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이국
타국
이방
해방
국외
국제
d라이브러리
"
외국
"(으)로 총 2,386건 검색되었습니다.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선진국에서는 11단계의 훈련장치를 마련해 단계별로 훈련시키고 있다.국내에는 현재
외국
에서 도입한 10여대(대당 가격 10억원대)의 모의비행훈련장치가 있는데 이번에 개발된 국산 모의장치로는 7단계까지의 비행훈련이 가능하다. 항공우주기술과 컴퓨터기술이 접목된 모의비행훈련장치는 ... ...
1 우리도 우주산업시대 저궤도 위성에 눈을 돌려라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구축하거나 적어도 해외 공동 위성시스템을 갖는 길 뿐이다. 이것도 국내 개발 없이
외국
에서 전량 도입하게 되면 초반은 쉽게 진행될지 몰라도 곧 기술 예속이라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이 자명하다.우리가 나가야 할 오직 한 길은 독자적인 위성시스템을 자력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서비스분야와 ... ...
(1) 인공지능 상품개발 50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하고 있다. 전쟁에서 활약하는 지능로봇은 공상영화에서 보는 것 만큼이나 매력적이다.
외국
의 경우에는 집안이나 병원에서 잔심부름하는 로봇이나, 수술시에 의사를 보조하는 로봇이 개발되어 조심스럽게 사용되고 있다.이 로봇은 태엽 감은 인형처럼 목적지를 향해서 무작정 달려가는 것이 ... ...
PART3 날로 다양해지는 쌀가공품들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것이다. 땀흘려 생산한 쌀이 잘 활용될 수 있도록 가공기술을 개발하고 좋은 가공식품을
외국
에 수출할 수 있도록 앞으로 이 분야에 많은 관심과 연구가 있어야 한다. 국내 자원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측면에서도 쌀의 활용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쌀가공 기술은 학계 산업계 연구기관이 힘을 ... ...
미래의 과학자 키우는 전세계 화학인들의 축제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회사가 후원한 아메리카나 이브닝 피크닉에서는 포크댄스 컨트리뮤직 폭죽 등으로
외국
학생들을 열광하게 하였다. 7월 17일 오후 카네기멜론대학 운동장에서 벌어진 '팀워크로 활동하기' 행사는 학생 1백35명을 한팀에 5명씩(5명 모두가 각각 다른 나라) 27팀을 구성하여 화학과 스포츠를 겸한 ... ...
한국의 밤하늘, 어디가 가장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데에 있다. 이에 대해 국내 아마추어천문가로서 일본 미국 등
외국
의 아마추어와 교류를 빈번하게 가지고 있는 이혁기씨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광해(光害)는 도시의 인공조명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우선 대기가 깨끗하지 않다는 전제 조건 하에서 출발합니다. 지구의 ... ...
PART2 볍씨 개량 도전 1백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볍씨는 없었다. 그때까지만 해도 우리나라는 농업국이면서 쌀을 자급자족하지 못하여
외국
에서 수입하는 실정이었다. 그래서 볍씨개량 목표는 당연히 수량성이 우선이었고 다음으로 쓰러지지 않으며 병해에 강한 종자를 얻는 것이었다.1971년부터 1980년까지는 쌀의 자급자족을 가장 열망하던 ... ...
컴퓨터가 정식과목 되지 않는 한 좋은 성적 어렵다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도와주신 교수님들이나 다른 분들이 의욕을 갖기가 어려울 거라고 생각한다.우리 나라를
외국
과 비교하는 그 자체가 무리일 수도 있겠지만, 우리가 아직도 후진국이라고 생각하는 중국의 경우에 경시대회에 대한 관심은 엄청 높아서 국내의 경시대회에 입상을 하거나 국제대회에 출전하는 것이 ... ...
칼 J 신더만 「과학자의 기쁨과 영광」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있는 것이다. 만일 이에 대한 기대가 없었더라면, 그들은 현재 국내에서 일하지 않고
외국
에서 일하고 있었을 것이다.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현재 과학자들이 어떠한 목표와 기대, 그리고 과학자로서 인생을 마칠 때까지 어떠한 역사관을 지녀야 하는지 한번쯤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과학자의 ... ...
신약개발로 각광받는 세계의 전통약물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짐작된다.또 통일신라시대의 의서 신라법사방에는 한반도에서 야생하지 않는
외국
산 약초인 속수자가 기재돼 있다. 이런 사실은 당시 중국(당나라)과 교역이 있었고 중국의학 및 약물의 전래가 있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신라산 생약재로서 중국 일본문헌에 소개된 것은 인삼 우황을 비롯해 해송자 ... ...
이전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