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d라이브러리
"
뇌
"(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살아 있는 입체 사진을 찍는다 파인픽스 리얼3D W1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상용화한 입체 이미지 처리 장치인 ‘리얼포토(RP) 프로세서’는 입체 이미지를 만드는 두
뇌
인 셈이다.이보다 더 흥미로운 기술은 촬영된 사진의 입체감을 전달하는 액정디스플레이(LCD)다. 좌우 렌즈로 찍은 입체사진을 그 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통의 입체 디스플레이는 대개는 특수 ... ...
정신적 에너지 보충하는 행위 꿈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정보는 우리의 무의식에 축적된다. 거기에 더해서 우리는 태어나서 경험한 모든 것들을
뇌
의 기억 저장창고에 보관해 오고 있다.이러한 선험적 정보와 체험한 기억을 토대로 미래의 일들을 어느 정도 미리 유추해 보는 과정은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다만 이와 같은 정보가 무의식의 세계에 들어 ... ...
파리의 눈으로 로봇의 눈을!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장면을 보여 주면서 눈과
뇌
의 반응을 연구한다고 해요.이 사진은 실험 중인 파리의 눈과
뇌
에서 시각을 담당하는 세포가 어떤 부분인지를 형광 물질로 표시한 사진이에요. 이런 과학적인 연구 덕분에 머잖아 파리처럼 빠르게 날아다니면서 장애물을 피하는 로봇이 탄생할 수 있을 것 같네요 ... ...
“
뇌
파로 강아지와 대화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키보드를 조작하는‘
뇌
파 타자기’는 벌써 시제품이 출시됐습니다. 그리고 일본에서는
뇌
파를 감지하는 특수 헬멧을 쓰고 로봇을 직접 조종하는 기술도 개발됐습니다. 장애인들이 생각만으로 로봇 도우미를 활용하게 된 것이죠 ... ...
우리가 몰랐던 D-아미노산의 세계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아미노산은 화학적 신호를 전달하는 물질로 쓰이기도 한다. D-세린은 포유류의
뇌
에서 신경 전달물질로 작용하며, 인간의 요로에 감염하는 대장균의 독성 인자의 발현을 조절한다. D-아스파트산은 신경 내분비 세포의 호르몬 분비를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D-아미노산은 믹소 박테리아 ... ...
무요일(無曜日)의 달력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보통 사람은 달력을 보지 않고서는 주어진 날짜의 요일을 알아내기 어렵다. 자폐와 같은
뇌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10% 정도는 서번트 증후군(savant syndrome)이라는 특수한 재능을 타고 나서 수백 년 전 특정 날짜의 요일을 즉각 알아내기도 한다.물론 일반인이 사용할 수 있는‘요일 알아내기 공식’이 ... ...
거울 속 우유 마시면 소화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냄새나 맛은 코나 혀에 있는 수용체 단백질이 냄새나 맛 분자와 결합해 신호를 보내
뇌
가 그 패턴을 인식한 결과다. 수용체 단백질이 거울분자이므로 거울분자 쌍의 냄새나 맛이 다르게 느껴지는 경우가 있다.카본(carvone)이란 냄새 분자가 대표적인 예다. 스피어민트라는 식물의 잎에서 추출한 ... ...
머릿속의 초시계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전전두엽과 선조체에 있는 신경 일부가 초시계처럼 정확히 0.05초마다 활성화됐다”며“
뇌
에서 행동과 학습에 관여하는 신호가 일정한 주기로 전달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런 현상은 수초 동안 지속됐다.연구팀은 전두엽 피질에 이상이 생겨 움직일 타이밍을 맞추지 못하는 파킨슨병을 치료하는 ... ...
뇌
가 아이스크림 덩어리 쌓이듯 진화했다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신경과학이 어떤 새로운 사실도 밝혀내지 못했음을 증명한다. 인간에 대한, 그리고
뇌
에 대한 가장 위험한 착각 이야기를 들어보자.멋진 신세계와 판도라의 상자연세 과학 기술과 사회 연구 포럼 지음 | 문학과 지성사 | 358쪽 | 1만 1000원과학 기술과 소통하는 15가지 시선을 소개한다. 이 책은 과학의 ... ...
몸속 영상에서 병든 부위 짚어 암 치료제 개발에 다가선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전이됐는지, 수술 부위가 앞으로 어떻게 나아지는지를 관찰할 수 있다. 또
뇌
를 촬영해
뇌
혈관 질환이나 간질을 진단하고, 항암 치료 효과나 수술 결과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PET-CT의 진단 영역은 무궁무진하다.현재 국내에 있는 여러 병원에서는 암 같은 질환을 조기 진단하는 데 PET-CT를 ... ...
이전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