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신
자기
그자신
글자모양
자체금융
금융
본래
d라이브러리
"
자체
"(으)로 총 5,134건 검색되었습니다.
코페르니쿠스의 원리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태양계가 속해 있는 우리은하가 우주 그
자체
라고 믿었다. 즉 우리은하는 광활한 우주 그
자체
이며, 태양은 그 중심에 있다는 것이다.1920년대에 들어와 이러한 믿음이 무너졌다. 먼저 미국의 천문학자 섀플리는 태양이 우리은하 중심에서 수만 광년 떨어진 변두리에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곧 2 ... ...
Part1. 해저도시 건축학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없습니다.”“사람은 햇빛 없이 살기 힘듭니다. 햇빛이 들지 않는 바다 속에서 산다는 것
자체
가 말이 안 됩니다. 어떤 나라가 막대한 예산을 들여 만들려고 할까요?”기자가 해저도시에 대해 물어봤더니 해양 과학자들, 공학자들은 한결같은 반응이었다. 관광이나 연구가 아니라 진짜로 살기 위한 ... ...
Part4. 인삼 약효도 장내미생물 덕분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정호상 연구관의 설명이다. 천연약물은 대체로 분자구조가 복잡하고 덩치가 커 그
자체
로는 흡수가 잘 안되는 반면 화학 약물은 비교적 구조가 간단하고 작아 장에서 그대로도 흡수되기 때문으로 보인다. 식약청은 앞으로 더 많은 화학 약물을 대상으로 흡수에 장내미생물이 관여하는가 여부를 ... ...
뉴로피드백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해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주류 학자들은 뉴로피드백의 효과
자체
는 어느 정도 인정하면서도 그 효과의 많은 부분이 플라시보 효과(위약효과)라는 의심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최근에 뇌 활동을 영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기술이 발전하면서 자가뇌조절 ... ...
2013학년도 달라지는 고려대 입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포토폴리오를 받지 않습니다. 공인외국어성적이나 각종 교과관련 교외 수상실적
자체
를 평가에 반영하지 않고요. 교내 수상실적의 경우는 수상실적도 중요하지만 자신의 진로에 맞는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모습도 평가요소로 반영합니다. 3년간 학생을 지도한 선생님이 기록한 ... ...
Part3. 비판과 한계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따라 지금보다 1만 배 이상 큰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있다.다중우주의 존재는 우주
자체
의 모습을 밝히는 의미도 있지만 또다른 의미도 있다. 우리가 수많은 우주 중 하나의 우주에 살고 있다는 발상의 전환이다. 랜드스케이프 다중우주에 따르면, 우리 우주는 마치 신이 만들기라도 한 것처럼 ... ...
A Little Neptune Suggests Big Things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대기를 관측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허블천체망원경을 사용했다. 너무 멀고 작아서 행성
자체
를 직접 보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행성이 항성 앞을 지날 때엔 항성에서 나오는 빛이 행성의 대기를 통과해 빛난다. 이 별빛을 분석함으로써, 베르타와 동료들은 물이 존재한다는 증거를 발견했다 ... ...
DNA오리가미로 나노로봇 만든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다양한 측면에서 세포의 행동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DNA오리가미는 그
자체
로도 흥미로운 대상이지만 새로운 생체조절물질로 쓰일 수 있다는 말이다. 생명체가 생명정보를 담는 물질로 DNA를 선택한 것은 어쩌면 필연이 아니었을까 ... ...
진흙 속 진주 : 일렉트로웨팅(electrowetting)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역할을 해서 상을 확대한다. (…중략…) 유리렌즈는 유연성이 없어 초점을 맞추려면 렌즈
자체
를 움직여야 한다는 최대의 약점을 안고 있다. 물은 두께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따라서 물로 렌즈를 만들면 초점을 맞추기에 편하다. 그런데 어떻게 물의 두께를 바꿀까. 과학자들은 ... ...
수학으로 외계인 찾는다! MIB(Math in Black)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페르미는 ‘모두 어디 있지?’라는 ‘페르미 역설’로 외계생명이 우리 곁에 없다는 것
자체
가 고도의 문명을 가진 외계생명이 없을 수 있다는 증거라고 밝혔다.페르미 역설을 해결하기 위해선 ‘페르미 문제’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페르미 문제는 기초적 지식과 논리적 추론만으로 짧은 시간 ... ...
이전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