겼던 달의 실체가 처음으로 맨몸을 드러낸 순간이었다. 과거 닐 암스트롱의 영상을 보며 먼 동네 이야기로만 알았던 일이 점점 현실로 다가오고 ... ...
바다에 살고 죽는 제주의 어머니, 해녀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가면 과거 해녀가 이용하던 옷과 장비를 보여주는 전시물을 비롯해 해녀와 제주의
역사
에 대한 전시를 볼 수 있다.][해녀 보존 노력의 일환으로 벌어지는 해녀축제. 제주민요를 바탕으로 한 창작뮤지컬 ‘숨비소리’ 공연을 벌이고 있다.]현대에 어울리는 해녀는 무엇일까필자는 현재 제주도에 ... ...
농사는 인류를 부자로 만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더 멀어진 건 아닐까요. 조지 아멜라고스 미국 에머리대 인류학과 교수가 “농경은 인류
역사
에서 가장 큰 잘못”이라고 평한 것은 아마 이런 이유 때문일 것입니다. 유전학으로 다시 평가 받은 농경 문화 하지만 농경이 인류에게 잘못된 만남이기만 했던 것은 아닙니다. 최근 유전학의 발달은 ... ...
알록달록 숭례문, 무슨 일이 있었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1호
패턴과 비교해 연대를 측정했어요. 박 교수팀이 분석한 자료는 ‘조선왕조실록’ 등
역사
책에 기록되어 있는 내용과도 거의 일치해요. 초음파 쏘아 돌의 나이 알아낸다숭례문의 아랫부분에 사용한 돌은 단단한 화강암이에요. 쉽게 손상되는 돌은 아니지만 두 차례 큰 전쟁을 겪으며 많은 돌이 ... ...
[시사] 수학으로 건져 올린 침몰선 “응답하라! 후지카와마루"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전해졌으면 좋겠어요.여러분도 이번 기회를 통해 후지카와마루에 관심을 가져 보세요.
역사
와 해양, 수학이 융합된 간접 다이빙 체험을 통해 여러분의 시야가 더욱 넓어지길 바랍니다 ... ...
[knowledge] 행성이 되다 만 운명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살아남은 데 기여했을 수 있다. 이런 사실을 알아내는 것 또한 던의 목표였다.베스타의
역사
를 통해 지구형 행성의 탄생과 진화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이제 내부만 들여다보면 행성이나 다를 바 없는 베스타를 소행성에서 최소한 왜 행성으로라도 승격시켜야 할지를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기 ... ...
암흑에너지는 정말 존재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프랑스어로 발표한 학술논문의 내용을 인지하고 있었음에도 전혀 인용하지 않았다.
역사
를 바로잡자는 의미에서 최근 나를 비롯한 많은 천문학자들이 ‘허블의 우주팽창 법칙’이라는 말을 ‘르매트르의 우주팽창 법칙’ 혹은 ‘르매트르-허블의 우주팽창 법칙’이라고 고쳐 부른다.르매트르와 ... ...
[정보] 최고의 수학자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2년 10호
역사
속 ‘최고의 수학자’를 꼽으라면 누가 있을까? 아마도 가우스, 오일러, 페르마와 같은 수학자가 떠오를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최고의 수학자는? 2012년 호암상 수상의 주인공이자, 세계적인 명문 옥스퍼드대와 포스텍을 오가며 강의와 연구를 하고 있는 김민형 교수가 있다. ... ...
다 쓴 핵연료 골라서 다시 쓰자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약 한 시간 정도 걸리며, 나무와 호수로 둘러싸인 부지에 자리 잡고 있다. 이곳의
역사
는 길다. 미라 프로젝트 매니저인 올리비에 반 데 보그트 씨는 “우리 연구소는 유럽에서 두 번째로 큰 원자력 연구소”라며 “현재 750명 정도가 근무하고 있고 이중에서 70명 이상이 박사급 연구원”이라고 ... ...
세상을 확실히 끝내는 9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아무래도 지구의 생명을 한꺼번에 치우는 게 낫겠다.처음엔 쉬워 보인다. 이미 지구는
역사
상 5번의 대멸종을 겪었다. 유명한 중생대 백악기 말의 대멸종에서는 공룡과 암모나이트를 비롯한 대형 동물을 여럿 멸종시켰다. 고생대 말기인 2억 5000만 년 전의 대멸종은 육지와 바다를 통틀어 생물 종의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