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신
자기
그자신
글자모양
자체금융
금융
본래
d라이브러리
"
자체
"(으)로 총 4,233건 검색되었습니다.
안 봐도 보이는 모자 색
과학동아
l
200503
것 때문에 이 문제는 신기하게 보인다. 하지만 뒤의 두 사람이 모르겠다고 답하는 것
자체
가 힌트가 될 수 있다는 데에 생각이 미치면 아주 어려운 문제는 아니다.세 사람을 앞에서부터 A, B, C라고 하자. 만약 A와 B가 모두 빨간 모자를 쓰고 있다면 빨간 모자가 2개뿐이므로 C는 자기 모자가 희다는 ... ...
3. 디자인이 매뉴얼
과학동아
l
200503
어디에 쓰이는지 모르는 외국인도 키를 제대로 잡아 위아래로 흔들어봅니다. 디자인
자체
가 사용설명서인 셈이지요.”독일 메르세데스벤츠사의 좌석조절버튼도 형태가 곧 매뉴얼인 대표적인 사례다. 보통 좌석의 높낮이나 각도를 조절할 때는 레버를 회전시키거나 당겨 몸을 움직여 맞춘다. 그런데 ... ...
지자기 북극과 남극 바뀔까
과학동아
l
200503
시작하게 된 것은 최근 지자기 역전 현상에 대한 조짐들과 무관하지 않다. 지자기
자체
에 대해서 알려진 것이 너무나 없다는 것도 한 가지 이유다.그간 지자기 측정은 덴마크가 1999년에 발사한 인공위성 에르스텟과 독일이 2000년에 띄운 원격위성 챔프가 도맡아왔다. 에르스텟은 주로 지자기 측정을, ... ...
화상전화기 vs 음성전화기
과학동아
l
200503
얼굴 표정을 직접 볼 수 있어 서로 더욱 친밀해지고, 결과적으로 화상통신이 통신
자체
를 더 인간적으로 변모시킬 것이라고 설파했다.화상전화기에 대한 이런 기대감들로 AT&T는 화상전화 상용화에 5백만 달러라는 거금을 투자했다. 1970년 드디어 피츠버그에서 가정용 화상전화 서비스가 시작됐다. AT ... ...
한계없는 커뮤니케이션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503
와이브로 단말기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밖에 포스데이터와 LG전자도 휴대인터넷 장비를
자체
개발 중이어서 와이브로는 서비스와 장비가 나란히 국산화의 길을 걷고 있다.신규서비스에 대한 기대감은 벌써부터 일반 이용자들 사이에서 높다. 최근 ETRI가 발표한 ‘와이브로 수요전망 및 단말기 ... ...
라부아지에 산소 실험
과학동아
l
200503
결합한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이미 라부아지에는 프리스틀리와 달리 산화수은
자체
가 공기 중에서 수은이 천천히 연소해서 생긴 물질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던 것이다. 더구나 수은과 결합해서 산화수은을 만든 성분은 공기 중에서 호흡을 돕는 성분이었고, 남은 부분은 호흡을 하기에 ... ...
풍력, 제2의 벤처 바람 몰고 온다
과학동아
l
200502
필요하다”고 말했다. 유니슨은 3년 전 한국 실정에 맞는 중저속 풍력발전기 750kW급
자체
개발을 시작해 시운전을 눈앞에 두고 있다. 작년에는 2000kW급 풍력발전기도 개발에 들어가 2007년 완성 예정이다. 김두훈 부사장은 “이런 속도라면 2011년경에는 풍력발전기술의 국산화가 30%에서 많게는 ... ...
3. 진화론 알아야 세상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502
생각하다진화론은 우리 몸을 바라보는 시선 뿐 아니라 개체와 자아, 지능 등에 대한 개념
자체
를 흔들고 있다. 영국 옥스퍼드대의 동물학자 리처드 도킨스 박사는 1976년 ‘이기적 유전자’를 출간해 그 서막을 울렸다. 엄청난 센세이션을 불러일으킨 이 책에서 그는 “개체는 유전자의 증식을 위해 ... ...
줄기세포 치료의 열쇠는 분화 기술
과학동아
l
200502
적절한 신호를 받아 발생기원이 다른 세포로 직접 분화할 것이라는 가설. 조혈줄기세포
자체
가 원래 모든 장기로 분화하는 능력이 있다면 만능분화 가설과 같은 의미가 될 수 있다.성체줄기세포 연구의 역사100여년 전 몇몇 의사들은 빈혈이나 백혈병 환자에게 골수를 먹였다. 당시에도 골수안에 ... ...
수정란에서 신경세포가 탄생하기까지
과학동아
l
200502
뇌와 척수는 한번 손상되면 그 후유증이 평생토록 가는 걸까. 대부분의 장기나 조직은
자체
내에 줄기세포가 있어서, 비록 손상됐다 하더라도 줄기세포가 새로운 세포를 만들어내므로 재생이 가능하다. 그렇다면 우리 뇌와 척수는 줄기세포가 없어서 다시 회복되기 어려운 것일까. 21세기 과학의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