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본"(으)로 총 4,88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우주에 질량을 선물한 신의 입자 - 힉스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이후 전기적으로 중성인 약한 상호작용이 발견되고, 네 번째 쿼크가 발견되면서 모든 기본입자를 설명할 수 있게 돼 입자물리학의 ‘ 표준모형 ’이 됐다.한편 대칭성이 깨질 때 힉스 입자와 결합된 쿼크와 렙톤도 힉스와의 결합의 세기에 비례하는 질량을 가지게 된다. 결국 표준모형의 모든 입자는 ... ...
- 황금박쥐 아리랑5호과학동아 l2011년 06호
- 단계를 수행했다. 그 이후 위성설계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순차적으로 ‘시스템 기본설계(SDR)’, ‘시스템 예비설계(PDR)’, ‘시스템 상세설계(CDR)’를 거쳐 최종 위성을 설계했다. 개발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위성도 동시에 제작했다. 2008년 10월 비행모델(FM) 총조립 및 시험착수를 진행했다 ... ...
- 나만의 공부법부터 점검하라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적으면 돼. 그렇다면 컴퓨터는 좋아하니?” “별로 안 좋아해요.” “공학도가 되려면 기본적으로 컴퓨터와 친해야겠지. 네가 좋아하는 물리와 관련해서도 분명히 필요한 도구야. 자신의 꿈을 위해서라면 좋아하는 것만 할 수 없어. 싫어하는 것도 필요하다면 해야지. 그렇게 노력하는 자세가 ... ...
- 에베레스트 산 등정에 나서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카레랑 감자가 들어 있어요. 만두 같이 생긴…. 이름이 뭐더라?”“서모사! 이 정도는 기본이지.”이런 건 귀신같이 기억하는 허풍.“선생님, 네팔에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산이 있대요. 아직 아무도 정상에 올라가지 못했지만요.”“내가 경성에 있을 때 한라산과 백두산을 수십 번 올라갔다 왔지. ... ...
- [hot science] 스마트폰으로 내 위치가 샌다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인식하는 3가지 방법그렇다면 스마트폰에서는 어떻게 위치정보를 인식할까. 스마트폰은 기본적으로 이동통신사의 기지국과 항상 연결돼 있다. 기지국정보(Cell-ID)를 이용하면 대략적인 위치정보를 쉽게 계산할 수 있다. 스마트폰이 연결된 기지국과 주변 기지국의 위치정보와 신호세기를 측정해 ... ...
- 발명의 나라 스웨덴 4D프레임과 사랑에 빠지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있다. 연결대를 이용해서 연결봉과 연결봉을 연결해 수학구조물을 만든다. 연결봉은 기본적으로 길이가 3, 5, 6, 7, 10, 15cm이고 연결대는 발의 개수가 1, 3, 4, 5, 6, 8개지만 상황에 따라 가위로 잘라 원하는 크기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스웨덴 수학교사 100명, 4D프레임을 배우다“후후~, 돈다. ... ...
- 올해 KMO 1차, 예년보다 어려웠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게 중요하므로 상한값과 하한값의 차를 적게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여기서 상한값은 기본적이지만 하한값을설정할 때는 응용이 필요하다. 다른 방식으로도 풀 수 있다. 이 문제는 자주 출제되는 유형이므로 꼭알아두는 것이 좋다. 여섯 문제가 출제될 정도로 비중 높은 기하2009년과 올해 중등부 KMO ... ...
- 암산 왕과 암산 신동을 만나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어렵지 않게 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자연수의 암산 외에 분수나 소수의 암산도 기본적인 원리를 확장하면 모두 가능하다고 설명했다.암산 잘하면 수학 잘할까?인터뷰를 마쳤지만 여전히 암산을 잘하는 것이 수학을 잘한다고 볼 수 있는 것인가에는 의문이 남았다. 그래서 암산에 대한 ... ...
- [Sports Math] 김연아의 피겨, 점수로 분석하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더 공정한 점수를 주려고 올 시즌에는 점프의 회전부족을 더 세분화해 평가하고, 기본 점수도 수정했어요. 쇼트 프로그램의 과제도 하나 줄였고요. 앞으로도 계속 보완될 거예요 ... ...
- [남호영 선생님의 현문현답 1] 왜 1은 소수가 아닌가?수학동아 l2011년 06호
- 결과가 오직 한 가지밖에 없다는 성질은 ‘산술의 기본정리’ 라고 불릴 만큼 매우 기본적인 내용입니다. 어떤 수집합의 원소들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소인수분해 되느냐, 오직 한 가지 방법으로 소인수분해 되느냐는 수 집합을 연구할 때 중요한 기준이 되기 때문이죠. 그래서 1을 소수로 보지 ... ...
이전164165166167168169170171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