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등과 섞어 간 싹(liver buds)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 간 싹은 비록 작은 콩알만 한 크기에 불과했지만, 다카베 교수는 이 싹을 동물의 병든 간 주변에 이식하면 혈관이 연결되면서 실제로 간 기능을 한다는 사실을 실험용 쥐를 이용해 증명했다. ‘바이오 프린팅’ 기술도 완벽한 인공장기를 만들 수 ... ...
- [Career] 분자기계와 배터리의 효율적인 만남과학동아 l2018년 01호
- 016년 노벨화학상은 ‘분자기계(molecular mechanics)’에 돌아갔다. 머리카락 굵기의 1000분의 1 크기의 화학 구조물인 분자기계는 빛이나 열과 같은 외부 자극에 반응해 기계적인 움직임을 보인다. 새로운 개념으로 큰 관심을 모았지만, 아직까지 기술에 직접적으로 적용된 적이 없었다. 그런데 2017년 7월 ... ...
- 전세계에 수학덕심 퍼뜨리기 전염병주식회사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차있는 작은 융기로, 피부에 생긴다. 베르누이는 장기적 이익이 당장의 위험보다 크기 때문에 인두 접종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근거로 예방 접종이 기대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는 수학 모형을 개발했죠. 프랑스 파리 시민의 통계로 계산한 결과, 예방 접종을 하면 기대수명이 3년 이상 ... ...
- [수학공작실] 합동과 대칭을 이용해 만든 나만의 하트 무늬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완전히 포갰을 때 겹쳐지는 점, 변, 각을 각각 대응점, 대응변, 대응각이라 하며 서로 크기가 같다. 도형의 대칭은 선대칭과 점대칭이 있다. 어떤 도형이 그 내부를 지나는 한 직선에 의해 똑같이 두 부분으로 나눠지면 선대칭, 한 점을 중심으로 180° 회전이동했을 때 자기 자신과 완전히 겹쳐지면 ... ...
- Part 1. 현대 기술로 재탄생한 반 고흐의 그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기술을 이용해 붉은색을 띠는 빛의 파장만 반사하는 구조로 DNA를 접었어요. 그다음 동전 크기의 유리판을 6만 5000여 개의 구역으로 나누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어떤 부분에서 붉은빛이 나와야 유리판에 이 나타나는지 분석했지요. 이를 바탕으로 붉은빛을 내야 하는 부분에만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이끄는 연구팀은 관절치료용 미세 로봇을 개발했다. 머리카락 5개 굵기 정도인 270μm 크기의 이 로봇에는 줄기세포가 탑재됐다.로봇이 손상 부위에 도착하면, 그곳에서 줄기세포를 연골세포로 분화시켜 연골을 재생할 수 있다. 표면에 자석이 부착된 구조로 외부에서 자기장을 조절해 로봇을 ... ...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만들겠다는 구상도 하고 있다. 새로운 모듈을 발사하고 기존 모듈과 조합해 ISS 4분의 1 크기의 유인 우주정거장을 만들겠다는 시나리오다. ISS의 운영이 종료되면 2022년 중국이 운영 예정인 ‘중국우주정거장(Chinese Space Station)’이 지구 저궤도에서는 유일한 정거장이 된다. 민간 우주개발업체들이 ... ...
- [Issue] 국내 첫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기와류가 약 1000점, 못과 같은 철물류가 약 600점 등 총 3800여 점이다. 부재는 각각의 크기가 어마어마했다. 한 예로 수장고 한 쪽에는 미처 랙에 올리지 못한 ‘공포( 包)’가 있었는데 연결된 전체가 가로로 3m는 족히 돼보였다. 공포는 전통 목조건축물에서 지붕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 지붕 ... ...
- 수학으로 완성한 감성 게임, 더뮤지션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있다. 여러 개의 음원을 합치면 그만큼 소리의 크기도 커지기 때문에 더뮤지션은 소리의 크기가 일정 수준을 넘으면 실시간으로 압축하는 알고리즘을 추가했다. 수많은 소리 조각을 실시간으로 모아 합치고 압축하기를 반복하는게 더뮤지션이 음악을 내보내는 원리다. 미래의 모습은 음악 ... ...
- [과학뉴스] 손바닥만 한 유령입자 검출기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들고 다니며 뮤온을 검출할 수 있는 장치를 만들었어요. 이 검출기는 손바닥만 한 크기로, 뮤온이 검출기를 지나갈 때마다 조명이 켜져 누구나 쉽게 뮤온을 검출할 수 있지요. 연구팀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신틸레이터’라는 부품을 이용해 검출기를 만들었어요. 신틸레이터는 뮤온이 ... ...
이전1671681691701711721731741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