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편하면서도 안전한 대피소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설명했어요. ● 인터뷰 “세상 곳곳에 건축 아이디어가 숨어 있어요!”_장윤규(국민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운생동 건축사무소 대표) Q재난에 대비한 건축 아이디어가 또 있을까요? 사실 거의 없다고 볼 수 있어요. 그동안 우리나라는 일시적으로 일어나는 재난 재해를 미리 대비해야 한다는 ... ...
- [슬기로운 동물원 생활] '표범' 하늘을 걷는 직지, 건강의 비결은 통나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같아 마저 놀기를 바라며 얼른 자리를 피했답니다. ※ 필자소개 김정호 수의사. 충북대학교에서 멸종위기종 삵의 마취와 보전에 관한 주제로 수의학박사를 받았다. 청주동물원과는 학생실습생으로 인연이 되어 일을 시작했고, 현재는 진료사육팀장을 맡고 있다 ... ...
- 전국이 장맛비에 풍덩! 역대 최장 장마, 원인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Part3. 흙탕물 위에 편의점이 둥둥~!Part4. 편하면서도 안전한 대피소는?! 도움장윤규(국민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박정술(한강홍수통제소 예보통제과 시설연구사), 김용재(아이랜드건설 대표), 김미리(한국수자원공사 소양강지사 대리), 박중환(기상청 예보분석팀 주무관 ... ...
- [질문하면 답해 ZOOM] 모기에 물리면 간지러운 이유는 무엇인가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도착했지요.아하로니는 이들을 번식시켜 런던 동물원을 포함한 연구기관과 대학교에 보냈어요. 1940년대 중반 햄스터는 영국과 미국에서 인기 있는 반려동물이 되었지요. 이제 시리아 햄스터는 야생에 많이 남지 않아 멸종 위기에 처해있답니다 ... ...
- [과학뉴스]먹어봤자 소용없다! 콩알물땡땡이의 탈출법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개구리에게 잡아먹혀도 포기하지 않고 항문으로 살아나오거든요.지난 8월 4일, 일본 고베대학교 생물학과 스기우라 신지 박사가 발표한 연구 결과랍니다. 연구팀은 참개구리에게 콩알물땡땡이 15마리를 먹이로 주고 관찰했어요. 그 결과, 먹이로 준 15마리 중 13마리가 4시간 이내에 참개구리의 ... ...
- [통합과학 교과서] 금도끼는 사양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이용해 개발한 스마트 소재예요. 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소재공학부 김지윤 교수와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권민상 교수 공동 연구팀은 8월 3일 자석을 이용해 모양을 자유자재로 바꿀 수 있는 스마트 소재를 발표했어요.연구팀이 개발한 스마트 소재는 유연한 플라스틱 같은 고분자 물질에 ... ...
- 우주 개척 시대의 열쇠는 민간 기업에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과감하게 우주 개발에 도전할 수 있죠.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최기혁 책임연구원은 “대학교에서는 우주 공간에서 기초 과학 실험을 수행하고, 산업체는 우주에서 사용할 제품을 생산하는 등,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고 얘기했답니다. ● 인터뷰 _박재필(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 ... ...
- [시사과학] 호박 화석, 연구 윤리 문제에 휘말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많은 고생물학자가 오쿨루덴타비스가 공룡이라는 주장을 반박하고 나섰지요. 서울대학교 고생물학연구실의 박진영 연구원은 “오쿨루덴타비스가 공룡이 아니라는 여러 증거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뺨에 있는 ‘방형협골’이라는 뼈가 없다는 것”이라며, “도마뱀과 뱀을 포함하는 파충류 무리인 ... ...
- 끈적끈적, 미끌미끌~! 생물막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길고 긴 장마와 무더위가 이어지는 이번 여름! 꿉꿉해서인지 화장실 바닥에 미끈거리는 물때가 생겨요. 열심히 닦아도 며칠만 지나면 새로 자라나요. ... 항공공학과 조교수), 황길수(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예방회복과학과 조교수), 김동엽(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치과학과 조교수), ... ...
- [특집] 생물막, 어떻게 만들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붙어버린 세균은 세포 분열을 하면서 작은 군락을 만들어요. 올해 7월,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분자생물학과 진보양 박사후연구원과 보니 베슬러 교수의 공동 연구팀은 콜레라*의 원인균인 ‘비브리오 콜레라(Vibrio cholerae)’ 군락이 생물막으로 성장하는 과정을 관찰했어요. 각각의 개체를 구분할 수 ... ...
이전165166167168169170171172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