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뉴스
"
발표
"(으)로 총 19,793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생아가 행동 따라한다는 속설, 틀렸다
과학동아
l
2016.06.13
GIB 제공 신생아가 부모의 표정과 목소리를 따라한다는 속설이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호주 퀸즐랜드대 초기인지발달센터 버지니아 슬로터 교수팀은 생후 1~9주가 지난 신생아 10 ... 않는다”고 결론지었다. 연구결과는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5월 5일자에
발표
됐다 ... ...
“장내미생물이 뇌 자극해 살찌게 만들어”
2016.06.12
과정을 쥐 실험을 통해 규명하는 데 성공하고, 그 결과를 학술지 ‘네이처’ 9일자에
발표
했다. 장내미생물이 비만을 유도한다는 사실은 10여 년 전쯤 처음 알려졌다. 미국 워싱턴대 연구진이 비만인 쥐에서 채집한 장내미생물을 날씬한 쥐에게 주입한 결과, 마른 쥐가 엄청나게 살이 찐다는 사실을 ... ...
스티븐 호킹 “블랙홀에도 빠져나올 구멍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6.12
있다”고 지적했다. 2014년에는 ‘블랙홀에서의 정보 보존과 일기 예측’이라는 글을
발표
하면서 “지구에서 날씨를 예측하는 것처럼 블랙홀에서도 어떤 과정으로 정보가 사라지는지 추적할 수 있는 흔적이 남아 있을 것”이라며 “양자역학적인 관점에서는 블랙홀에서 에너지나 정보가 원래대로 ... ...
수학 질문은 왼손잡이에게
수학동아
l
2016.06.12
pixabay 제공 오래전부터 왼손잡이는 우뇌가 발달해 창의적이고, 오른손잡이는 좌뇌가 발달해 논리적이라는 속설이 있었어요. 하지만 그것도 결국 편견이라는 연구 결과가 ... 한편 살라 교수팀은 이 연구 결과를 지난 4월 영국 노팅엄에서 열린 ‘2016영국심리학회’에서
발표
했습니다 ... ...
한국 국토의 89.4%는 ‘빛 공해’ 지역
2016.06.12
공해 정도를 분석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10일자(현지 시간)에
발표
했다. 연구진은 미국의 관측 위성인 ‘수오미(Suomi) NPP’를 이용해 우주에서 지구의 밤하늘을 촬영해 국가별 인공조명의 밝기를 측정했다. 그 결과 전 세계의 80% 이상은 빛 공해를 겪고 있는 것으로 ... ...
수영하면 수학 성적이 오른다?!
수학동아
l
2016.06.11
하면 수학 성적이 오른다는 연구 보고서를 ‘영국 경제, 사회 조사위원회(ESRC)’에
발표
했습니다. 연구팀은 2000년과 2001년에 태어난 청소년 6400명을 대상으로 수영이나 댄스 같은 방과후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지를 조사했습니다. 그런 뒤 그들이 초등학교를 졸업하기 전 예측되는 수학 시험 ... ...
대형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 기록 갱신
2016.06.10
교수팀보다 효율에서 0.1%포인트 앞선다. 하지만 특허 등의 이유로 아직 정식 논문으로
발표
되지는 않았다. 석 교수는 “태양전지를 크게 만드는 과정에서 내부 저항이 증가하거나 박막의 균일한 구조가 깨지면서 효율이 떨어진다”며 “이번 연구는 상용화를 위해 별도의 진공장치가 필요하다는 ... ...
반지의 제왕 ‘프로도’는 인류의 조상일까
2016.06.09
발견된 화석 ‘LB1’의 육체적 특징을 분석한 결과를 학술지 ‘플로스 원’ 8일자에
발표
했다. LB1이라고 불리는 호빗족의 화석은 2003년 인도네시아 플로레스 섬에서 발견됐다. 현생 인류와 비교해 두개골은 3분의 1 수준이며 키는 1m 정도여서 호빗이 왜소증이나 몸집과 두뇌가 쪼그라드는 ... ...
어른보다 어린이가 더 똑똑한 ○○○?
2016.06.09
이 연구결과는 ‘영국왕립학회보B(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에
발표
되었습니다. ※필자소개 민혜영. YBM시사에서 각종 영어 학습 월간지 및 내셔널 지오그래픽 단행본의 에디터를 거쳐 현재는 프리랜서 외신 번역 및 에디터로 활동하고 있다 ... ...
“우주공간에서 중력파 탐지 가능하다”
2016.06.08
내용의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Physical Review Letters)’ 7일자에
발표
했다. 리사 프로젝트는 직접 우주에 나가 거대 블랙홀 등 심(深)우주에서 오는 중력파를 탐지하는 임무다. ESA는 2034년 안에 중력파 탐사 전용 우주망원경을 발사할 예정이다. 지난해 9월 중력파를 탐지하는 ... ...
이전
1674
1675
1676
1677
1678
1679
1680
1681
16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