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d라이브러리
"
뇌
"(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정신줄 놓다 에 대한 3가지 고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보니 필연적으로
뇌
가 적응하게 된 건 아닐까. 그러나 그런 상태에서도 어쩌면
뇌
는 더 가치 있는 일을 하고 있는지 모른다. 마치 동양화의 여백이 단순히 비어 있는 것이 아닌 것처럼…. 편집자 주 ‘정신줄 놓다’, ‘뚜껑 열린다’처럼 우리 주위에는 말이 안 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자주 쓰는 ... ...
살아 있는 입체 사진을 찍는다 파인픽스 리얼3D W1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상용화한 입체 이미지 처리 장치인 ‘리얼포토(RP) 프로세서’는 입체 이미지를 만드는 두
뇌
인 셈이다.이보다 더 흥미로운 기술은 촬영된 사진의 입체감을 전달하는 액정디스플레이(LCD)다. 좌우 렌즈로 찍은 입체사진을 그 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통의 입체 디스플레이는 대개는 특수 ... ...
파리의 눈으로 로봇의 눈을!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장면을 보여 주면서 눈과
뇌
의 반응을 연구한다고 해요.이 사진은 실험 중인 파리의 눈과
뇌
에서 시각을 담당하는 세포가 어떤 부분인지를 형광 물질로 표시한 사진이에요. 이런 과학적인 연구 덕분에 머잖아 파리처럼 빠르게 날아다니면서 장애물을 피하는 로봇이 탄생할 수 있을 것 같네요 ... ...
“
뇌
파로 강아지와 대화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키보드를 조작하는‘
뇌
파 타자기’는 벌써 시제품이 출시됐습니다. 그리고 일본에서는
뇌
파를 감지하는 특수 헬멧을 쓰고 로봇을 직접 조종하는 기술도 개발됐습니다. 장애인들이 생각만으로 로봇 도우미를 활용하게 된 것이죠 ... ...
작은 로봇이 인간의
뇌
를 탐구한다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미국 어바인 캘리포니아대학교와 샌디에고 캘리포니아대학교 연구팀은 최근 작은 로봇 ‘칼’을 만들었습니다. 칼은 생물학적인 신경계를 ... 대한 지식뿐 아니라 복잡하고 변수가 많은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방법을 담은 두
뇌
프로그램을 개발해 로봇 분야도 발전시킬 계획입니다 ... ...
거울 속 우유 마시면 소화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냄새나 맛은 코나 혀에 있는 수용체 단백질이 냄새나 맛 분자와 결합해 신호를 보내
뇌
가 그 패턴을 인식한 결과다. 수용체 단백질이 거울분자이므로 거울분자 쌍의 냄새나 맛이 다르게 느껴지는 경우가 있다.카본(carvone)이란 냄새 분자가 대표적인 예다. 스피어민트라는 식물의 잎에서 추출한 ... ...
올 겨울 고비 맞는 신종플루 궁금증 6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하는 이유는 크게 2가지”라며 “임산부가 신종플루에 걸려 고열을 겪으면 태아의
뇌
가 손상을 입을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6개월 이하의 유아는 면역력 자체가 거의 없어 태어나기 전 엄마로부터 물려받은 항체에 의존한다”며 “임산부가 신종플루 백신을 접종받으면 유아도 항체를 ... ...
뇌
가 아이스크림 덩어리 쌓이듯 진화했다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신경과학이 어떤 새로운 사실도 밝혀내지 못했음을 증명한다. 인간에 대한, 그리고
뇌
에 대한 가장 위험한 착각 이야기를 들어보자.멋진 신세계와 판도라의 상자연세 과학 기술과 사회 연구 포럼 지음 | 문학과 지성사 | 358쪽 | 1만 1000원과학 기술과 소통하는 15가지 시선을 소개한다. 이 책은 과학의 ... ...
몸속 영상에서 병든 부위 짚어 암 치료제 개발에 다가선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전이됐는지, 수술 부위가 앞으로 어떻게 나아지는지를 관찰할 수 있다. 또
뇌
를 촬영해
뇌
혈관 질환이나 간질을 진단하고, 항암 치료 효과나 수술 결과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PET-CT의 진단 영역은 무궁무진하다.현재 국내에 있는 여러 병원에서는 암 같은 질환을 조기 진단하는 데 PET-CT를 ... ...
우리가 몰랐던 D-아미노산의 세계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아미노산은 화학적 신호를 전달하는 물질로 쓰이기도 한다. D-세린은 포유류의
뇌
에서 신경 전달물질로 작용하며, 인간의 요로에 감염하는 대장균의 독성 인자의 발현을 조절한다. D-아스파트산은 신경 내분비 세포의 호르몬 분비를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D-아미노산은 믹소 박테리아 ... ...
이전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