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UN, 남극 개발붐 경고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또는 서방이각이라 한다 위치상 내행성은, 이각이 어느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없으며 이때
한계
가 되는 각을 최대각이라 한다 수성의 최대이각은 28˚이고 금성은 48˚이다 외행성의 이각은 최대 1백80˚이며 이는 곧 충을 의미한다행성의 이각이 90˚일 때를 말하며 내행성은 구를 이룰 수 없다 태양의 동 ... ...
세계 최대의 온라인 가상연구소 '이노센티브' 출범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지식중개 채널이다. 현재 기업은 연구개발에 사활을 걸고 있지만 연구자를 확보하는데
한계
가 있을 수밖에 없다. 반면 과학자 중에는 뛰어난 능력을 갖고 있지만 기업이 당면한 문제를 접하지 못해 능력을 발휘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이노센티브가 유용한 통로가 된다.이노센티브는 의뢰자인 ... ...
블랙홀 탄생의 순간, 우주가 놀란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이는 철이 우주에서 가장 안정된 물질이기 때문이다. 철로 구성된 핵의 질량이 어느
한계
를 넘으면 붕괴해 중성자별이나 블랙홀이 된다.질량이 태양의 8-20배인 별은 초신성폭발을 일으켜 주위의 물질을 날려버리고 가운데 중성자별만 남긴다. 한편 질량이 태양의 20-40배인 별은 블랙홀로 붕괴하는데 ... ...
1. 공간_공간의 융합이 시작된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정보는 많이 저장하고 있지만 인간의 명령없이는 아무것도 이룰 수 없는 가상 공간의
한계
를 물리적 공간에 촘촘히 박혀있는 작은 컴퓨터와 센서로 극복하자는 것이다. 이처럼 유비쿼터스 시대는 정보화의 최종 단계에서 시작된다.그렇다면 유비쿼터스 공간은 어떤 모습일까. 최 교수는 “컴퓨터 ... ...
풍선 타고 우주 향하는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내려 1분에 약 3백m의 속도로 3.34km까지 올라갔다.풍선을 타고 오를 수 있는 고도의
한계
는 풍선이 얼마나 버텨주느냐에 달렸다. 그는 당초 4.5km까지 오르기를 기대했지만 풍선은 3.34km에서 터지기 시작했다. 풍선이 터지기 시작하면 더이상 높이 올라갈 수 없다. 이때부터 그는 지상으로 내려오기 ... ...
3. 거리_디지털 거리를 걷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바뀌면 새로운 형태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물리공간과 전자공간의
한계
를 뛰넘는 새로운 형태의 커뮤니티와 사업들이 일어나고, 또 다른 방식의 만남들이 생겨난다. 새로 나온 디지털 미디어 기술과 응용제품을 실험하는 대규모 실험장도 바로 DMS가 될 것이다.모든 미디어가 ... ...
5. 공공서비스_편리하고 똑똑해진 공공 서비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않아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은 온라인 공공서비스의
한계
를 보완하면서 새로운 서비스 영역을 개척해 나간다.앞서 언급한 것처럼 유비쿼터스의 핵심인 무선·모바일·센서 기술은 온라인보다 한층 더 빠르고 편리한 공공서비스를 보장한다. 모바일 민원서비스가 ... ...
누가 다윈의 진정한 후예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일어나는 진화 과정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입장인데, 이것이야말로 다윈 진화론의
한계
를 보여주는 가장 극명한 예입니다. 지난번 다윈의 식탁에서 공룡 멸종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6천5백만년 전에 운석이 떨어지지 않았다면 생명의 역사에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를 상상해보자고 한 적이 ... ...
01. [시간의 기원] 시간의 시작은 있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시간불변·등방균일이 아니라 팽창·등방균일로 바꿔놓았다. ${10}^{-43}$초 접근
한계
그런데 팽창하는 우주가 시간의 기원에 어떤 의미가 있다는 것일까. 서울대 물리학과 조용민 교수는 “팽창하는 우주를 시간적으로 거꾸로 돌리면 어떻게 되겠느냐”고 되묻는다. 과거에는 지금의 우주보다 작은 ... ...
말라리아 퇴치, 미꾸라지가 나선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고온에서도 살 수 있다. 한편 미꾸라지는 염도 0.8%에서도 죽지 않으므로 염도 0.5%가 생존
한계
인 모기 유충보다 한수 위다.미꾸라지는 영하의 겨울철에도 생존할 수 있는데다가 서식처의 물이 마르거나 혹한 또는 혹서의 환경 속에서는 30cm 안팎의 진흙 속으로 파고 들어가 열악한 환경을 견디며 살아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