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류
구별
분할
분리
부분
갈라내기
선별
d라이브러리
"
구분
"(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경영학에 흥미가 있는 이과계열 학생이라면?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컨설턴트의 업무를 살펴보면 크게 ‘IT 기술 구현’과 ‘비즈니스전략 구현’으로
구분
할 수 있습니다. IT 기술 구현은 활용하기 쉽고 안정적인 시스템을 개발하는 업무를 말하고, 비즈니스전략 구현은 기업에 맞는 IT 기술을 적용해 현재 기업의 비즈니스 현황, 각 업무의 프로세스, 전략체계 등을 ... ...
광합성 고효율 비결은 양자 결맞음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수 없다.양자역학에서는 빛 또한 광자(photon)라는 입자로 보며 이 입자들 또한 서로
구분
되지 않는다. 이러한 입자들의 중요한 특성은, 그들이 어느 한 지점에 놓여있는 게 아니라 파동함수라 불리는 수식에 따라 넓은 공간에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이다.양자역학으로 사람들이 알아낸 또 다른 중요한 ... ...
내 PC를 지켜라!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비밀번호를 입력해 이뤄지는 것으로 게임 서버는 이 아이디와 비밀번호만으로 사용자를
구분
한다.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제대로 입력돼야 사용자는 서버에 저장된 자신의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인터넷 뱅킹도 마찬가지다.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사용자의 계좌 정보가 저장된 은행 서버에 ... ...
[천문우주]포착! 4개의 위성이 토성을 가리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고리의 평면이 우리의 시선방향과 나란해지면 적도 부근의 궤도를 돌던 위성들이 고리와
구분
돼 보이면서 사진과 같은 장관이 펼쳐진다.위성의 행렬을 이끄는 건 토성의 60개 위성 중 가장 크기가 큰 ‘타이탄’. 행성인 수성보다도 크다. 타이탄의 질소 대기는 태양빛과 반응해 오렌지색으로 ... ...
나방이 특정 냄새에 ‘필’이 꽂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나방이 꽃에게 날아가는 이유는 ‘필이 꽂힌’ 냄새가 있기 때문이다? 냄새를
구분
하는 비밀을 풀어줄 열쇠가 나방에서 나왔다.미국 애리조나대의 제프리 리펠 박사 ... 박사는 “나방은 마치 교향곡에서 몇 개의 선율만 듣는 것처럼 냄새를 맡는다”고 냄새를
구분
하는 원리를 설명했다 ... ...
서해서 큰소리치는 조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비늘 등 서로 비슷한 점이 많아 구별하기 어렵다. 어촌 사람들 중에도 이들을 정확히
구분
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니 해마다 가짜 조기 파동이 벌어지는 것도 이해할 만하다. 진짜 조기를 구별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참조기와 혼동할 만한 종으로는 부세, 황강달이, 보구치, 흑조기, 수조기 등이 ... ...
[해양학]유출된 기름띠 위성사진으로 찾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해양기상센서’(MODIS)로 찍은 위성사진을 이용해 기름띠와 오염되지 않은 해양을
구분
하는 방법을 찾았다고 지구물리학연구지(GRL) 1월호에 발표했다.후 박사팀은 적조현상을 분석하기 위해 멕시코만 해역의 위성사진을 분석하던 중 ‘거뭇한 띠’가 해양 표면에서 자주 관찰되는 점에 주목했다. ... ...
소행성이 혜성으로 변신한다고요?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변신하는 걸까.소행성도 아니고 KBO도 아니야사실 멀리서 관측하면 소행성과 혜성을
구분
하기 쉽지 않다. 다만 혜성이 기체를 내뿜어 핵 주변에 뿌연 코마를 갖거나 꼬리가 길게 뻗어 있다는 특징이 다른 점이다. 흥미롭게도 소행성대와 카이퍼벨트 사이에서 ‘센타우르’(Centaur)라 불리는 소천체가 ... ...
세계와 경쟁하는 과학영재의 산실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큰 변화는 학년 시스템과 수업 커리큘 럼에서 일어난다. 새로운 학년 시스템은 학년의
구분
없이 3년 동안 170학점을 이수하는 식으로 대학과 비슷한 시스템이 도입됐다. 이 제도에따 르면 신입생들은 최대5학기 만에 졸업이 가능하 다. 4학기 만에 졸업할수 있었던 기존 과학고시 스템에 비하면 고교 ... ...
봄철 생선의 대표 도다리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많이 나는 곳이라는 뜻이다. 접역에 살고 있는 민족으로서 최소한의 가자미류
구분
법 정도는 알고 있어야 하지 않을까.별미 맛보기외눈박이 물고기의 사랑은 가능할까류시화 시인은 ‘외눈박이 물고기의 사랑’이라는 시에서 전설상의 물고기 ‘비목’을 소재로 해 남녀 간의 깊은 사랑을 노래했다 ... ...
이전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