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정"(으)로 총 6,6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數수스타그램수학동아 l2016년 03호
- 픽셀 하나하나에 담아요. 그리고 벡터와 행렬을 이용해 이미지에서 나타내려는 색깔을 결정해요. 픽셀 하나는 아주 작은 점이지만 수없이 많이 모이면 직선이나 곡선, 다각형 면, 패턴, 심지어 3차원 입체도형도 되지요. 픽셀마다 색깔이나 패턴이 달라 명암효과를 내기도 하고 질감을 나타내기도 ... ...
- [Knowledge] CCTV에 기록된 그 날의 진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발생한 연쇄 성폭행사건, 일명 ‘대전 발바리 사건’에서도 국과수는 얼굴 중첩 기술로 결정적 증거를 만들었다. 믿어보는 수밖에.7월 29일(월) - 사건발생 15일 째용의자 “여기가 3D 스캐너실입니다. 여기 앉으시고, 제가 ‘잠깐만요~’하면 가만히 움직이지 말고 계셔야 합니다.” 국과수 직원으로 ... ...
- [Tech & Fun] 믿는 도끼를 잔뜩 고른 나무꾼은…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과정이라면 ‘중립’ 상태에서 신뢰할만한 단서들(인성, 능력 등)을 오밀조밀수집한 뒤 결정을 내려야 한다. 하지만 우리는 처음부터 결론을 내리고 그 다음에 단서를 모은다. 다행히도 대개는 처음 만나는 사람에 대해 부정적인 편견보다는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다. 일단 어떤 이를 믿고 ... ...
- Part1. 난수, 넌 누구니?수학동아 l2016년 03호
- 했는데 음악이 골고루 나오지 않는 것이다. 이거 정말 랜덤 재생 맞는 걸까?랜덤을 결정하는 건 난수!랜덤의 비밀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먼저 ‘난수’가 무엇인지 알아야한다. 난수는 어떤 주기로 반복되지 않고, 특정한 규칙 없이 무작위로 나열돼 있는 수를 말한다. 난수는 예측이 불가능한 수다. ... ...
- [News & Issue] 무리한 교배, 애완견 생존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유전된 것으로 추측했다. 로뮬러 교수는 “몸집이나 털 색깔과 같은 애완견의 특성을 결정짓는 유전자가 공교롭게도 질병 유전자와 가까이 위치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지금과 같은 교배는 유전적 병목현상을 가져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 ...
- [News & Issue] 찾았다! 양자컴퓨터 만들 위상절연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스위스 로잔연방공대 올레그 야지예프 교수팀은 비스무트 요오드화물(Bismuth iodide) 결정이 위상절연체 물질로 적합하다는 것을 실험으로 입증했다. 비스무트 요오드화물은 ‘푸른 납’이라고 불리는 원자번호 83번의 비스무트가 요오드와 화합한 물질이다.연구팀은 비스무트 요오드화물에 전자빔을 ... ...
- PART 2. 물 밖으로 나온 수중과학수사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알면, 처음 물에 들어간 시각을 역으로 계산할 수 있다. 시간 정보는 범인을 잡는 데 결정적인 단서가 될 수도 있다. 시체가 떠오르는 데 걸리는 시간은 보통 수온이 높을수록 짧아지고, 수심이 깊거나 몸무게가 무거울수록 길어진다. 수사관들의 경험으로만 전해 내려오던 사실을 실험으로 증명하고 ... ...
- [Career] 영하 150℃에서 찰랑이는 물 보셨나요?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만들었다. 2009년, 김 교수는 2000기압에서 물을 영하 190℃까지 냉각해 고밀도 비결정질 상태의 얼음을 만들었다. 그 뒤 압력을 대기압과 같은 1기압으로 낮추고 온도를 서서히 높여갔다. 그러자 영하 150℃에서 짧은 순간 액체상태의 물이 나타났다. 김 교수는 혼자 속병을 앓을 수밖에 없었다. 홀로 이 ... ...
- 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수학동아 l2016년 02호
- 공학과의 앤드류 지라스키 교수는 그림을 그릴 좌표의 생김새에 따라 착시 효과를 결정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관람객은 누구나 자신이 서 있는 자리에서 보이는 대로 그림을 인식해요. 관람객의 시야를 가상의 벽이라고 가정하면, 그림에서 반사된 빛이 이 가상의 벽에 부딪혀서 ... ...
- [News & Issue] ‘꽉 찬’ 주기율표 새로운 화학 문 여나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한다.113번 원소의 새로운 이름은 2017년 7월 브라질에서 열리는 IUPAC 총회에서 최종 결정된다. 새로운 이름의 후보로는 일본의 영어 이름을 딴 ‘자포늄’을 비롯해 연구소 이름을 딴 ‘리케늄’ 또는 ‘니시나늄’ 등이 거론되고 있다. 모리타 박사의 이름을 딴 ‘모리타늄’이 될 수도 있다. RIKEN은 ... ...
이전1631641651661671681691701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