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목성 대적점의 비밀이 밝혀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추가로 확인했어요. 현재 목성 대적점의 크기는 1만 6000km로, 1979년 보이저 호가 관측했던 크기보다 3분의 1 정도 줄었지요. 스콧 볼튼 연구원은 “앞으로 주노 탐사선이 보내주는 정보를 토대로 대적점의 형성 원리를 정확히 밝혀낼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과학뉴스] 시민 과학자 1만 명, 5행성 시스템 발견과학동아 l2018년 02호
- 1만 명이 참여해 집단지성이 이뤄낸 쾌거로 평가받고 있다. 이 외계행성계의 행성들 은 크기가 지구의 2~2.9배이고, 중심별을 동심원 궤도로 돌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 행성의 공전 주기는 약 13일로 지구(365일)에 비해 훨씬 짧다. 연구팀은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데이터를 분석해 이 같은 내용을 ... ...
- [과학뉴스] 전기뱀장어 모방한 고전압 에너지 발생기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통과시키는 3차원 이온 교환막을 일정한 간격으로 직렬 배치한 것이다. 그 결과 수 mm의 크기에서 1V 정도의 전압을 얻는 데 성공했다. 박 교수는 “작은 부피에서도 높은 전압을 발생 시킬 수 있어 인체 삽입형 의료기기나 마이크로로봇, 나노로봇 등에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 ...
- [번외종목] 스키로봇챌린지, 8봇 8색 도전! 로봇 스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따라 다르다는 점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가까이 있는 기문이 멀리 있는 기문보다 크기 때문에 이를 토대로 태권브이가 기문과의 거리를 상대적으로 파악하게 했다. 기문의 색상이 빨간색과 파란색으로 번갈아 나타난다는 점도 기문 인식 요소로 활용할 수 있다. 전 이사는 “카메라로 인식한 ... ...
- [Future] 그림이 열일 하는 메디컬 일러스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사람도, 듣는 사람도 난감할 것이다. 하물며 혈관의 생김새나 이름, 장기 부위별 크기와 움직임처럼 복잡하고 어려운 의학 지식을 다루는 책이나 논문이라면 어떨까. 아무리 이해력이 좋은 사람이라도 그림이 없다면 새로운 지식을 받아들이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 지난 해 12월 초, 인천 연수구에 ... ...
- [Career] 이것이 ‘신의 한 수’ 절연체 뺀 초전도 자석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무절연 세션이 별도로 마련되기도 했다. 절연체가 사라지면서 초전도 자석의 크기가 대폭 줄었다. 4m에 이르던 초전도 코일의 지름은 1.2m로 3배 이상 작아졌고, 무게도 130t(톤)에서 6t으로 20배 이상 가벼워졌다. 韓 중이온가속기에 활용국내에서는 기초과학연구원(IBS)이 중이온가속기에 무절연 ... ...
- [인터뷰] “왜?”라고 질문하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반려동물의 먹이로 밀웜을 키우다가 밀웜마다 왜 크기 차이가 나는지 궁금해서 밀웜을 크기별로 나누거나 먹이와 환경을 달리하는 실험을 해 본 학생이었다. 면접관이 어떤 질문을 던져도 신이 나서 술술 대답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고 한다. 무학과로 전환, 원하는 학과 100% 선택POSTECH은 201 ... ...
- [가상인터뷰] 반사망원경을 품고 있는 가리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가리비 눈에 렌즈 대신 거울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지요. 가리비의 눈 한 개는 나노미터 크기의 사각형 오목거울 수백 만 개로 이루어져 있었답니다. 사람은 수정체라는 렌즈로 빛을 모아 눈 뒤쪽 망막에 상이 맺히도록 해요. 반면 가리비는 수많은 거울로 빛을 반사해 눈 앞쪽에서 상을 얻지요. 즉, ... ...
- [Culture] 기계공학자의 눈으로 본 라테, 위스키 그리고 와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계면활성 성분이 필수다. 문제는 이것을 장기간 복용하면 나노미터(nm·1nm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계면활성제 물질이 체내에 쌓일 수 있다. 심장에 축적되면 심장의 정상 작동을 방해해 혈류 이상을 야기할 수 있다. 여기에 표면장력은 낮추고, 일정 시간 뒤 증발돼 사라지는 알코올을 대신 사용하면 ... ...
- 아끼면서 아름다운 한복, 수학이 만든다수학동아 l2018년 02호
- 구멍이 뚫린 살창 고쟁이가 완성되지요. 각 조각을 서로 맞댔을 때 생기는 구멍과 창살의 크기가 맞아 떨어져야 하기 때문에 계산이 정확해야 합니다. 옷감이 귀했던 시절, 자원을 낭비하지 않으려던 조상들의 지혜가 놀랍지 않나요? 이런 아이디어도 치밀한 계산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거예요 ... ...
이전164165166167168169170171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