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참여"(으)로 총 4,36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표준모형을 넘어선 새로운 물리학의 실마리를 파고들 계획이다. 벨II 실험 계획 수립에 참여하고 있는 권영준 연세대 물리학과 교수는 “표준모형에는 6가지 쿼크와 렙톤들이 있는데, 어떤 이유로 이런 구조가 나타나는지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모른다”며 “벨II 실험에서 이런 문제들을 살펴 볼 ... ...
- [Career] 공간에 이야기를 입히는 학문, 건축학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필요한 정보를 추려내고 습득하는 근육이 뇌에 붙는 셈이죠. 예를 들어 제가 설계에 참여했던 세종시 정부청사의 경우, 사람들이 정부에 원하는 게 무엇인지, 또 정부가 국민들에게 하고자 하는 말이 무엇인지를 빠르게 파악해야 했습니다. 공부를 하다 보니 우리나라 사람들이 불공평한 걸 싫어하는 ... ...
- Part 1.표준모형이 지배하는 일상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부르는 거대한 실험장치를 이용해서 이뤄진다. 실험장치는 몇 대 없는데 연구에 참여하는 학자들은 많게는 1000명이 넘고 전세계에 퍼져있다. 따라서 연구 정보를 서로 공유하기가 쉽지 않다. 팀 버너스 리는 연구자들이 효율적으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통신망을 이용해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 ...
- [Career]도전! 유니스트 12 ‘촉매’처럼 사람들을 이어주는 연구자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잘 하게 됩니다.” 김 교수는 연료전지의 촉매를 개발하는 과학자다. 촉매란 반응에 참여하는 물질 간의 효율을 높여주는 물질을 말한다. 효율이 중요한 공학에서 촉매가 필요하지 않은 곳은 없다.그렇기때문에 촉매를 연구하는 김 교수의 실험실은 다른 실험실과 공동 연구를 유달리 많이 진행한다. ... ...
- 부르르르~, 자석으로 켜는 진동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부르르르~ 달렸답니다.더 많은 친구들이 참여할 수 있게 된 ‘출동! 섭섭박사가 간다!’ 참여의 문이 활짝 열렸으니 많이 기대해 주세요. 또 대부분의 행사가 서울에서만 열려서 섭섭했던 친구들에게도 기쁜 소식! 앞으로는 섭섭박사님이 전국 방방곡곡으로 찾아갈 계획이랍니다. 다음 실험의 ... ...
- 우리 가족은 시민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4호
- 했죠.이렇게 지구사랑탐사대 프로그램이 성장하는 동안 지구사랑탐사대 활동에 참여한 대원들도 함께 자라왔어요. 이번 수료식에서도 지구사랑탐사대로 활동한 뒤 달라진 자신의 모습을 얘기한 대원들이 많았지요. 또 수원청개구리와 매미, 노래곤충 현장교육을 맡아주신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 ...
- 즐겁게 놀다 보니 창의력이 쑥쑥!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4호
- 캠프에 참가한 최지윤(당진 초락초 6) 친구는 “발명을 어렵게만 생각했는데, 캠프에 참여해 선생님들과 발명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여러 가지 발명 체험을 하다 보니 친근하게 느껴졌다”며, “앞으로 일상생활 속 불편한 점을 찾아 직접 개선해 보고 싶다”고 말했어요.‘신나는 발명, 똑똑한 ... ...
- 영화를 더욱 생생하게! 비주얼 미디어랩을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3호
- 아쉽게도 저는 이미 우리나라로 돌아온 뒤라 수상을 놓쳤지만, 함께 기술 개발에 참여한 동료들이 상을 받아 기뻤답니다.”실감나는 영상 속으로 풍덩~! 스크린X안내를 위해 나오신 홍석표 선생님이 명예기자들을 데리고 간 곳은 소형영화관이었어요. 학교 안에 어떻게 영화관이 있는 걸까요 ... ...
- 수증기로 슝~! 꼬마 증기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3호
- 물은 온도 변화에 따라 세 가지 상태로 변신해. 첫 번째는 고체인 얼음, 두 번째는 액체인 물, 세 번째는 기체인 수증기야.고체인 얼음은 물이 응고돼서 만들어져 ... 기술이었던 증기기관은 이후에 디젤기관이 개발되면서 지금은 거의 쓰이지 않게 됐단다. 참여독자 : 이진광(서울 서일초 3 ... ...
- Part 1. 조류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2호
- 결과 돌연변이가 자주 발생했고, 새로운 종이 빨리 생기게 된 거예요.한편 이번 연구에 참여한 영국 켄트대학교 다렌 그리핀 교수팀의 연구결과, 닭과 칠면조의 DNA는 중생대에 공룡에서 갈라져 나온 뒤 그다지 바뀌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어요. 다시 말해 닭은 지금 살고 있는 조류 중에서 공룡과 가장 ... ...
이전165166167168169170171172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