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d라이브러리
"
뇌
"(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비만을 부르는 지방산의 유혹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뇌
에 도달하면, 렙틴이나 인슐린이 식욕을 억제하도록 신체에 보내는 신호를
뇌
가 무시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보낸다”고 설명했다. 렙틴이나 인슐린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 포만감을 느끼지 않아 음식을 계속 먹게 된다.이런 현상을 렙틴 저항성, 인슐린 저항성이라고 부른다. 그동안 지방을 많이 ... ...
속 보이는 사진 속 예술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전환이 담긴 작품들을 만날 수 있다.정태섭 교수는 미국 펜실베니아대에서 자기공명
뇌
동맥혈관법으로 박사학위를 바은 뒤 영동세브란스병원에서 영상의학과 교수로 일하고 있다. 주전공인 방사선학을 이용해 엑스레이아트라는 새로운 예술 장르를 개척한 그는 과학과 의학, 그리고 예술을 ... ...
영화 ‘내 사랑 내 곁에’ 루게릭병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딱딱히 굳어간다. 그리고 낙천적 성격의 종우도 루게릭병 앞에 점점 의지를 잃어간다.
뇌
와 척수의 운동신경세포는 성상교세포와 면역세포의 일종인 미세아교세포처럼 신경세포가 아닌 세포들과 이웃하고 있다. 이 세포들은 운동신경세포에 신경영양인자를 공급하거나, 분비된 글루타메이트 같은 ... ...
언어 유전자는 존재하나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발견했다. 사람과 비교한 결과 아미노산 서열이 98% 같았다. 흥미롭게도 새의
뇌
에서 사람
뇌
의 기저핵에 해당하는 영역X에서 FOXP2가 많이 발현했다. 사람 역시 기저핵에서 FOXP2가 많이 발현된다. 새는 꾀꼬리 같은 명금류(songbird)와 비둘기 같은 평범한 종류로 나뉜다. 명금류의 경우 새끼가 주위 ... ...
돌고래는 자는 게 자는 게 아니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실험에서도 돌고래들은 여전히 정확하게 반응했어요. 연구팀은 돌고래들이 잠을 잘 때도
뇌
의 한쪽은 깨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일이 가능하다고 설명했어요. 그래서 돌고래들은 잠을 자면서도 짝을 찾거나 포식자를 알아차릴 수 있다고 하네요 ... ...
키를 쑥쑥! 성장호르몬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이 때 잠을 자지 않고 깨어 있으면 호르몬양이 많이 줄어든단다. 특히 게임을 하느라
뇌
가 흥분되어 있으면 다른 호르몬들이 나오느라 성장호르몬은 거의 나오지 않지.”“정말요?”“지금 태연이 나이인 12~14세에 성장호르몬이 정상적으로 분비된다면 매년 5㎝ 정도는 자라야 하는데 성장호르몬이 ... ...
음치 원인은
뇌
영역 간 소통 부족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서로 주고받는 전기신호가 훨씬 적다는 사실을 발견했다.루이 박사는 “전두엽은
뇌
에서 음을 만들어 내는 영역이고, 측두엽은 음을 듣는 영역”이라며 “검사 결과 음치들은 두 영역 사이를 연결하는 신경섬유가 매우 적었다”고 밝혔다. 그는 또 “음치에서 벗어나기 위해선 전두엽과 측두엽이 ... ...
휴대전화 떨어뜨리면 가장 먼저 망가지는 부분은?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하루 종일 애지중지 손에서 놓지 않는 덕분(?)에 떨어지거나 부딪히는 일은 기본, 가끔씩 누군가 깔고 앉거나 던지기도 하는 휴대전화. 휴대전화는 24 ... 있겠지만, 왠지 핑곗거리도 늘어날 것 같다.“선생님, 저는 손바닥을 맞으면 그 충격이
뇌
까지 전달된대요. 그러니까 때리지 마세요. 네 ... ...
독해력 향상의 비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작업기억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하느냐는 기억력과 이해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뇌
전문가들은 작업기억에서 정보를 비슷한 의미끼리 묶는 훈련을 하면 기억력이나 이해력이 극대화될 수 있다고 조언한다.아무리 ‘비주얼’이 강조되는 시대라지만 아직 세상의 지식 대부분은 글로 이뤄져 ... ...
세포의 꿈틀거림까지 영상에 담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스핀(SPIN)90’이란 단백질을 발견했다. 그 뒤 연구를 계속해 2006년에는 스핀90 단백질이
뇌
속 신경세포의 수상돌기 가시 형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 생명과학분야 학술지인 ‘엠보 저널’에 발표했다.수상돌기가시는 나무줄기에 난 가시처럼 수상돌기 측면에 돌출한 구조다.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