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뉴스
"
발표
"(으)로 총 18,905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으로 칼슘이온 조절하고 기억력도 높인다
2015.09.15
“외국에서 비슷한 연구를 하는 그룹이 있는데 우리와 겹치는 논문을 두 번이나 먼저
발표
해 힘들었다”면서 “살아있는 생체에서 칼슘이온을 빛으로 제어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효율도 가장 높다”고 설명했다. 또 “이 기술은 칼슘이온 부족으로 발생하는 대사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 ...
호모 날레디, 고인류학을 비추는 별이 될까
2015.09.14
호모속으로 연결짓는 게 대세였다. 그런데 2009년 고인류학 패러다임을 흔드는 화석이
발표
됐다. 바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세디바(A. sediba)로 이번 호모 날레디 발굴을 이끈 리 버거 교수가 역시 발굴을 이끌었다. 2008년 남아공 말라파에서 이 화석을 처음 발견한 사람은 버거 교수의 9살 난 아들이 ... ...
지구상 나무는 총 3조 그루, 1인당 422그루 소지
2015.09.13
발병에 관여하는 핵심인자를 추출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이번에 ‘사이언스’에
발표
한 연구에서는 이전보다 더 순도 높은 이어맞추기 복합체를 추출했다. 위공 교수는 “문제를 일으키는 단백질 부분을 한번에 분리하는 치료법의 성공률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식물 ‘메이애플’서 항암제 합성 원료 발견
2015.09.13
podophyllotoxin)’을 더욱 쉽게 만들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 ‘사이언스’ 11일 자에
발표
했다. 메이애플. - USDA(위키피디아) 제공 연구팀은 포도필로톡신을 생산하는 ‘메이애플’이라는 식물에 주목했다. 이 식물은 산지에 자라며 사과 같은 빨간 열매를 맺는다. 연구팀이 메이애플의 유전체를 ... ...
인류를 만든 건 ‘젤나가’일까?
2015.09.13
젤나가와 같은 외계 종족의 개입에 의해 만들어졌을 가능성에 대한 가설이다. 가설이
발표
된 당시에도 황당했던 이 가설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황당하지만, 그 황당함의 정도는 역설적으로 줄어들었다. 영화 ‘인터스텔라’ ‘맨 오브 스틸’ 등으로 대중에게도 익숙해진 SF용어인 ‘테라포밍’은 ... ...
아무리 뛰어도 살이 안 빠진다구요?
2015.09.11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낸다고 ‘셀’의 자매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10일 자에
발표
했다. 인간의 걸음걸이와 뛰는 동작은 일생 동안 가장 에너지를 덜 소비하도록 진화해 왔다. 더 적은 에너지로 더 많은 거리를 움직일 수 있어야 생존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사바나의 사자가 사냥하지 않을 ... ...
DNA로 용의자 얼굴 그린다
2015.09.11
만드는 유전자의 변화를 분석해 20세 단위로 나이를 추정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2010년
발표
됐으며, 최근에는 나이가 어린 용의자를 가려낼 때 활용할 수 있는 DNA 메틸화 부위를 발견해 정확도를 확인하고 있다. 키를 알아내는 유전자 정보도 부족한 상태다. 국제 공동연구단 ‘자이언트(GIANT)’가 ... ...
화성에서 살아남기 위한 9가지 기술
2015.09.11
생활하는 우주인은 필히 우주복을 입어야 한다. 지난해 NASA는 새로운 우주복 ‘Z-2’를
발표
했다. Z-2에는 동료끼리 쉽게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가슴과 옆구리 등에 발광 소재를 붙였다. 또 두껍고 딱딱한 기존 우주복과 달리 첨단 복합소재를 사용해 튼튼하면서도 유연하게 만들어 움직임이 ... ...
신발 끈 안 풀리는 ‘매듭의 법칙’ 찾았다
2015.09.09
수 있는 ‘매듭의 법칙’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 8월 17일자에
발표
했다.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매듭은 ‘옭매듭(Overhand Knot)’이다. 동그랗게 고리를 만들고 한족 끝을 꼬아서 잡아당기기만 하면 만들어지는 형태다. 이때 줄을 더 많이 꼬면 묶을 때 힘이 드는 ... ...
전력소모↓ 성능↑ 新 반도체소자 개발
2015.09.09
이 연구는 나노를 주제로 열리는 국제학술대회인 ‘나노테크놀로지학회(IEEE NANO)’에
발표
됐으며, 8일 ‘영국왕립화학회’가 수여하는 ‘나노스케일 지평(Nanoscale Horizons)’상을 받았다. ... ...
이전
1675
1676
1677
1678
1679
1680
1681
1682
16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