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류
구별
분할
분리
부분
갈라내기
선별
d라이브러리
"
구분
"(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공기파도’로 모양
구분
해 신약 효능 분석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1㎛=10-6m)밖에 되지 않는다.질량만 측정하는 기존 질량분석기로는 모양이 다른 물질을
구분
할 수 없다. 질량이 같은 물질을 모양에 따라 분리하려면 이동하는 동안 간격이 벌어져야 한다. 검출기에 도착하는 시간에 따라 어떤 물질의 표면적이 더 넓은지 알아낼 수 있기 때문이다.권 박사는 “기존 ... ...
[입학사정관제]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가산점을 주지 않기 때문에 특목고 학생들이 특별히 유리하지는 않다.특목고와 일반고를
구분
하기도 한다. KAIST는 특목고의 학생들은 지원할 수 없는 전형을 따로 신설해 모집하고, 성균관대는 특목고 졸업생의 경시대회 수상실적에 가산점을 주고 있다.입학사정관제에서 거짓말은 안 통한다? ... ...
[입학사정관제] 2010 입학사정관 전형 특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지원 가능입학사정관제를 실시하는 전형들은 대부분 지원자 모집에 인문계와 자연계
구분
을 두지 않는다. 과학재능과 관련한 전형은 전문 과학과목을 이수한 자연계열 학생에게 유리하고 글로벌 전형은 어학 학습을 좀 더 깊게 공부한 인문계열이 유리한 것처럼 전형의 성격과 관련실적의 분야에 ... ...
‘분장실의 강선생님’ 만든 분장화장품의 세계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엄청나다. 미묘한 색상의 차이에 따라 반사하는 파장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를
구분
해 다양한 색상을 개발하는 것이 안료회사의 독자적인 기술이다.분장기술의 발달은 분장 재료의 발달과 그 맥을 같이 한다. 우리나라에 분장이라는 단어가 처음 사용되기 시작한 1950~60년대에는 ... ...
시료 표면 분석해 업그레이드된 신소재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규소인지 알 수 없다. 나노SIMS는 철과 규소가 가지는 0.0189amu의 질량 차도 정확하게
구분
한다.원 박사는 “기존에 사용하던 SIMS와 이번에 도입한 나노SIMS는 모두 국내 최고 수준의 표면분석장비”라며 “부산센터에서는 신소재의 특성을 향상시키려고 노력하는 과학자들을 위해 표면분석 장비들을 ... ...
구분
구적법으로 무게중심 구하기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수학에서 다루는 무게중심과 과학에서 다루는 무게중심은 본질적으로 같다. 과학에서는 수학과 달리 속이 꽉 찬 물체의 무게중심을 주로 다룬다. 속이 꽉 찬 물체의 무게중심은 여러 번 적분을 반복하는 중적분으로 구할 수 있다. ...
헤엄 잘 치는 '밥도둑' 꽃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암수구별법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꽃게는 배딱지의 색으로도 암수의
구분
이 가능하다. 수컷은 배 쪽이 흰빛을 띠고 있지만, 암컷은 거뭇거뭇한 얼룩이 나 있기 때문이다. 수컷은 배딱지 안쪽에 기다란 두 개의 교미기가 달려 있어 번식기가 되면 암컷의 몸 아래쪽에 있는 두 개의 ... ...
신종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두 당단백질의 조합에 따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총 144가지(16×9) 아형(subtype)으로
구분
되며, H3N2, H5N1과 같은 식으로 나타낸다. 이번 신종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H1N1형이다.이렇게 이름 붙이는 이유는 두 당단백질이 바이러스의 복제와 증식에 열쇠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헤마글루티닌은 ...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병원성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있지는 않다. 일단 바이러스가 침투했다는 정보를 입수하면 (세포에는 바이러스의 RNA를
구분
해내는 RIG-I라는 분자가 있다) 사이토카인이라는 다양한 신호분자를 내보내 소탕작전에 들어간다. 혈관을 타고 뇌에 도달한 사이토카인은 시상하부를 자극해 몸에 열을 내고 염증반응을 일으킨다. 미생물은 ... ...
터미네이터 로봇의 진화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식이다.오 교수는 로봇의 지능을 곤충 수준, 동물 수준, 추론, 사람 수준 크게 4가지로
구분
했다. 곤충 수준 지능은 바퀴벌레처럼 잘 돌아다니고 싸우는 능력을, 동물 수준 지능은 강아지처럼 사람을 알아보고 스스로 중심을 잡는 능력을 말한다. 그는 “청소로봇은 바퀴벌레 수준으로 여기저기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