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생물막, 제거하라! vs 활용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수 있는 입속 생물막은 어떤 종류의 미생물이 만들까요? 입속 생물막을 연구하는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치학교실의 김동엽 교수님께 여쭤봤어요. Q 우리 입속에는 어떤 미생물들이 생물막을 만드나요? 입속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부위는 크게 부드러운 조직과 단단한 조직으로 나뉩니다. ... ...
- [헥!헥!핵물리학자] 쪼개고 또 쪼개면 세계의 근본을 알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핵물리학자는 핵과 같은 미시세계를 탐구하며 물질의 근본을 찾아왔어요. 가속기와 검출기로 물질을 쪼개 더이상 나뉘지 않는 기본입자가 무엇일지 알아내는 실험을 했지요. 오랜 실험 결과, 과학자들은 세계가 17가지 기본입자로 이뤄져 있다고 보는 ‘표준모형’을 제안했어요. 표준모형은 기 ... ...
- [과학뉴스] 정자 운동, 좌우가 아니라 회전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결과가 나왔어요. 정자를 처음 관찰한 지 약 350년 만이지요.지난 7월 31일 영국 브리스톨대학교 헤르메스 가델하 교수가 이끈 공동 연구팀은 정자가 몸 전체를 회전하며 움직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가델하 교수팀은 1초당 5만 5천 프레임을 기록할 수 있는 초고속 카메라를 이용해 ... ...
- [가상인터뷰] 바이킹이 천연두를 전 세계에 퍼트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간 거라고! 치아에서 천연두가 발견됐다던데요? 지난달 23일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에스키 윌러슬레프가 이끈 국제과학팀이 바이킹의 이빨 화석에서 천연두 바이러스를 발견했다고 발표했어. 600~1050년 즈음 유라시아와 아메리카 대륙에 살았던 1867명의 바이킹 뼈 화석의 DNA를 수집해서 분석한 ... ...
- [특집] 세상 끈질긴 생물막, 극한 환경에서도 살아남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위한 ‘스페이스 바이오필름 미션’을 시작했어요. 연구를 주도한 미국 콜로라도대학교 볼더캠퍼스 루이스 제아 교수는 “우주에서 생물막의 형성 과정을 밝혀 우주비행사들의 생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지요 ... ...
- [만화뉴스] ‘겨땀’ 냄새의 원인을 찾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요크대학교 미생물학과 개빈 토머스 교수팀은 액취증을 유발하는 핵심적인 효소 물질을 발견했다고 7월 28일 발표했어요. 액취증은 겨드랑이에서 악취가 나는 증상으로, 겨드랑이에 살고 있는 세균이 땀을 분해해 악취를 내는 화합물을 만들기 때문에 나타나요. 연구진은 이전 연구를 통해 세균 ... ...
- [통합과학 교과서] 독약의 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법랑질의 정확한 구조와 특징을 알지 못했어요. 그러다 지난 7월 초,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재료학과 과학자들이 치아 표면의 법랑질을 원자 수준으로 자세하게 촬영하는 데 성공했어요. 연구팀은 치아를 관찰하는 데에 ‘주사전자현미경’과 ‘주사투과전자현미경’을 사용했어요. 두 현미경 ... ...
- [과학뉴스] 99.5% 빛을 흡수하는 물고기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월 16일, 미국 듀크대학교 연구팀은 ‘심해이빨흑고기(Anoplogaster cornuta)’를 비롯한 일부 물고기가 빛을 99.5% 흡수해 매우 검게 보이는 이유를 알아냈어요. 연구팀이 전자현미경으로 심해이빨흑고기의 피부를 관찰한 결과, 피부색을 결정하는 색소 덩어리 ‘멜라노솜’은 길쭉한 모양이었고, 서로 ... ...
- [만화뉴스] 카메라를 등에 짊어진 딱정벌레가 바라본 세상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월 15일, 미국 워싱턴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시암 골라코타 교수팀은 곤충의 시선으로 세상을 볼 수 있는 초소형 무선 카메라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이 이 장치를 딱정벌레의 등에 붙이고 주차장에 풀자, 120m 떨어진 연구진의 스마트폰에 딱정벌레가 찍은 주차장의 풍경이 전송됐지요 ... ...
- Let’s dance 인공지능, 안무가로 화려한 데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지난 6월 26~28일, 국립현대무용단은 인공지능이 만든 안무로 공연을 열었어요. 인공지능이 불러온 미지의 세계 ‘블랙’을 뛰어넘는다는 의미를 담은 작품이었지요. 온라인으로 상영된 이번 공연에서 선보인 안무는 미디어아트 그룹 슬릿스코프의 김근형 공학자가 개발한 인공지능 ... ...
이전1661671681691701711721731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