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연혁
유래
역사책
과정
역사학
역사과학
d라이브러리
"
역사
"(으)로 총 4,67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할머니는 아티스트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노년기의 삶이 보편화됐다는 할머니 가설의 허점이 발견된 것입니다. 우선 인류의 진화
역사
속에서 노년층의 비율이 점점 늘어난 것은 사실이었습니다. 노년층의 비율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약 400만 년 전 등장)보다 호모 에렉투스(200만 년 전)에서 더 커졌습니다. 네안데르탈인(약 60만 년 전 등장 ... ...
재미있는 우주로 가는 문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들었다. 시작은 어릴 적 읽다가 포기한 뒤 트라우마로 남은 스티븐 호킹의 ‘시간의
역사
’다. 책장 한 구석에서 뽀얗게 먼지를 뒤집어 쓰고 있을 텐데 차분히 한 장씩 넘겨 봐야겠다 ... ...
세 쌍둥이 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수백 명이 10년 이상 몸담아 일하고 국가가 수천억 원을 쏟아부은 프로젝트가 한 순간에
역사
되었다. 실수로 한순간에 전사하다 두번째로 발사를 준비하던 헤시는 태양관측위성이다. 태양은 정확히 11년을 주기로 흑점활동이 변하는데, 활동이 활발할 것으로 예상되는 태양을 대략 2000년에서 2005년 ... ...
한양대 수시 미래인재 전형 합격생 인터뷰 “진로고민은 중학교 때 시작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가서 봉사를 했다. 물론 친구들과 선생님이 적극적으로 도와서 가능한 일이었다. 지
역사
회에서 자신의 전공을 이용해 할 수 있는 봉사를 한 것이다. 단순히 봉사시간만 채우는 것은 의미가 없다. 한양대로 가는 길 스펙을 위한 스펙이 아니라 희망하는 진로와 관련된 활동을 했고 순수한 호기심으로 ... ...
닐 암스트롱, 영원의 바다로 떠난 달의 영웅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당시 닉슨 대통령이 직접 그들을 환영하기 위해 항공모함에서 기다렸으며 “인류
역사
상 가장 위대한 일주일”이라고 3명의 우주인들에게 이야기했다. 그들은 혹시 모를 달의 유입물질로부터 지구를 보호하기 위해 귀환 뒤 약 16일간 격리돼 회복기간을 거쳤다. 이후에는 달 여행을 알리기 위한 ... ...
고전문학이 꾸준히 사랑받는 이유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연구팀은 이런 궁금증을 갖고 세 가지 고전을 분석해 보았다. 그들이 분석한 세 작품은
역사
상 최고의 대서사시로 꼽히는 호머의 , 게르만 민족의 영웅서사시 중 완전히 보존된 것으로는 가장 오래된 , 그리고 컴트 신화를 다룬 아일랜드의 서사시 다.연구팀은 먼저 ... ...
[knowledge] 백설공주의 유전자를 찾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인류학
역사
에서 매우 민감한 주제입니다. 오랫동안 피부색은 흑인종, 백인종, 황인종 등 인종을 구분하는 기준이었죠. 하지만 인류학자들은 1960년대부터 의문을 품기 시작했습니다. 피부색이 자외선의 강도와 관계가 있을 뿐 특별한 기준은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됐거든요. 세계 지도를 놓고 보면 ... ...
있다? 없다? 거북선 실종사건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한자인 ‘선(船)’을 합친 일본식 표현으로, 일제강점기부터 쓰인 잘못된 표현이지요.
역사
기록에서는 거북을 뜻하는 한자 ‘귀(龜)’를 붙여 ‘귀선(龜船)’이라고 썼어요. 그러니 한글로 바꾸면 ‘거북배’라고 부르는 게 옳답니다.진짜 거북선은 어떤 모습일까?네? 제가 본 거북선이 장군님의 ... ...
'녹조라떼'위기! 4대강이 원인일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굳이 고도정수처리까지 가지 않더라도 우려를 할 만한 상황은 아니다. 정수처리는
역사
가 오래됐고, 기술도 잘 검증돼 있어 이 정도 오염에도 대처할 수 있다. 더구나 서울과 낙동강 등의 정수장 일부는 이미 고도정수처리 시설을 갖춰서 이중의 안전성을 확보했다. 안심해도 좋다. 다만 남조류의 ... ...
UNIST 세계무대 떠오르는 강자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국내를 넘어 세계를 보고 있는 UNIST. “짧은
역사
지만 학교를 우리가 만들어간다. 우리가
역사
를 쓰고 있다는 생각으로 공부하고 있다”는 1학년 전성원 학생의 말을 들으니 UNIST의 미래가 더욱 기대된다 ... ...
이전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