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로
신작로
차도
찻길
진로
레일
경로
d라이브러리
"
궤도
"(으)로 총 2,146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외선 우주망원경 아스트로 2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세계인 동시에 선망어린 신천지일 수 밖에 없다. 가까운 미래에 국산 우주망원경이
궤도
상에서 임무를 수행하는 '가상현실'을 그려본다. PC통신에는 그 진행상황과 관측결과가 '한글 윈도우'로 소개될 것이고 외국인들에게도 '명예 승무원증'이 주어진다. 이 장면이 가상현실 아닌 실제상황으로 ... ...
3. 역대 멸종 원인 5가지 가상 시나리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한다.따라서 이 '행성X'는 매 한차례 공전시 2천8백만년 주기로 두차례 해왕성의 공전
궤도
밖에 있는 '오르트 혜성구름'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지구에 '혜성소나기'를 내리게 한다는 것이다.네메시스와는 달리 '행성 X'는 상당한 질량을 가져야만 한다. 따라서 관측이 상대적으로 용이할 것이나 ... ...
태양 닮은 주변의 별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에리다누스 엡실론별. 거리는 10.7광년이며 질량은 태양의 0.81배. 스펙트럼형은 K2형으로
궤도
가 섭동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행성계를 가질 가능성이 많은 별.◆ τ세티질량은 태양의 0.87배로 행성계를 가질 확률이 높은 별이다. 스펙트럼형은 G7이며 거리는 11.3광년 떨어져 있다. 고래자리 타우별. ... ...
2. '오즈마'에서 '페닉스'까지 본격탐사 발자취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10.8광년 거리에 질량은 태양의 0.81배이다. 이 두별이 지구밖문명의 후보로 떠오른 것은
궤도
가 진동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행성계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오즈마팀은 먼저 타우 세티에 초점을 맞추고 3개월에 걸쳐 관측을 계속했으나 안타깝게도 특징있는 전파를 잡을 수 없었다. 두번째로 ... ...
우주신비 해결의 열쇠 리만 기하학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광선은 휘어져 있으며 행성의
궤도
가 고전물리학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이상한
궤도
를 그린다는 것을 알았다. 태양과 그것을 중심에 둔 행성들은 각각 공간속에서 휘어짐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이들 행성의 옆을 지나는 광선이 휘어진다. 이 사실은 일식을 이용해서 실제 별의 위치와 겉보기의 ... ...
'하나로' 본격 가동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때문에 다양한 각도에서의 핵연료 설계가 필요하다.김병구 단장은 "하나로가 정상
궤도
에 오르면 세계 최초로 경·중수로 연계 핵연료(듀픽)도 설계해볼 생각"이라고 장기적인 계획을 밝혔다. 듀픽이란 경수로에서 태우고 난 저농축 우라늄을 중수로 연료로 다시 사용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 ...
1 시간은 비대칭, 미래로만 일방통행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코페르니쿠스적 우주관과 뉴턴적 우주관의 차이를 상기하자. 코페르니쿠스는 행성의
궤도
가 원모양을 갖고 있다는 사실에 만족하고 더이상의 설명이 필요치 않다고 생각했다. 이에 반해 뉴턴은 이의 궁극적 설명을 만유인력이론을 통해 제시했던 것이다. 그러므로 우주론을 통해 우리는 시간여행에 ... ...
1 안방 앉아서 네트워크 통해 원격수업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유럽위원회 산하 DG13 이사회가 선정, 93년 하반기의 시범 운영을 거쳐 94년부터 본
궤도
에 오른 시험 서비스.제공속도 34Mbps급으로 본격적인 멀티미디어 원격교육을 실현한 베텔 프로젝트는 프랑스 텔레콤이 주도하는 유럽연합(EU) 차원의 계획이다. 당초 이 계획은 프랑스 남부 니스시 근교의 소피아 ... ...
2. 새우주 복병-자기폭풍 통신교란 위험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부품은 상당한 손상을 입게 된다. 이러한 위성체 대전현상은 방송통신위성 같은 정지
궤도
위성에 특히 많이 발생한다.우주 플라스마 환경은 위성체의 운영에 어려움을 더하기 때문에 설계시부터 위성체가 위치하게 될 우주 환경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이루어져야 한다. 위성을 사용하는 중에도 우주 ... ...
허블 망원경 최신 우주 통신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연구에 따르면, 사진에서 보이는 복잡한 구조는 쌍성계를 이루고 있던 별들의
궤도
운동 때문에 생겨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 사진은 WFPC2로 촬영한 것이며 Hα, 6300Å, 그리고 6584Å 필터를 이용한 합성사진이다. 참고로 NGC6543은 주극성인 용자리에 있다(사진/J. P. Harrington과 K. J. Borkowski, NAS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