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포"(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프로그램으로 누구나 데이터를 이리저리 가공하면서 재미있는 연구를 해볼 수 있다. 암 세포 정보를 넣으면 암 유전자를 찾을 수도 있고, 피부에 사는 미생물이 무엇인지도 추적할 수도 있다. 천랩은 한창 성장 중이다. 천 교수는 천랩이 사람으로 치면 이제 초등학교 고학년 정도 되는 나이라고 ... ...
-
- [hot science] 버섯으로 집을 짓는다고?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띠는데, 세포의 핵이 1개인 상태에서 마찬가지로 핵이 1개인 다른 균사를 만나면 서로 세포벽을 융합시키며 핵이 2개인 새로운 균사를 이룬다. 이 과정이 여러 균사에 의해 무수히 반복되면(버섯 균사는 생장 속도도 빠르다), 셀 수 없이 많은 균사가 촘촘하게 3차원으로 결합하고 엉킨 복잡한 ... ...
-
- 우리는 외계에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수 있을까. 이것을 직접 실험해본 연구가 있다.영국 켄트대 연구팀은 바다에 사는 단세포 생물을 얼린 덩어리로 만든 뒤물을 향해 초속 7km로 발사했다. 지구와 비슷한 행성에 운석이 충돌할 때의 속도다. 그 결과 미생물은 전멸하지 않고 살아남았다.외계 미생물이 냉동 상태로 우주공간을 날아와 ... ...
-
- 마지막 한 방울 까지 소중히 해야 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정도 지난 뒤 흙을 가라앉히고 물의 투명도를 확인한다. 물 정화 과정 알기2 흡착 실험➊ 세포를 염색하거나, 산화-환원 반응을 알아볼 때 이용하는 메틸렌블루 용액을 숯에 붓는다.➋ 일정 시간이 지난 뒤 내려온 물의 색을 확인한다. 숯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구멍이 많아 메틸렌블루 용액의 ... ...
-
- 수학 모르면 괴물? 프랑켄슈타인의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3년 09호
- 것과 형태는 다르지만, 자기 모습을 복제하는 인공생명체가 탄생한 것이다.랭턴은 세포 하나가 주변에 있는 네 개의 세포로부터 영향을 받아 다음 단계의 상태가 결정되는 2차원 세포자동자를 만들었다. 세포의 상태도 0부터 7까지 8가지 상태이기 때문에, 각각의 숫자에 해당하는 색을 정해 ... ...
-
- Part 1. 출항 : 우주보다 복잡한 지도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원주(컬럼, 신경세포의 모음) 하나를 모사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내년까지 신경세포 수를 100배 늘려서 쥐의 뇌 전체를 모사할 예정이며, 2023년에는 사람의 뇌 전체를 모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휴먼브레인프로젝트는 유럽공동체(EC)가 2013년 선정한 ‘FET 플래그십 이니셔티브’의 최종 ... ...
-
- 초파리 ‘입맛’ 까다롭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찾아간다는 사실이 밝혀졌다.폴 개리티 미국 브랜다이스대 교수팀은 초파리의 신경세포에서 새로운 분자온도센서를 발견했다고 ‘네이처’ 8일자에 발표했다.이 센서는 맛과 냄새를 느끼는 단백질 그룹에 속해 있었다. 모기나 체체파리(흡혈파리)에도 존재하는데 지금까지 이산화탄소를 ... ...
-
- [hot science] 동물이 보는 세상, 들쥐 소변이 형광색으로 빛나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근처에서 찾을 수 있어 어느 깊이에서나 근시면 충분하다. 대신 시세포의 98% 이상이 막대세포다. 또한 고양이 같은 야행성 동물에 있는 ‘타페텀’이라는 반사판이 있어서, 망막 안에 들어온 약한 빛을 반사시 켜 재이용한다. 항상 빛을 최대로 흡수해야 하기 때문에 동공을 최대한 열고 거의 바꾸지 ... ...
-
- Part 3. 신세계 : 뇌 너머의 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우리 눈앞에 보이는 사진의 화소(픽셀) 하나하나도 뇌 시각피질의 각기 다른 신경세포에 전달된다. 이런 현상을 각각 ‘음위상(tonotopy)’과 ‘시각위상(visuotopy)’이라고 한다. 만약 우리가 뇌지도를 완벽하게 알고 있다면, 뇌의 청각피질, 시각피질에 전극을 붙이고 미세 전류를 흘려 환자가 듣거나 ... ...
-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새롭게 완성한 기술을 이용하면 수μg(마이크로그램) 정도의 시료만으로도 가능하다. 세포 수로 따지면 약 1000~5000개 수준이다. 박 연구원은 “이 정도 시료로 정확한 단백질체를 연구할 수 있는 실험실은 세계적으로 다섯 손가락에 꼽을 정도”라고 말했다. 뇌과학에서 시료를 적게 쓴다는 것은 ... ...
이전165166167168169170171172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