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체"(으)로 총 5,134건 검색되었습니다.
- [데이터로 지구 지킨다] 전기가 집으로 오기까지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8호
- 손실은 어마어마해 분명 변화가 필요해요. 전기를 많이 쓰는 지역에서 필요한 전기를 자체적으로 생산하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지않을까요? ●2023년도판 한국전력통계, KEPCO●지역별 전력 현황과 전력자립도(2021),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2023년도판 한국전력통계, KEPCO화석연료 없이도 ... ...
- [기획] 골드수소, 탐사가 시작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7호
- 좋게 처리하는 과정이 지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아직 밝혀지지 않았어요. 골드수소 자체는 깨끗한 에너지원이지만, 골드수소를 산업에 활용하는 과정이 100% 청정하다고 확신할 수는 없다는 거지요. 지하에서 뜨거운 물을 끌어올려 전기를 생산하는 지열발전도 뜨거운 물이 터빈을 돌리는 ... ...
- [핫이슈] 소떡소떡? 소쌀소쌀! 지구를 지키는 쌀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6호
- 지지체가 될 거라고 생각했어요. 쌀알에는 작은 구멍이 많아 세포가 자랄 공간이 많고 쌀 자체에 영양분이 들어 있어 따로 영양분을 넣어주지 않아도 되거든요. 문제는 동물 세포가 붙을 때 필요한 물질이 쌀알에 없다는 것이었어요. 동물 세포는 다른 세포랑 붙을 때 아민기라는 특별한 부분과 ... ...
- 경사계로 화산 폭발 감지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사람의 목숨을 앗아가는 것은 물론 넓은 지역에 큰 피해를 주는 무서운 자연재해다. 폭발 자체가 일어나지 않게 할 수는 없기 때문에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재해가 일어나기 전에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먼저 화산 주변에서 지진 횟수가 증가하면 화산 폭발이 일어날 확률이 높다. 마그마가 지층을 ... ...
- [기획] 아직 젊은 당신이 혈당을 관리해야 하는 이유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비만, 당뇨 등의 질병 원인과 치료를 연구하는 김하일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는 “혈당 자체가 체중 감량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혈당 스파이크가 자주 발생한다는 건 혈중 포도당의 양이 많다는 걸 의미한다”며 “높은 혈당은 지방 축적과 체중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 ...
- [인터뷰] 전 국민의 화학 선생님, 여인형 교수 “이 세상에 화학물질이 아닌 것이 있을까요?”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더 자세히 공부해서 알아가는 게 기뻐요. 결국 제가 스스로 공부하고 찾아보는 것 자체가 동기부여가 되기 때문에 (대중을 위한 글쓰기가) 힘든 일이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모든 과학을 연결하는 것이 화학의 매력 여 교수는 2023년 12월 무려 640쪽이나 되는 신간 ‘여인형의 화학 공부’를 ... ...
- [이달의 책] 은하 도슨트가 안내하는 우주의 걸작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사는 현실에서 직접 보고 만질 수 있는 것보다 그럴 수 없는 것이 훨씬 많다는 사실 자체는 더 이상 놀랍지 않다. 이미 자주 듣고 또 놀랐기 때문이다. 즉 이젠 우리가 흔히 보기 어려운 이미지라는 점만으로는 충분히 경이롭지 않다. 그 희귀한 이미지에 담긴 의미와, 그동안 볼 수 없었고 이제는 볼 ... ...
- [특집] 개코, 복제해도 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법적, 윤리적 의무를 반드시 법에 명시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동물을 복제하는 과정 자체가 생명 윤리에 어긋난다는 지적도 있어요. 한 마리의 동물을 복제하기 위해 이론적으로는 난자를 채취할 동물과 대리모 역할을 할 동물, 2마리가 필요해요. 문제는 복제의 성패를 사람이 예측할 수 없다는 ... ...
- [기획] 혈당 스파이크? 기자가 직접 확인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불순물은 걸러내는 방식이죠. 이때 포도당은 끓는점에 도달하지 못한 물과 남게 돼 술 자체에는 포도당이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안심하고 술을 마셔선 안됩니다. 혈당을 올리지 않을 뿐 건강에 아무 영향이 없는 건 아니니까요. 술을 마시면 혈당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간이 ... ...
- '자체발광' 발광식물 연구 히스토리과학동아 l2024년 04호
- 6학년이던 2020년부터 발광식물을 직접 만들어보고자 연구를 시작했죠. 발광식물은 자체적으로 빛을 내는 식물을 말합니다. 식물에 특정 효소나 유전자를 주입해 만들죠. 발광식물 연구가 시작되던 1980년대, 초기 아이디어는 반딧불이와 심해 생물이 발광을 내는 데 활용하는 화학물질인 루시페린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