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이국
타국
이방
해방
국외
국제
d라이브러리
"
외국
"(으)로 총 2,386건 검색되었습니다.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없는 3배체 굴 만들어-성장도 빠르고 맛도 일품'r'이 안든 달에는 굴을 먹지 마라는
외국
속담이 있다. 즉 5월(may) 6월(jun) 7월(july) 등 철자에 'r'이 없는 달은 굴의 산란기이므로 이때는 가급적 굴을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얘기다. 실제로 산란기에는 굴에 독소가 약간 포함돼 있고 맛도 없는 것으로 ... ...
아이작 아시모프 「파운데이션」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요즘
외국
의 과학소설들이 여럿 소개되었다. 그것들 가운데 추천할 만한 작품들은 톨킨의 '반지 전쟁' 허버트의 '듄' 아시모프의 '로봇'과 '파운데이션'으로, 모두 과학 소설의 고전들로 꼽힌다.그러나 '반지 전쟁'은 엄격하게 말하면 공상 소설(fantasy)이고 '듄'도 공상 소설의 빛깔을 짙게 띠었다. 과학 ... ...
1. 0.001초 차이 가려내는 컴퓨터 판정의 순간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주최국의 텃세가 아니었으면 불가능했다는 것이 일반적인 시각이다. 우리 선수들이
외국
에 나가서 당하는 설움도 이만저만이 아니다. 흥행을 우선으로 하는 프로복싱은 예외로 하더라도 아마추어의 순수성을 지켜야 하는 아마복싱에서는 판정시비를 없애자는 주장이 서울올림픽을 계기로 ... ...
3. 생체 리듬이란?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시합일에 바이오리듬의 저조기로 예상되었고 반대로 나중에 메달권 밖의 성적을 보였던
외국
선수는 고조기에 속할 것이라는 실제 경기내용과는 반대의 결과가 나왔다.필자는 인체에 있는 미묘한 리듬에 따른 주기에 의해서 조절되는 수면 기초체온 호르몬방출 등에 관한 사항들과 생리주기를 ... ...
(1) 「3년만에 20만」 통신인구 폭발적 증가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오른 후 마이크로소프트사가 문제를 제기, 한차례 소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그후
외국
소프트웨어 업체들이 감시의 눈초리를 강화해 이러한 공공연한 불법복제는 거의 없어졌다. 그러나 아직도 회원을 많이 확보하기 위해 상업용 프로그램을 무료 또는 염가에 복제해주는 민간 BBS가 없어지지 않고 ... ...
준비는 완료, 장기확보가 문제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판단을 내리기가 어렵지만 인체수술의 전단계인 동물실험(주로 개를 이용)의 성적은
외국
것보다 낫다는 게 이식수술준비팀의 설명이다 수술기술이 뒤떨어지지는 않는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골수이식의 경우 90년 이식사례 1백건을 분석한 결과 미국의 골수이식 성공사례들과 견주어 환자의 ... ...
5 파일럿이 되는 길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필요한 조종사를 자체 양성하기 위해 대학졸업자를 대상으로 전형에 의해 선발한 다음
외국
의 비행학교에 위탁교육을 실시해 조종사로 양성하고 있다. 공군사관학교의 경우, 군에서 전투조종사로 근무한 다음 전역하는 조종사들은 소정의 자격을 갖추고 항공사 입사시험을 거쳐 민간항공사에서 ... ...
주사맞기가 두렵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세심한 주의가 실행되지 않는 것이 문제다. 환자들도 주사약만을 찾지 말고, 의사들도
외국
의 의사들처럼 가급적 주사제 처방을 하지 않는 것이 유리파편의 위험에서 벗어나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것이다 ... ...
아시모프의 삶과 꿈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에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읽히는 저자들'에 대한 통계자료가 있다. 이 자료는
외국
어로 번역된 저작들만 다룬 것으로 보인다. 제1위는 러시아 혁명을 이끌었던 레닌으로서, 14개국에서 모두 2백87종의 출판물이 나온 것으로 되어있다. 이런 식으로 마르크스나 엥겔스, 또는 요한 바오로 2세처럼 정치, ... ...
「과학입국」 초석을 다지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않습니까. 우리도 기술적으로 자립하여 경제적으로도 자립해야 할 것 아닙니까." 결국
외국
용역회사는 우리 기술용역회사와 합작을 통해서만 들어올 수 있게 되었다.연구개발 기반구축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특정연구기관육성법이다. 이 법은 1973년에 제정되었다. 그 특징은 설립되는 기관의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