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슬기로운 동물원 생활] 사자 '도도'가 식욕을 잃은 까닭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머무는 방에는 침상이 두 개나 있는데도 말이죠. 침상 하나는 한 마리가 누우면 딱 맞을 정도로 매우 좁다 보니, 먹보는 어쩔 수 없이 도도의 몸에 다리를 올릴 수밖에 없어요. 그 모습이 꼭 끌어안고 있는 것처럼 보인답니다.도도와 먹보가 동물원 생활을 더 즐겁게 할 수 있도록, 사육사가 장난감을 ... ...
- [특집]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 비행한 태양광 무인 비행기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목표가 있다면?다음 목표는 울진에서 독도까지 비행기를 왕복시키는 거예요. 왕복 400km 정도 되는 거리랍니다. 장거리 비행은 쉽지 않아요. 비행기를 눈으로 볼 수 없는 상태에서 지상으로 전송되는 비행기의 상태 정보로만 비행 상황을 파악해야 하기 때문이죠. 남극 비행도 도전하고 싶어요. ... ...
- [현장취재] 박쥐 탐사대, 도시 박쥐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어서 방역 복장을 갖춰 입기도 해요. 하지만 국내 박쥐들은 그 정도로 위험하지 않아 방역복까진 필요 없죠. 다만 맨손으로 만지거나 채집하는 건 위험할 수 있느니 눈으로만 관찰하고 소리 데이터만 수집해 주세요. 그리고 박쥐가 나오는 동굴이나 폐광에 갈 땐 마스크를 꼭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콩의 변신은 무죄! 콩으로 두부를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특히 단백질 함량이 약 40%로 가장 높아 ‘밭에서 나는 소고기’라고 부를 정도지요. 콩 속 단백질 중에서도 약 90%는 글리시닌 단백질이에요. 글리시닌은 마그네슘과 만나거나 산성인 환경에서 응고*되는 성질이 있어요. 콩을 물에 불린 후 갈면 콩 속에 있던 글리시닌이 나와요. 곱게 갈수록 콩 ... ...
- [통합과학 교과서] 과자보다 맛있는 복숭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식물의 꽃가루를 옮겨 수분과 수정을 돕는 대표적인 곤충이에요. 전 세계 농작물 60~70% 정도의 수분을 꿀벌이 맡고 있지요. 그런데 최근 꿀벌이 사라지고 있어요. 올해 2월, 캐나다 오타와대학교 생물학과 제레미 커 교수는 약 100년 동안 북미와 유럽의 기온과 호박벌의 개체 수를 분석한 결과를 ... ...
- [기획] 1장. 초정밀 ‘키블 저울’ 찾아 지하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않는다고요? 0.0000001kg, 즉 100㎍*까지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요. 머리카락 한 올이 0.002g 정도라 치면, 머리카락 무게의 1/20까지 측정할 수 있는 거예요.“키블 저울이 워낙에 정밀하다 보니, 사람이 느끼지 못하는 건물의 미세한 진동도 측정에 영향을 미쳐요. 그래서 상대적으로 진동이 적고 고요한 ... ...
- [헷갈린 과학] 잎과 줄기로 구분해! 무궁화 vs 부용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초록빛을 띠고 털이 있어요. 또, 부용의 잎은 길이와 너비가 10~20cm로 무궁화 잎보다 두 배정도 크지요. 세로로 길쭉한 무궁화 잎과 달리 넓적한 것이 특징이랍니다. 이제 두 꽃을 구분할 수 있겠죠 ... ...
- [헥!헥! 핵물리학자] 흡사 입자 탐정 수사극? ‘검출기’ 속 입자의 흔적을 추적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양의 물질로 만들어요. 입자가 다른 물질과 상호작용을 하면 경로가 조금씩 바뀌며 휜 정도가 달라져 운동량을 계산할 때 오차가 생길 수 있거든요. 입자의 경로를 알아내는 데 필요한 만큼만 상호작용을 하도록 검출기를 만들어야 해요.최근에 CERN에 설치된 검출기에는 50~300μm* 두께로 매우 얇게 ... ...
- [가상인터뷰] 화성 ‘두더지’, 땅속으로 들어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안녕? 나 과학마녀 일리! 이번엔 지구에서 약 1억 6000만km 떨어진 붉은 행성 화성을 찾아 왔어! 마스 인사이트라는 탐사선이 1년 반 동안 화성에서 있었던 재밌는 소식을 전해왔거든! ... 측지학 : 천체의 크기, 형상 등을 정밀하게 탐구하는 학문.*열전도율 : 물체가 열을 전달하는 정도 ... ...
- [기획] 자연의 소리가 바뀌고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진폭이 클수록 큰데, 2013년부터 진폭이 급격히 줄어 2014년 이후부터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였어요. 또 소리 데이터의 양도 2013년부터 줄기 시작했고 심지어 2015년에는 소리 데이터가 거의 없는 걸로 나타났어요. 그만큼 이 장소에 소리를 내는 동물의 수가 줄어들었다는 뜻이죠.이에 대해 버니 ... ...
이전1661671681691701711721731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