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입자물리학의 메카' CERN 50주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비밀을 파헤치는 세계 최대의 입자물리연구소다. 그 명칭에 유럽이라는 지역적
한계
를 담고 있지만 사실은 유럽의 국가나 과학자만이 참여하진 않는다. 현재 유럽을 포함, 86개국에서 1만여명의 과학자가 CERN의 연구에 동참하고 있다. 전세계 입자물리학자가 약 1만3000명 정도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 ...
3. 첨단 나노기술로 웰빙의약품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부작용이나 불편이 만만치 않은 것은 현재 쓰이는 약물전달시스템(DDS, Drug Delivery System)의
한계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과학자들은 부작용과 불편을 최소화하는 새로운 약물전달시스템을 개발하는 실마리를 나노과학에서 찾고 있다. 나노약물전달시스템이 어떻게 웰빙의약품을 만들어주는지 ... ...
뇌지문으로 거짓말 탐지할 수 있나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주관적 해석이나 검사 조건 때문에 생기는 영향도 크게 줄일 수 있다.하지만 이 역시
한계
는 있다. 권준수 교수는 “검사 당시 생리 중이거나 주위 온도가 평균치를 밑돌 때, 검사자의 두개골 두께에 따라 얼마든지 검사 결과는 달라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김현택 교수도 “사건과 상관없는 화려한 ... ...
나노와 바이오의 퓨전 시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나노기계나 나노구조물을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나노소자는 현재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
에 도달하고 있는 반도체칩 개발에 돌파구가 될 전망이다. 잠재력 무한한 NBT 이번 특집에서는 이런 미래의 꿈을 실현시키기 위한 첫걸음을 내딛고 있는 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의 현주소를 소개한다. ... ...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여러 분야의
한계
를 극복하려 하고 있다.예를 들어 반도체칩은 현재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
에 도달하고 있다. 조각가가 정과 망치로 원하는 형상에 이를 때까지 돌을 깎아내듯이 반도체칩은 원리적으로는 같은 과정인 리소그라피, 즉 식각공정기술로 만들어진다. 집적도를 더 높이려면 ㎚수준의 ... ...
숨 못 쉬는 조산아 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못한다고 한다.송 교수와 이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인공태반은 이 같은 현대의학의
한계
를 극복할 수 있는 열쇠인 것이다. 어떤 방법으로 폐가 미숙한 조산아의 생명을 유지시킬 수 있을까.연구팀이 실험에 이용한 동물은 염소. 임신한 염소를 전신마취한 후 제왕절개한다. 자궁에서 태자의 뒷다리 ... ...
세계 3번째로 큰 공룡 한국에 왔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주위에 산다는 사실도 이곳에 와서 처음 알았다. 우리나라는 철갑상어가 살 수 있는 북쪽
한계
선이라고 한다.이곳에 전시되지는 않았지만 발가락이 7개인 개구리와 올챙이를 엄마 배에서 키우는 개구리, 50만 마리의 병정 개미가 보여주는 놀라운 ‘집단 지능’, 다른 식물과 달리 밤에 이산화탄소를 ... ...
신에너지혁명이 시작된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대란이 시작되고 41년 뒤에는 지구에 매장된 석유가 바닥난다는 현실이다. 화석연료의
한계
를 극복할 대안으로 손꼽히는 것이 재생가능에너지와 수소. 이들은 과연 지구촌에 몰아 닥친 에너지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까. 아직까지 현실이 되지 않았지만 궁극적인 미래 에너지로는 무엇이 있을까 ... ...
도시에도 바람길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생활공간을 조성하는데 기본전제가 되고 있다.신선한 찬공기가 도시로 유입되는데는
한계
가 있다. 때문에 주거지 인근에 산재하고 있는 5ha 이상의 숲이 있는 구릉지는 적극 보호해야 한다. 도심으로 불어오는 찬공기를 보호하고, 주거지역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찬공기의 흐름은 ... ...
04. 핵융합 vs. 우주태양광 - 2050년 상용화 목표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정도로 반감이 큰 원자력이 화석연료를 대체하기엔 왠지 꺼림칙하다. 수력 역시
한계
가 있다. 어떤 것도 화석연료와 양자택일할만하지 않다.21세기 에너지 소비 4백% 증가그렇다면 다른 후보는 없을까?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핵융합개발사업단의 한정훈 박사는 “핵융합뿐”이라고 말한다. ... ...
이전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