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날
고려대학교
고려대
고려대학
오래됨
상고
절벽
d라이브러리
"
고대
"(으)로 총 1,939건 검색되었습니다.
헤라클레스를 시험한 불사의 괴물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있기 때문에 그렇게 불렀다. 이 별은 황도 바로 옆에 위치한 아주 밝은 별이어서
고대
에 황도를 찾는 중요한 지표 역할을 했다. 바빌로니아시대엔 처녀의 허리띠로 알려졌었고, 중국에서는 봄철의 특별한 별로 인도에서는 밝은 것, 램프, 진주 등으로 이 별을 불렀다. 또한 아라비아 전설 속에선 ... ...
스티븐 메이슨 「과학의 역사」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파악해야 한다. 저자 메이슨은 특히 이런 점을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다.이 책은
고대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의 과학에서부터 현대 과학에 이르기까지 과학의 전 역사를 날카로운 역사의식으로 서술하고 있다. 특히 근대과학의 형성과정에 대한 저자의 통찰력은 매우 놀랍다. 이 책을 읽는 동안에 ... ...
새봄 새싹 위에 펼쳐지는 작은 촛불잔치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없던 시절 계절의 변화를 알 수 있게 해주던 중요한 지표였다. 따라서 이 별이 뜨게 되면
고대
인들은 매우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동쪽하늘에 크투루스가 뜨게 되면 건조한 계절이 시작되고 이때가 되면 여자들이나 습한 체질의 사람들은 자연적으로 무기력증에 빠지게 된다는 말까지 전해질 ... ...
과장보도로 공포감만 유발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것으로 보도된 D사는 "그런 피해를 입은 적이 없다"는 발표를 하기도 했다. 박명순교수(
고대
전산과)는 "언론의 과장보도가 오히려 업무마비로 인한 또다른 바이러스피해와 해커들의 바이러스개발을 자극한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그러나 언론의 대대적인 보도로 실제 6일과 13일에 바이러스피해가 ... ...
팔만대장경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글로 나타내 온세상에 알림으로써 그의 자비로운 전능을 얻을 수 있으리라고 믿었던
고대
인들의 소망이 인류 최초의 문서들을 남긴 것이다. 그러나 인쇄문화의 발달은 결코 신의 섭리를 널리 알리는 데만 그 기능을 발휘하지는 않았다. 더 많은 사람들에게 지식을 보급하고 후대에 지적 유산을 ... ...
곤충서 힌트 얻은 여섯발 로봇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생각보다 오래되었다. 인간이 자동기계에 대해 상상하기 시작한 것은 노예제도가 한참인
고대
그리스시대였다.노예에게는 일정 정도 이상의 노동을 시킬 수가 없었다. 그리고 항상 복종하기는 하지만 감정이 있는지라 때론 의외의 반란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스파르타쿠스의 반란에서 보였듯이 ... ...
유전학적 증거 갖고 두학파 맞서 네안데르탈인은 인류의 직계 조상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스트링거 박사의 주장보다 훨씬 더 복잡해 여러가지 상이한 경로를 따라 이뤄졌고,
고대
세계의 다른 지역과 얽혀 있다는 것이다. 그들은 이스라엘에서 현생인류와 네안데르탈인이 5만년동안 공존하고 있었으며, 두 종족은 지능수준이나 문화수준이 동일했다고 주장한다. "그들의 행동양식은 ... ...
신안 해저유물선 인양, 그후 8년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돼 있었기 때문에 그 화려한 부활이 가능했을 것이다.사실 중국과 일본의 앞바다에서
고대
의 목선들이 침몰했을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하지만 난파 후 오래지 않아 이들은 완전히 부식돼 사라져버렸을 것이다.물론 신안선의 경우에도 세월이 흐르는 동안 많은 부분이 유실됐다. 실제로 신안 ... ...
The Park Phenomenon 공원현상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귓가에서 지저귀고 손에 닿을만한 거리에서 뚫어지게 사람을 쳐다보기도 한다.우리의
고대
조상들은 바로 그들의 발아래 있어 방법만 알면 읽어낼 수 있었던 우리 지구의 멋진 역사에 대해 아무 것도 알지 못했다. 센트럴공원엔 약5억년전에 형성된 변성암(어찌나 단단한지 고층건물의 기초로 ... ...
(1) 우연한 발견이 역사를 뒤바꿔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1910년대에 이미 플라스틱제품이 생산됐으나 과학자들은 30년대까지 스타우딩거의 고분자설을 믿으려들지 않았다.분자량이 큰 화합물(대개 1만 이상)을 고분자(macromolecule)라 부른다. 고분자 과학의 역사는 60여년 밖에 안되지만 인간은 이 지구상에 태어났을 때부터 고분자를 의식주의 가장 중요한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