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후변화에 무관심한 정부 우리가 빼앗길 미래는?수학동아 l2020년 07호
- 2004년 발표한 논문에서 지구의 온도가 2°C 상승하는 2050년이면 모든 생물종의 3분의 1 이상이 멸종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 3분의 1에 인간이 없으리라는 보장은 없다. 이제는 정말 ‘살기 위한’ 정책이 필요할 때다. 용어정리* 증발산량 : 강수량과 물이 대기로 증발하거나 증발해 흩어진 양 ...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대한민국을 깡타한 '나 비 효과' 역주행의 신화, 깡수학동아 l2020년 07호
- 기준 18위까지 올랐다. 비는 리믹스 버전이 1위를 차지하자 SNS에 ‘이거 왜 이러는 거죠. 이상한데…. 깡동단결인가. 깡짝 놀랐네. 놀자고 한 일인데.’라며 놀라움을 드러냈다. ★혹평이 쌓여 열풍이 되다★개연성 없는 곡의 진행, 세련미 없이 자기애만 가득한 가사, 비의 매력을 잘 살리지 못한 ... ...
- [오일러프로젝트] 코딩 지니, 1부터 1000까지 영어로 썼을 때 사용한 글자수는?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때 사용하는 언어가 수학 능력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숫자가 10 이상으로 올라갈 때 한자에서는 10진법 체계대로 수를 읽지만, 서양 언어에는 10진법에 맞지 않는 단어가 등장하면서 복잡해지는데, 한자로 읽는 방식이 덧셈, 뺄셈을 익히기에 더 유용하다고 주장했습니다. 물론 ... ...
- Chapter 01. 대유행┃ 최근 50년간 인간을 괴롭힌 바이러스 7과학동아 l2020년 07호
- 1919년까지 그야말로 전 세계를 마비시켰다. 당시 스페인독감으로 인한 사망자는 5000만 명 이상으로 추정된다. 일부 섬나라에 소수로 모여 살던 원주민은 전멸했다. 제1차 세계대전 전사자는 약 1000만 명으로 추산되니, 당시 전쟁이 아닌 바이러스로 인한 사망자가 더 많은 셈이다. 그러니 당시 ... ...
- 2012년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 ┃사스와는 다른 ‘중동의 사스’ 메르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풍토병’ 등으로 불린다. 실제로 모든 환자는 직간접적으로 중동 지역과 관련 있으며, 85% 이상은 사우디아라비아와 연관이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12년 메르스 대유행으로 전 세계적으로 2494명이 감염됐고, 858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했다(2019년 11월 기준). 국내에서도 2015년 5월 바레인에서 ... ...
- 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임신부의 대변, 티베트의 온천, 남아프리카의 생물반응기, 바다, 호수 등 40가지 이상의 환경에서 얻은 대규모 DNA 데이터베이스에서 351개의 바이러스 염기서열을 발견했다. 염기서열 분석 결과 놀라웠던 점은, 일부 바이러스들이 리보솜과 관련된 유전자를 갖고 있다는 것이었다. 리보솜은 생물이 ... ...
-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휴면 상태로 있다가 우주로 나가 활성화될 가능성을 조사했다.그 결과 조사 기간 중 180일 이상 우주에서 체류한 우주인 6명의 체액에서 재활성화된 VZV가 발견됐는데, 모두 증상은 경미한 것으로 나타났다.흥미로운 점은 일반인과 마찬가지로 우주인도 면역력이 떨어졌을 때 VZV가 활성화됐다는 ... ...
- 1980년 면역거부반응의 이유를 찾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조지 데이비스 스넬은 암세포에서 이런 거부반응을 확인했다. 스넬은 생쥐를 20세대 이상 형제자매끼리 교배시켜 유전적으로 비슷한 개체군을 여러 개 만들고, 한 개체군에서 다른 개체군으로 피부종양세포를 이식했다. 그 결과, 이식받은 개체군에서는 암세포가 증식하지 못했다. 이는 이식받은 ...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과학동아 l2020년 07호
- SARS-CoV)가 창궐하며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로 전 세계에서 8000명 이상이 감염돼 773명이 목숨을 잃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대표적인 단일가닥 RNA 바이러스로 다양한 돌연변이를 만든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유전자형에 따라 사람을 감염시키거나 박쥐, 쥐, 소, 낙타 등 다양한 동물을 감염시킨다 ... ...
- 소나기가 내리면 목숨을 걸고 튀어라! 호주 개구리 탐사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찾던 개구리 ‘마호니스 토들렛’에게는 환상의 서식지입니다. 큰 비가 내려 깊이 1m 이상의 늪이 생기면 번식에 나서거든요. 마호니스 토들렛은 2017년 처음 발견된 종으로, 이를 연구하던 그랜트 연구원이 한국에 왔을 때 만난 인연으로 저는 한 달간 탐사를 도와 연구에 참여했습니다.연구 주제는 ... ...
이전164165166167168169170171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