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퍼즐라이프] 꼭꼭 접어라, 전개도가 보일라!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저서 ‘새로운 수학적 놀이들’에 소개한 전개도 퍼즐입니다. 종이를 잘라 2조각 이상으로 분리해도 상관없지만, 이 중 1개만 골라서 정육면체를 만들어야 하죠. 규칙과 조작 방법은 간단해도 직접 시도해보면 결코 쉽지 않은 퍼즐이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가드너에 따르면 처음 9개의 정사각형 중 ... ...
- 1981년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20세기 흑사병’에서 만성질환으로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감염시키거나 파괴한다. 정상인의 혈액에는 도움 T림프구 수가 혈액 1mm3당 최소 500개 이상 존재하는데, 개수가 200개 미만으로 줄어들면 사실상 세포 매개 면역반응을 잃게 된다. 이 상태가 되면 에이즈 환자로 판명된다. HIV는 감염자의 모든 체액에 존재하며, 혈액, 정액, 질 분비물, 모유에 많이 ... ...
- 2012년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 ┃사스와는 다른 ‘중동의 사스’ 메르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풍토병’ 등으로 불린다. 실제로 모든 환자는 직간접적으로 중동 지역과 관련 있으며, 85% 이상은 사우디아라비아와 연관이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12년 메르스 대유행으로 전 세계적으로 2494명이 감염됐고, 858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했다(2019년 11월 기준). 국내에서도 2015년 5월 바레인에서 ... ...
- 코로나19 팩트체크┃모기 물려도 전파된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기침이나 재채기, 혹은 대화할 때 침에서 나오는 5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이상의 입자 분비물이다. 이 속에 바이러스가 포함돼 있는데, 비말은 약 2m까지 날아갈 수 있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비말을 통해 전파되기 때문에 사람들과의 밀접 접촉을 피하고,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 ...
- 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포함된다. 이들은 바이러스의 특징이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거나, 현 분류 체계에서 두 개 이상의 그룹에 해당하는 특징을 동시에 가지기 때문이다. 국제바이러스분류위원회는 앞으로도 바이러스 연구와 공개 토론에 따라 바이러스의 이름뿐만 아니라 각 분류 체계 역시 수정될 수 있음을 말하고 ... ...
-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휴면 상태로 있다가 우주로 나가 활성화될 가능성을 조사했다.그 결과 조사 기간 중 180일 이상 우주에서 체류한 우주인 6명의 체액에서 재활성화된 VZV가 발견됐는데, 모두 증상은 경미한 것으로 나타났다.흥미로운 점은 일반인과 마찬가지로 우주인도 면역력이 떨어졌을 때 VZV가 활성화됐다는 ... ...
- STEP ⑤ 바이러스 전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기침을 한 사람의 전방 2m까지 퍼진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개인 간 거리를 2m 이상 유지하라고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하지만 비말의 크기, 에어컨 가동 등 외부요인에 따라 확산 범위는 달라질 수 있다.비말이 크면 금세 바닥으로 떨어지지만, 작으면 공기와 함께 널리 퍼질 수 있기 ... ...
- 수지상세포...바이러스 정체 알리는 전령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불린다. 수지상세포가 면역반응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만큼 수지상세포의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 피부뿐만 아니라 관절, 신장, 폐 등 전신에 염증 반응이 일어나는 자가면역질환이 생길 수 있다.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에이즈)을 일으키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는 수지상세포의 여러 ... ...
- 자연살해세포...침입 즉시 공격, 진정한 킬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그 결과 비장에 있는 일부 세포가 백혈구를 무차별적으로 공격하는 반응이 나타났다. 이상한 점은 T림프구와 B림프구 등이 공격 반응에 관여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들이 나타났다면 공격 대상이 매우 구체적이어야 하는데, 백혈구를 공격한 세포는 T림프구나 B림프구와 동일 계통에 속하는 ... ...
- 1980년 면역거부반응의 이유를 찾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조지 데이비스 스넬은 암세포에서 이런 거부반응을 확인했다. 스넬은 생쥐를 20세대 이상 형제자매끼리 교배시켜 유전적으로 비슷한 개체군을 여러 개 만들고, 한 개체군에서 다른 개체군으로 피부종양세포를 이식했다. 그 결과, 이식받은 개체군에서는 암세포가 증식하지 못했다. 이는 이식받은 ... ...
이전1631641651661671681691701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