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소금 섭취량으로 환산해보니 1인당 연간 10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이상인 미세플라스틱을 2000개 정도 먹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네, ‘헉!’ 입니다. 소금이 포함된 음식까지 고려하면 체내에 들어오는 미세플라스틱의 양은 더 늘어나겠죠. 김 교수팀은 한강, 낙동강, 영산강, ... ...
- 누가 지방세포를 키우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또 지방세포에서 분비돼 식욕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호르몬인 렙틴의 신호체계에 이상이 생길 경우 비정상적인 허기를 일으켜 비만을 일으킨다.이번에는 살이 늘어나는 현상을 집중적으로 설명했지만 살이 극도로 줄어드는 현상도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중요한 점은 살을 적절하게 유지해 ... ...
- 더워지는데, 등교하는데… 코로나19 언제 멈출까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미디어센터를 통해 “홍역 바이러스의 경우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공동체의 90% 이상이 면역력을 갖춰야 한다”며 “코로나19의 경우 60% 정도”라고 밝혔다. 매튜 배일리스 영국 리버풀대 감염병및국제보건연구소 교수는 “인플루엔자(독감)의 경우 한 사람이 평균 1.3명을 감염시킨다”며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발사 D데이, 이륙 900초 전 자동 카운트다운 시작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액체산소를 배출한 뒤에도 산화제 탱크의 온도는 아주 낮다. 다음날 오전까지 10시간 이상 그대로 두고 온도를 높인 뒤에야 나로호를 상온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상온 상태의 나로호는 다시 조립동으로 옮겨 각종 점검을 수행해야 했다. 나로호가 비록 극저온에 견디도록 제작됐지만, 극저온과 ... ...
- 오가노이드, 로봇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말이 있나요?늘 호기심을 갖고 여러분 주변을 둘러싼 세계를 궁금해하길 바라요. 과학은 이상한 일에 답을 찾는 것에서부터 시작하니까요.또, 어린이라서 어른들과 달리 독특한 아이디어를 떠올릴 수도 있어요. 그러니 여러분이 관심있는 분야를 찾고, 그 분야를 따라가 보세요 ... ...
- [주니어 폴리매스] 비주얼드, 애니팡에 맞서는 ‘매치3 게임’을 디자인하라!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성공한 첫 번째 매치3 게임은 ‘비주얼드’예요. 비주얼드 시리즈는 현재까지 1000만 개 이상 판매됐고, 매치3 게임의 재미 요소를 가장 잘 표현한 게임 중 하나로 평가를 받고 있어요.매치3 게임은 대부분 가로세로가 각각 7~8칸인 사각형 격자 구조를 가집니다. 타일의 형태는 보석, 동물, 사탕 등으로 ... ...
- [별헤는수학] 랜선으로 떠나는 우주 여행, 이번 정류장은 화성입니다수학동아 l2020년 06호
- 거미줄 모양의 지형과 침식된 흔적이 어떻게 분포하는지를 분석했습니다. 1만 명 이상의 참가자들이 화성 표면 사진을 보고 표시한 정보를 이용한 겁니다. 2019년에 발표한 논문은 8만 명이 넘는 참가자들이 4만 개로 쪼갠 221장의 사진에 표시한 결과를 분석한 내용이었습니다. 이를 통해서 봄철 ... ...
- 뇌는 왜 자꾸 먹으라고 명령하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렙틴을 투여했더니 음식 섭취량이 줄어 정상 체중으로 돌아온 것이다. 렙틴 유전자에 이상이 생겨 고도비만이 된 환자에게 렙틴을 투여하자 체중 감량 효과를 확인한 사례도 학계에 보고됐다. 콜먼 교수와 프리드먼 교수는 렙틴을 발견한 공로로 2010년 미국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래스커상을 ... ...
- [팩트체크] 모르고 먹는 미세플라스틱, 몇 개나 되는지 확인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미세플라스틱을 먹고 있다는 뜻입니다. doi: 10.1021/acs.est.8b04180김 교수는 “이 연구는 100μm 이상인 미세플라스틱만 분석한 것으로 연구 결과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며 “현재는 해염 이외에도 국내외 수산물을 통해 얼마나 많은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될 수 있는지 조사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 ...
- [퀀텀닷 완전정복]자체발광이란 이런 것, 돌돌 말고 피부에 붙이는 퀀텀닷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주요 재료로 사용한 물질이지만, 인체에 발암물질로 작용할 가능성이 알려지면서 더 이상 디스플레이에 쓰지 않는다. 2013년 일본의 전자업체 소니가 카드뮴을 사용한 퀀텀닷 TV를 출시했지만, 이런 이유로 1년 만에 시장에서 철수했다.결국 자발광 퀀텀닷 개발은 원점으로 돌아왔다. 세계적으로 ... ...
이전1681691701711721731741751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