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계산"(으)로 총 5,05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영원한 ‘해바라기’~ 행성은 누구?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인정받으려면 이 조건에 모두 해당해야 한다. 예상했다. 해왕성이 태양을 도는 궤도가 계산한 것과 미세하게 달라, 그보다 더 바깥에 또 다른 행성이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그러던 중 1930년 미국의 천문학자 클라이드 톰보가 명왕성을 발견했다. 그리고 명왕성은 아홉 번째 행성으로 이름을 올렸다. ... ...
- [과학뉴스] 반데르발스 힘, 원자 단위에서 최초 측정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멀어질수록 급격하게 인력이 작아졌다. 하지만 반데르발스힘의 크기는 이론적으로 계산한 값보다 크게 나타났다. 특히 제논 원자의 경우 이론값보다 최대 두 배에 가까운 수치가 나왔다. 연구팀은 “(다른 원자와 잘 상호작용하지 않는) 비활성기체지만 원자들 사이에 전하가 이동해서 약한 ... ...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인체에서 독성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단백질들과 얼마나 안정적으로 결합하는지를 계산해서 독성 여부를 예측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벤조피렌이라는 화학물질은 유전자에 결합해(위 그림), DNA 중합효소에 의한 유전자 복제에 오류를 일으키고 결과적으로 암을 유발한다.미국의 경우 로봇 ... ...
- [Career] 계산과학·공학을 쉽고 빠르게, 에디슨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전문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고 말했다.윤 씨는 “에디슨에 연동된 슈퍼컴퓨터로부터 계산자원을 제공받아 사용할 수 있어 굳이 좋은 성능의 컴퓨터를 갖추지 않아도 됐다”며 “이번에 쓴 논문을 해외학술지에 제출하려고 준비중”이라고 했다. 그는 “에어포일이 손상됐을 때 비행에 미치는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24차원에서 공을 촘촘히 쌓으려면?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증명했습니다. 250쪽 분량의 논문은 3기가바이트 분량의 컴퓨터 프로그램 알고리즘과 계산 결과로 이뤄져 있었지요.컴퓨터의 힘을 빌린 증명이라 헤일스 교수는 오류가 없는지 한 번 더 확인하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2015년에는 연구진 21명과 함께 논문을 읽고 수학적으로 오류가 없는지 따지는 ... ...
- [소프트웨어] 눈 더미보다 더 빨리~ 날아라, 스키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이에 맞게 슬로프가 그려지지요. 수식을 바꿀 때마다 슬로프의 모양이 변해서, 굳이 계산해보지 않고도 어떤 그래프로 그려지는지 한눈에 알 수 있어요. 친구와 함께 각자 수식을 넣어 슬로프를 다양하게 바꾸면서 누가 빨리 도착하는지 겨룰 수도 있지요.신나게 슬로프를 달려 내려오면서 ...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돔이 됩니다.지오데식 돔은 모든 면이 삼각형으로 이뤄져 있어 삼각형의 변의 길이를 계산한 다음 뼈대를 계속 이어나가는 식으로 만들면 됩니다. 무척 간편한 방법이지요. 뿐만 아니라 모든 면이 삼각형이기 때문에 큰 힘이 가해져도 뼈대가 휘거나 부러지지 않는한 전체적인 모양을 유지할 수 ... ...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간단한 원리지만 돛이 펴지면서 발생하는 마찰력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세밀한 계산과 여러 번의 시뮬레이션 작업이 필요하다.돛의 방향으로 궤도를 조정하기 때문에 자세 제어 기술도 중요하다.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의 이카로스는 돛의 반사율을 조절해 회전을 제어한다. 돛의 네 ... ...
- [지식] 매운맛 커리를 만드는 황금비 0.4초, 50도, 5:4:9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최적의 슛을 분석하는 노아바스켓볼은 공이 림에 들어가는 각도에 따라 남는 공간을 계산했다. 그 결과 공이 림에 들어갈 때 각도가 적어도 32도가 돼야 공이 림에 들어갈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32도로 들어가는 공에게는 타원으로 찌그러진 림의 단축★ 길이가 농구공 지름과 같은 24.64cm로 ... ...
- [매스미디어] 최초의 돌연변이 깨어나다!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펜실베이니아대에서 인간 유전체와 계산생물학을 연구하는 바룬 아가왈라 박사팀이 확률적 방법을 이용해 개발한 학 모형으로 어떤 종류의 돌연변이가 얼마나 자주 나타나는지, 그리고 어느 위치에서 발생하는지를 알 수 있다고 발표했던 것이다 ... ...
이전164165166167168169170171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