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연구실"(으)로 총 1,69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기술’과 ‘융합’의 진짜 의미 배운다동아사이언스 l2013.06.13
- 위해 개설된 것으로, 대한화학회 탄소문화원이 주관하며 서강대학교 과학커뮤니케이션연구실이 지원한다. 오는 6월 27일(목)부터 9월 5일까지(매주 목요일 7시~10시/서강대학교 정하상관) 총 10회의 교육과정으로 진행되며, 강남준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김원태 서강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 ...
- 도로를 덮는 새까만 아스팔트도 '친환경적' 바람동아사이언스 l2013.06.12
- 골재를 가열했지만, 중온 아스팔트 공법에서는 120~130도의 온도로 가열한다. 건기연 도로연구실 황성도 박사팀이 개발한 ‘중온화 첨가제’를 넣어 아스팔트가 낮은 온도에서도 연성화되도록 한 덕분이다. 이 중온화 첨가제는 결정화 조절제와 박리방지제가 포함된 왁스 기반의 첨가제다. ... ...
- "나노기술은 타 분야와 오케스트라처럼 협연해야 빛나"동아사이언스 l2013.06.12
- 핵심 기술이 나올 수 있다고 강조했다.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함께 해야 현 교수 연구실의 트레이드 마크는 ‘균일한 나노입자’다. 그는 2004년 균일한 크기의 나노 입자를 기존 방법보다 1000배 저렴하면서도 양은 1000배 많이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논문은 ‘네이처 ... ...
- 이게 신문이야? 태양전지야?동아사이언스 l2013.06.11
- 태양전지를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기계연구원 인쇄전자연구실 김인영 연구원팀은 태양전지판을 신문처럼 찍어낼 수 있는, ‘전공정 롤투롤(roll-to-roll) 인쇄기술을 이용한 유기태양전지 연속생산 기술’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기존의 태양전지는 실리콘을 ... ...
- [신나는 공부]대입 서류작성 ‘스토리텔링의 기술’동아일보 l2013.05.28
- 방법도 활용해보자. 김소연 건국대 입학사정관은 “한양대와 충북대 등 두 대학의 교수 연구실에서 차례로 과학탐구활동을 경험한 한 합격자는 양쪽에서 배운 것이 어떻게 달랐는지를 비교해 설명한 점이 눈길을 끌었다”고 말했다. 글·사진 이강훈 기자 ygh83@donga.com [화제의 뉴스] - 靑 “北 시간 ... ...
- '발병후 치료'에서 '발병전 관리'로···"개인 맞춤의료 성큼"동아사이언스 l2013.05.27
- 움직이는가’에서 스테판 교수의 지적은 흥미롭다. 1990년에는 기자재가 가장 잘 갖춰진 연구실에서 하루에 1000개의 염기쌍을 분석할 수 있었지만, 10년 후인 2000년에는 1초에 1000개의 염기서열을 분석하게 됐다. 현재는 같은 시간동안 이보다 더 많은 양을 분석할 수 있다. 1990년에 시작된 ‘인간 게놈 ... ...
- 리처드 대셔 교수 “삼성-LG, 중소벤처의 ‘키다리 아저씨’ 되어야”동아일보 l2013.05.24
- open innovation)’입니다.” 지난달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타클래라 카운티의 스탠퍼드대 연구실에서 만난 리처드 대셔 교수(사진)는 한국의 벤처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대기업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대기업이 벤처기업의 동향을 항상 주시하고 이를 사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 ...
- 강진 발생하면 우리집은 안전할까?동아사이언스 l2013.05.22
- 내진보강이 시급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입장이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미래건축연구실 유영찬 박사팀이 개발한 '다중변위증폭 제진시스템'은 대표적인 최신 제진보강공법이다. 기둥과 보 사이에 ‘ㅅ’자 형태로 설치하는 기존 가새형 댐퍼와 달리 ‘X’자 모양의 댐퍼를 설치해, 기존 방식보다 ... ...
- 숨결로 누군지 다 알 수 있어!과학동아 l2013.05.16
- 참가한 사람들은 평소처럼 생활하면서 오전 8시~오후 6시 사이 하루 평균 2차례 정도 연구실을 방문해 숨 성분을 측정했다. 연구팀은 참가자의 날숨을 비행시간형질량분석기로 측정해 질량 스펙트럼을 비교했다. 비행시간형질량분석기는 시료인 ‘날숨’을 이온화해 이온들이 전기장 내에서 ... ...
- 값 싸고 효율 뛰어난 태양전지 기술 잇따라 나와동아사이언스 l2013.05.09
- 실렸고, 국내 관련업체에 기술 이전될 계획이다. 한편 한국기계연구원 나노역학연구실 정소희 선임연구원와 KAIST 나노과학기술대학원 김용현 교수 공동 연구팀은 차세대 태양전지 소재를 안정적으로 만들 수 있는 ‘황화납 양자점’을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양자점은 나노미터(nm·1nm=1 ... ...
이전1651661671681691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