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자제품 연쇄 폭발 원인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증가하면서 부피도 크게 늘어난다. 결국 껍질이 내부 압력을 이기지 못하는
한계
점에 이르면 껍질이 터지면서 폭발하게 된다.이같은 현상은 전자레인지의 독특한 가열방식 때문에 일어난다. 대류현상을 이용해 음식을 데우는 다른 제품과 달리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파로 분자를 진동시켜 에너지를 ... ...
5. 검색능력이 경쟁력이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연구팀은 웹페이지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의 특성을 분석해 웹디자인이 인간 두뇌의
한계
를 보완해줄 수 있다는 점을 밝혀냈다.웹사이트 구조 역시 인지활동과 밀접히 관련돼 있다는 사실도 이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웹사이트 구조는 좀더 간편한 탐색을 위한 밑그림이다. 웹사이트는 깊이(depth)와 ... ...
기계가 정말 반란을 일으킬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것으로 1965년 고든 무어 박사가 주장했다. 당시 과학자들은 증가 속도의 물리적인
한계
를 얘기하며 무어의 법칙이 10년 내에 무너질 것이라고 생각했다.하지만 예상을 깨고 무어의 법칙은 지금까지도 지켜지고 있다. 앞으로는 어떻게 될까. 양자회로와 3차원 병렬연산칩이 등장하면서 무어의 법칙이 ... ...
만약 배낭로켓 메고 하늘 난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아있다. 안전성의 문제, 효율성의 문제, 그리고 기술적인
한계
까지. 만화 같은 세상을 만드는 일은 결코 만화처럼 간단하진 않다. 그러나 ‘차세대 연료’ 후보들이 앞다퉈 개발되고 있는 요즘, 배낭로켓은 과학자들의 실험실에서 아무도 모르게 조심스럽게 잉태되고 있다 ... ...
지식의 바벨탑 코스모피디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상황이 바뀐다. 극소수의 대가들이 생산하는 정보량만으로 현대 사회를 지탱하는데
한계
가 드러났기 때문이다. 좀더 많은 정보를 빠르게 수집하고 제공하는 새로운 구조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이에 적합한 형태로 제시된 것이 바로 코스모피디아였다. 코스모피디아는 어느 누가 주도적으로 지식을 ... ...
04. 남획 막아야 해양선진국 된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프로그램도 남획 방지를 위해 필요하다. 이 박사는 “정부 주도의 제도적 규제는
한계
가 있기 때문에 어민들이 남획 문제를 스스로 대처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해양수산부의 자율관리어업 프로그램은 이런 취지에서 시작됐다. 현 노무현 대통령이 2000년 8월 당시 해양수산부 ... ...
열정과 끈기로 저온의
한계
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내려가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특히 헬륨, 수소 등은 기체의 온도가 내려갈 수 있는
한계
점이 상온보다 훨씬 낮기 때문에 아무리 고압으로 압축한 뒤 저압으로 팽창시켜도 상온에서는 냉각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이 때문에 다양한 원리를 이용한 극저온 냉동기가 필요하다.극저온 냉동기는 여러 ... ...
무적의 보안기술 양자암호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변하지 않고 전달될 수 있는 최대 거리가 약 1백20km에 달한다고 한다. 거리상으로는 이미
한계
에 도달한 셈이다. 하지만 이 정도 거리는 대도시 내부 또는 가까운 도시 사이의 양자암호통신이 가능하다.양자암호기술을 광섬유통신뿐 아니라 위성통신에도 적용하려는 실험이 진행 중이다. 현재 영국 ... ...
마침내 모습 드러낸 파란장미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연구도 활발하다. 메이슨 박사는 “유전자변형기술은 식물이 본래 갖고 있는 게놈의
한계
를 뛰어넘을 수 있고 신속한 품종 개발을 가능케 한다”며 “전통적인 육종법과 병행하면 앞으로 놀라운 품종들이 쏟아져나올 것”이라고 전망했다.그렇지만 유전자변형 식물이 유통되는 것이 문제가 되지 ... ...
03. 물고기 호텔, 바다목장이 양식 확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경우 어느 정도 규모 이상이 되면 더이상 확대가 어렵다. 인위적으로 먹이를 주는데
한계
가 있고, 제한된 공간에서 고밀도 사육이 가능한 어종이 한정돼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환경파괴를 우려해 일정 면적 이상은 설치하지 못하도록 법이 규제하고 있다.그래서 과학자들은 바다목장에 주목했다.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