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참여"(으)로 총 4,36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수중시체를 찾아온 살아있는 단서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곤충의 분류와 생태를 연구하는 학자들이 사건현장에 직접 참여해야 한다”며 “기록이 쌓여야 미국처럼 성과를 낼 수 있다”고 말했다. 단서 2 피를 타고 흐르는 플랑크톤수중시체가 익사했는지 여부를 밝히는 일은 수사에서 매우 중요하다. 육지에서 살해한 뒤 ... ...
- [News & Issue] 과학동아 창간 30주년, 정부출연연구기관에 잡지 증정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접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김두희 동아사이언스 대표는 “지난 30년간 필자로 참여한 과학자만 3000여 명에 달하고 취재에 응해 준 과학자는 셀 수 없이 많다”며 “지금의 과학동아가 있기까지 이분들의 공이 매우 크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상천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은 “국내 ... ...
- PART 2. ‘기술장벽’은 더 이상 해결책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처음엔 세 명에서 시작했고, 가장 사람이 많을 때도 여섯 명을 넘기지 않았다. 연구에 참여했던 사람 중 이전에 방사성 동위원소 분리법을 연구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그럼에도 5년 안에 개발에 성공할 수 있었다. 호주는 그나마 오래 걸린 편으로, 이탈리아나 영국은 불과 1년 만에 ... ...
- [특별기획] 2016 태국 탐사대 따뜻한 겨울 바다에서 자연을 배우다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여섯 번째 날, 태국 탐사대는 반 종 대표와 지역 학생들과 함께 해초 심기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해변으로부터 약 200m 정도 떨어진 갯벌로 나가 구역을 정했다. 그리고 서로 한 뼘 정도 떨어지게끔 6×6 대열로 모종을 심었다. 삽으로 갯벌을 살짝 들춰 모종을 꽂는 식이었다.이날 심은 모종은 약 1년이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생생한 새의 상태가 한눈에! 꾸룩새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그래서 전 전국 단위로 제비 개체수가 얼마나 되는지를 조사해 보고 싶어요. 시민참여과학은 예전부터 제가 해 보고 싶었던 일이에요. 올해 지구사랑탐사대와 함께 제비 탐사를 하게 돼 정말 기뻐요.”정다미 소장은 탐사대원들에게 손수 만든 도구를 보여 주며 제비 탐사방법과 주의사항을 ... ...
- [News & Issue] 금성에 5년 지각, “그래도 잘 부탁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중요한 자료를 전송하는 역할을 맡았다. 미국은 벌써부터 아카쓰키 관측 자료 분석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 유럽, 미국, 러시아는 아카쓰키의 뒤를 이을 차세대 금성 탐사 계획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다 ... ...
- [Career] ‘융합’에 에너지의 미래를 묻다 원자핵공학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다른 분들도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계신가요?황용석: 물론입니다. 케이스타 건설에 참여했던 핵심 인재들이 이터가 건설되고 있는 프랑스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이터가 완공되는 2040년 즈음에는 현재 케이스타를 운영하고 있는 젊은 과학자들이 뒤이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 ...
- [새 책] 입자물리학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미래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데 시민들이 한몫했기 때문이다. 저자는 2012년부터 ‘어린이과학동아’와 함께 시민참여과학 프로젝트인 ‘지구사랑탐사대’ 대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 여정에 함께 해보는 건 어떨까(goo.gl/w3Tqa6 참고).달콤새콤, 수학 한 입팀 샤르티에 지음 | 김수환 옮김 | 프리렉 | 224쪽 | 1만5000원어린 시절 ... ...
- PART1. 뇌 조종의 신기원을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것을 상상하면 이해가 쉽다. 허 교수팀이 만든 올가미 단백질은 암세포에 서 세포 분열에 참여하는 단백질을 억제해 암세포의 증식을 막았다.“우리가 처음 광유전학과 단백질을 결합한 뒤부터, 다른 경쟁 그룹들도 비슷한 기술들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기술개발경쟁이 심해지고 있다는 것이죠. ... ...
- [Tech & Fun]걸어서 대형연구소 속으로 ➊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정기적으로 여는 대중 토론 행사‘크릭 챗(Crick Chat)’.크릭 연구소 연구원들이 직접 참여한다.]크릭 연구소는 올 상반기에 완전 운영에 들어간다. 새 건물의 마무리 공사가 끝날 때까지는 컨소시엄 6개 기관이 각각 원래 있던 건물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르면 하반기부터는 1350명의 과학자가 ... ...
이전164165166167168169170171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