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본"(으)로 총 4,88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사람과 야생동물의 동거 생활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점차 다른 지역으로 확산됐다. 가축 자체가 전파되기도 했지만 사람들은 가축화에 대한 기본 아이디어만 도입해 그 지역의 토착종을 새로 가축으로 만들기도 했다. 인더스 강 유역에 살던 사람들은 중동에서 야생소를 길들이는 방법을 본 떠 그 지역의 야생동물인 혹 달린 소를 가축화했다.가축이 ... ...
- 자연의 가장 깊숙한 음악과학동아 l2011년 05호
- 날개의 비늘 케빈 맥캔지(아버딘대)]Kevin Mackenzie, University of Aberdeen/Wellcome Images음악의 기본, 리듬을 느껴 보자!생물을 찍은 이미지는 그 자체로 세밀한 반복 무늬가 된다. 사진은 마다가스카르 나방의 날개 비늘을 전자현미경으로 확대한 모습. 이 나방은 날개가 20cm, 꼬리가 15cm로 길게 ...
- 맥스웰의 도깨비를 찾아서 “아는 것이 힘이다”과학동아 l2011년 05호
- 파랑의 적절한 비율로 표현해주는 빛깔 삼각형을 만들었다. 오늘날 컬러 TV를 만드는 기본 원리다. 1856년 스코틀랜드 애버딘대에서 교수직을 제안 받은 맥스웰은 고향으로 돌아갔다.애버딘대에 머물며 맥스웰은 토성의 고리 문제를 해결했다. 당시 토성 고리의 기이한 구조는 천문학자들의 ... ...
- 눈먼 쥐의 일주리듬에 미치는 빛의 영향 확인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원뿔세포가 작동하지 않는 쥐를 대상으로 정교한 시각테스트를 한 결과 이 녀석들이 기본적인 시각패턴을 구분할 수 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영국 맨체스터대 로버트 루카스 교수팀 역시 포스터 교수의 발견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를 지난해 학술지 ‘플로스 바이올로지’에 발표했다. 연구자들은 ... ...
- “도전하는 학생들의 IT 창작소”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의사소통력을 키워주고 있다. 선린인터넷고가 바라는 인재상은 어떤 모습인가?인성은 기본이다. 여기에 자신만의 독특한 창의성이 있어야 한다. 뭐든지 궁금해 하고 도전하고 싶어 하는 학생들이 많이 들어왔으면 좋겠다. 최근에 동아일보에서 ‘100인의 리더’로 뽑힌 김가영 졸업생이 있다. ... ...
- 생명의 기원, DNA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1년 04호
- 구조를 살펴보자. DNA는 인산기, 5탄당, 질소 염기의 세 부분을 기본 구조로 갖고 있다. 이 기본 구조를 뉴클레오티드(nucleotide)라 한다. DNA를 이루는 인산기와 당 분자는 동일하지만 질소 염기는 아데닌(adenine), 구아닌(guanine), 시토신(cytosone), 티민(thymine)의 4가지 다른 염기를 갖 ...
- 소프트웨어 개발의 시작과 끝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실무기술만을 배우며, 대부분의 프로젝트는 성과 위주로 평가받는다. 그러다보니 정작 기본 능력을 배양할 기회는 드물다. 개발자나 개발자를 꿈꾸는 학생들은 인터넷이나 블로그에서 다양한 정보를 얻고 있지만 그 정보들을 ‘재생산’하는 경우는 드물다. 그들은 많은 것을 익히고 많은 생각을 ... ...
- 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과학동아 l2011년 04호
- 한 번에 하나의 정보만 표현할 수 있다. 반면 양자 컴퓨터는 큐비트(양자비트)를 정보의 기본 단위로 쓴다. 큐비트는 0과 1의 중첩 상태에 있다. 양자 컴퓨터는 이 중첩 상태에 양자역학적인 상호작용을 가해 계산한다. 따라서 10큐비트라면 1024개만큼의 계산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초전도체를 이용한 ... ...
- 광펌핑 세슘원자시계 KRISS-1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시간개념과 합쳐 표준값을 이끌어내는 식이다. 미터는 물론 칸델라, 암페어 등 다른 기본단위도 이런 식으로 만든다.1초=세슘원자 92억 번의 진동결국 정확한 ‘시간’을 알 수 없다면 1m는 물론 1cd도, 1A도 구해내지 못한다. 현대 사회에서 과학이란 ‘시간으로 만드는 공식’에서 출발한다고 ... ...
- 지능형 데이터시스템 공학과학동아 l2011년 04호
- 데이터시스템 공학은 학부 수준에서 세부적인 지식을 쌓기는 어렵다. 컴퓨터공학에 대한 기본적인 토대를 쌓고 나서, 더 세분화되고 전문적인 지식을 대학원에서 배우는 게 좋다. 이론적으로 깊게 접근하거나, 실제 응용분야에 대해 연구할 수 있다. 또 대학원에서는 학부과정과 달리 산업체와 ... ...
이전1671681691701711721731741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