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슬기로운 동물원 생활] '표범' 하늘을 걷는 직지, 건강의 비결은 통나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직지는 만 15살로, 어느덧 사람으로 치면 노년이 되었어요. 표범의 평균 수명이 15 ~ 20년 정도라, 언젠가 정말 하늘을 걷는 표범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지요. 오늘도 반가운 직지의 눈을 마주치면서 하루를 시작합니다. 수의사 싫어! 야생을 간직한 표돌이동물들은 사실 수의사를 싫어합니다. ... ...
- [질문하면 답해 ZOOM] 모기에 물리면 간지러운 이유는 무엇인가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우유와 재료가 어는 이유는 철판의 온도 때문이에요. 철과 같은 금속은 열을 전달하는 정도인 ‘열전도도’가 높아요. 금속 안에는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자유전자’가 있는데, 이들이 서로 자주 부딪치며 열을 전달하기 때문이에요. 이런 이유로 철판은 냉동실에서 금새 온도가 떨어지고, 우유와 ... ...
- 우주 개척 시대의 열쇠는 민간 기업에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사용했던 우주왕복선의 경우, 한 번 발사하는 데 무려 16억 9700만 달러(2조 원)정도의 비용이 들어갔답니다. 이 우주왕복선을 30년간 우주로 쏘아 올리면서 1740억 달러(206조 원)를 썼죠. 이는 우리나라 1년 국가 예산의 절반에 육박하는 금액이랍니다. 결국 NASA는 이 예산을 감당하지 못해 2011년,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따뜻한 불빛이 반짝 반짝! 양초로 집 꾸미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뜨는 힘이 생기는 거죠. 5인용 열기구의 풍선에 들어가는 공기의 양은 2800m3 정도예요. 이정도 양의 공기는 대략 840kg의 무게를 들어 올릴 수 있답니다. 그래서 열기구가 하늘로 뜨는 거예요. 열로 가벼운 공기를 만드는 대신, 풍선을 헬륨 등의 가벼운 기체로 채워 띄울 수도 있어요. 거대한 헬륨 ... ...
- [헥!헥!핵물리학자] 쪼개고 또 쪼개면 세계의 근본을 알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양전하나 음전하를 띠기는 하지만, 쿼크가 만드는 전자기력이 양성자와 중성자를 이룰 정도로 안정적으로 쿼크를 묶을 수 있는 조건은 아니거든요. 양성자와 중성자를 만든 힘은 ‘강한 핵력’쿼크를 꽁꽁 묶는 힘은 강한 핵력이에요. 우리에게 익숙한 중력, 전자기력과는 완전히 다른 ... ...
- [특집] 세상 끈질긴 생물막, 극한 환경에서도 살아남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있어요. 고균에 속하는 술포로부스(Sulfolobus acidocaldarius)죠. 이들은 75~80℃의 고온과 pH 2~3 정도의 강산성 환경에서 가장 잘 자라요.극한 환경에서도 미생물이 살 수 있는 이유 중 하나는 생물막이에요. 생물막 속의 미생물은 생존에 크게 두 가지 이점을 가지고 있어요. 우선, 생물막의 구성 성분인 ... ...
- [과학뉴스] 유해물질 감지하는 컬러 센서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센서 기판 위에 바이러스를 얇게 코팅했지요. 그 결과 수십 ppb* 농도에도 색이 변할 정도로 민감하고 빠르게 색이 바뀌는 센서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답니다. 용어정리*ppb : 아주 적은 양이 들어 있는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며, 10억분의 1 단위다 ... ...
- [쇼킹사이언스] 눈에서 이빨이 난다고? 고래상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바다 전역에서 발견되며, 플랑크톤이나 작은 물고기를 먹고 살죠. 평균 몸길이는 10m 정도이며, 2001년에는 아라비아해에서 무려 19m에 달하는 고래상어가 발견되기도 했답니다. 고래처럼 몸집이 큰 상어라서 ‘고래상어’라는 이름이 붙었는데, 큰 덩치에도 불구하고 매우 온순한 성격의 반전 매력을 ... ...
- [통합과학 교과서] 독약의 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뭉툭한 결정이 모여 반복적으로 배열돼 있었어요. 이 결정은 머리카락 굵기의 1000분의 1 정도로 아주 미세한 크기였지요. 이런 결정들이 겹쳐 있는 모습은 마치 제주도에서 볼 수 있는 수직 돌기둥인 주상절리와 비슷해 보였어요.연구팀은 주사투과전자현미경을 통해 법랑질의 주 성분도 자세히 ... ...
- [기획] 봉산을 점령한 대벌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결과, 한 마리의 대벌레는 하루 평균 약 4cm2의 나뭇잎을 먹었어요. 무게로 따지면 약 0.9g 정도지요. 또, 알려진 만큼 알을 많이 낳지도 않아요. 경기도농업기술원 환경농업연구과 이진구 박사는 “최근 뉴스에서는 대벌레 한 마리가 600~700여 개의 알을 낳아 빠르게 번식한다고 알려졌지만, 대벌레를 ... ...
이전164165166167168169170171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