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궤도"(으)로 총 2,146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정거장 여행 10일과학동아 l1994년 10호
- 낮과 밤의 구분은 없다. 보통 하루에 두번 태양이 뜨고 지는데(우주왕복선의 궤도 속도에 따라 결정) 여기에 맞춰서 잠을 잘 수는 없다. 수면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편안히 자기 위해서는 몸을 고정대에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우주정거장 안에서의 활동이 익숙해지면 다음은 우주복을 ... ...
- 경북대(전기·전자 분야)과학동아 l1994년 10호
- 반도체 제조공정, 가스 및 물리센터, 플라즈마 응용기술 등의 영역이 포함된다.이미 정상궤도에 들어섰다고 자부하는 경북대 전자공학과는 교내에 테크노파크관을 조성해 산학협동을 꾀하고 5년 후에는 공대만이라도 독립해야 한다는 각오로 발전계획을 수립중이라고 한다 ... ...
- PART 1 무중력 공간이용 순도 100% 신물질 제조과학동아 l1994년 10호
- 제작은 인류가 무한한 우주로의 탐험을 시작하기 위한 준비작업이다. 태양계 행성 궤도 곳곳에 우주정거장이 건설되면 행성간의 우주여행은 일상생활의 일로 다가올 수 있을 것이다. 결코 꿈만은 아니다. '메이드 인 스페이스' 시대우주정거장의 또하나의 중요한 임무는 우주공간의 특성을 ... ...
- 화성, 잰걸음으로 프레세페성단 통과과학동아 l1994년 10호
- 쉽게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외행성중 지구에서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는 화성은 궤도 반경이 1.5 AU(천문단위)정도 밖에 안되기 때문에 공전주기도 1.88년으로 매우 짧다. 그렇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별자리 사이를 옮겨 다닌다. 공전 주기가 약 12년이기 때문에 1년에 황도 12궁에 속하는 별자리를 ... ...
- PART 2. 무진장의 자원이용, 공업화 5단계과학동아 l1994년 09호
- 몇군데와 달의 적도부분에 대해서만 알려졌다. 그러나 클레멘타인 우주선은 달의 극궤도(polar orbit)를 돌면서 고(高)해상도 화상관측을 하기 때문에, 달 표면 전체에 걸쳐 암석 성분 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화상관측의 해상도란, 관측된 사진이 얼마나 자세히 구별되어 보이는가를 말하는데, ... ...
- 달착륙 4반세기 새로운 도전 NASA 우주센터를 가다과학동아 l1994년 09호
- 자리잡고 있어 궤도선만이 있는 전시장의 분위기와는 사뭇 다르다. 외부연료탱크는 궤도선보다 부피나 길이에서 훨씬 크다.졸업식에서 윙이 하나 달린 우주복과 졸업장을 받으면서 다음과 같은 생각이 들었다. "미국이 현재 우주개발이 지지부진할지라도 청소년들이 이런 훈련을 받으면서 커가고 ... ...
- 태양관측의 요령과학동아 l1994년 09호
- 자전축, 북극과 적도, 위도를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 생각해 보자. 먼저 지구의 공전궤도면은 태양의 적도에서 7도 기울어져 있다. 또 태양의 자전축은 지구의 자전축(즉 천구상의 북극)과 일치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지구에서 관측할 경우 태양은 앞뒤, 좌우로 진동하는 것처럼 보인다. 관측하는 날의 ... ...
- PART 1. 미·소 탐험 경쟁서 미국 주도로과학동아 l1994년 09호
- 기술을 익히고 실험했다. 특히 1967년에 발사된 코스모스 186호와 코스모스 188호는 지구궤도에서 서로 자동으로 도킹, 우주정거장 건설 실험을 하였다. 이는 러시아가 우주 정거장에서 달 탐험용 우주선을 발사할 것이라는 예측을 불러 일으켰다. 실제로 러시아는 우주 정거장 건설에 지대한 관심을 ... ...
- 지구과학 - 16세기 과학혁명의 주역 지동설과학동아 l1994년 09호
- 그림2).[생각해 보기] 금성의 최대 이각에 비해 수성의 최대 이각이 작은 이유를 공전 궤도와 관련지어 생각해 보자. 갈릴레오와 망원경천문학자로서의 갈릴레이는 태양계에 대한 프톨레마이오스의 체제를 그대로 받아 들이는 대신 자기가 직접 망원경으로 관측한 사실을 토대로 새로운 이론을 ... ...
- 물리- 이불에 떨어진 유리컵, 왜 안깨지나과학동아 l1994년 08호
- 보존된다. 역학적에너지라 함은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를 말하는데 청룡열차의 궤도운동에서 위치에너지가 커지면 운동에너지는 작아지고 운동에너지가 큰 곳은 위치에너지가 작다. 쉽게 말해서 속도가 빠른 곳은 낮은 곳을 지날 때이고 속도가 느린 곳은 높은 곳을 지날 때다.자유낙하운동은 ... ...
이전1681691701711721731741751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