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험실
사무실
서재
lab
연구소
사무소
영업소
뉴스
"
연구실
"(으)로 총 1,697건 검색되었습니다.
불량 없는 스마트 기기 생산속도 빨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7.17
지금보다 25% 이상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화제다. 한국기계연구원 광응용기계
연구실
이제훈 책임연구팀은 반도체나 정밀부품 생산공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레이저 가공’ 기술을 한층 더 빠르고 정밀하게 할 수 있는 '레이저 스캐너-스테이지 실시간 연동 제어 기술(on-the-fly 기술)'을 ... ...
조심! 번개 치는 날 야외 휴대전화
동아일보
l
2013.07.09
상관관계에 대해 전문가들의 의견은 엇갈린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전자파환경
연구실
이애경 박사는 “번개가 칠 때 골프채나 우산을 들고 있으면 위험하지만 휴대전화 전자파로 인한 낙뢰 위험은 과학적으로 증명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조동욱 충북도립대 교수(전자정보계열)는 ... ...
"과학하는 자세로 정책 접근하니 큰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13.07.05
이런 노력이 굉장히 많은 도움이 됐다고 생각해요.” 여성 생명과학자상 수상 후
연구실
에서 만난 유 전 장관은 선배 여성 과학자로서 후배들에 대한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여성 과학자들에게 기회가 균등하게 주어지지 않는 게 현실이에요. 소수니까. 하지만 더 잘할 수 있다는 것을 ... ...
제 9회 서울대 공대 카페에 오세요
과학동아
l
2013.07.02
오후 2시 (서울대 관악 캠퍼스) ▶ 선정결과 : 개별 연락 ▶ 프로그램 구성 : 교수 인터뷰+
연구실
탐방(약 3시간 소요) ▶ 참가비 : 무료 ▶ 문의: 02)3148-081 ... ...
바닷바람 덕분에 쌩쌩 돌아가는 날개···발전효율도 높아지네
동아사이언스
l
2013.07.01
개발 면적 또한 8.39㎢에서 5.5㎢로 줄어든 상태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경남호 풍력
연구실
연구원은 “경제성 확보가 해상풍력발전의 핵심 당면과제인데 현재 개발 속도로 볼때 10년 후쯤 되면 공사비가 육상풍력발전기와 비슷한 수준으로 떨어지게 될 것”이라며 “해상풍력 개발 시작이 ... ...
죽음의 땅 후쿠시마, 자기장으로 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6.27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주목받고 있는 니시지마 시게히로 교수의 양자성생체·재료공학
연구실
이 있다. ●자기장으로 죽음의 땅 살려낸다 27일 방문한 니시지마 교수의
연구실
. 니시지마 교수는 자기장으로 방사능 물질을 제거하는 기술을 시연해 보였다. 방사능 오염 지역을 정화하려면 ... ...
"뉴욕이라고? 바로 옆자리인 줄 알았네"... 끊김 없는 화상회의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6.25
힘든 외국제품의 의존을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TRI 스마트워크
연구실
김도영 실장은 “실감형 업그레이드를 위한 풀HD급 실시간 눈맞춤 기술도 추가로 개발중인 만큼 스마트워크의 활성화는 물론 확산 속도도 빨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 ...
평화를 사랑한 수학자
수학동아
l
2013.06.24
나서 문제 제기를 하곤 했다. 으레 수학자라고 하면 정치, 사회, 경제에는 관심이 없고
연구실
에 콕 틀어박혀 연구만 할 것 같지만 이런 편견을 깨고 용감하게 평화를 외친 수학자들이 있다.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 영국의 수학천재 버드러트 러셀이다. 그는 제 1차 세계대전이 발발했을 때부터 줄곧 ... ...
“MIT 대신 KAIST 선택, 당연하죠”
동아일보
l
2013.06.21
데가 거의 없다. 기욤 씨는 “지난해 KAIST 전기전자공학과 박규호 교수(현 교학부총장)
연구실
에서 인턴을 밟으면서 한국에 대한 좋은 인상을 받았다. KAIST가 영어로 강의해 공부하는 데 불편이 없었다”고 했다. 기욤 씨는 ‘공부벌레’지만 마라톤 사이클 수영 카약 등 못하는 운동이 없는 만능 ... ...
"혐오스런 악어, 생태계엔 보배"
동아사이언스
l
2013.06.16
굳이 현장을 누비는 이유가 있나? “과학자들도 나름의 영역이 있고 연구 스타일이 있다.
연구실
에 가만히 앉아서 하는 연구는 나랑 맞지 않는다. 내 일은 현장에 뛰어들어 동료 과학자들에게 필요한 샘플을 구해주는 것이다. 앞으로는 대중들을 만나 악어 생태계의 소중함을 알리는 기회도 늘리려 ... ...
이전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