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꿰뚫어 보는 지하철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6호
지하철이 개통되었답니다.우리나라 지하철은 만 40살1974년 8월 15일은 우리나라 지하철이
최초
로 달린 날이에요. 지금의 1호선에 해당하는 서울역과 청량리 사이의 7.8km 구간이 처음으로 열렸지요. 이후 역과 선이 늘어나기를 40년. 이제 서울 지하철은 총 320km 이상의 긴 거리(광역 철도 제외)를 달리는 ... ...
달 연구 전문가 ‘지구가 더조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4호
4만km 속도로 달을 향해 날았다. 지구에서 출발한 지 사흘째인 7월 20일, 드디어 인간은
최초
로 달에 착륙했다….“캬~, 대단해! 그런데 뭐가 문제인 거죠?”미션1 달 착륙에 사용한 로켓은?“달 착륙이 거짓이라고 하는 사람이 많다네. 그러니까 썰렁홈즈가 똑같이 가서 확인해 보라는 거야.”세계적인 ... ...
환자는 의사에게, 의사는 수학자에게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물리학자 클로드 루이 나비어가 실험 결과를 토대로 식을 완성했다.이를 이용해 심장을
최초
로 수학적으로 분석한 사람은 미국 뉴욕대 부속 쿠랑 수리과학연구소의 찰스 페스킨 박사다. 페스킨 박사는 1977년 사람의 심장을 2차원 수리 모델로 표현하는 데 성공했다. 이 모델을 바탕으로 슈퍼컴퓨터로 ... ...
BRIDGE. 김기만 국가핵융합연구소 신임 소장 인터뷰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환호하기도 어려운 기묘한 진퇴양난의 늪에 빠졌다. 영국 원자력에너지연구소는
최초
의 주창자들을 직접 데려다 놓고 지도까지 받아가며 실험을 했지만 이 역시 성공하지 못했다.오늘날 전기분해 핵융합은 사실상 사망 선고를 받은채 막을 내렸다고 본다. 하지만 소수의 학자들은 여전히 ... ...
[잘 가르치는 대학이 뜬다 1] 숭실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실용이란 오랜 전통에 안주하지 않고 새로운 흐름에 도전하는 것이 아닐까. 우리나라
최초
로 컴퓨터학과를 만든 숭실대는 전통에만 안주하지 않고 또 다른 도전을 하고 있다. 봉천고개를 오르락내리락하며 기자가 만난 사람들은 역시 ‘숭실’이라는 이름에 걸맞은 사람들이었다 ... ...
PART5. 핵융합의 난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주전자가 보온 성능이 좋은 주전자다.이 원리를 핵융합 장치에도 적용해 보자. 온도가
최초
의 약 36%로 떨어질 때까지의 시간을 ‘에너지 가둠시간(confinement time, 이하 가둠시간)’이라고 한다. 핵융합에서는 플라스마의 온도가 1억K까지 올라가므로 온도가 3600만K까지 떨어지는 데 걸리는 시간이 ... ...
INTRO. 스페이스 임파서블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유럽우주국이 2004년 발사한 혜성탐사선이다. 10년의 대장정 끝에 작은 혜성 표면에
최초
로 탐사선을 내려 보내는 데 성공한 로제타의 이야기를 1파트에서 소개한다. 태양계 초기 생성조건을 밝히고, 물과 생명의 기원을 알아내기 위해 인류는 불가능해 보이는 작전들을 계획하고 있다. 로제타는 그 ... ...
PART2. 핵융합의 원리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설계 방식)을 기초로 한 수소폭탄을 개발해 1952년 11월 ‘아이비-마이크’라 불린
최초
의 핵융합 폭탄 실험을 했다. 그러나 군사 목적으로만 연구된 것은 아니었다. 같은 시대에 미국과 러시아, 영국, 프랑스 등의 많은 과학자들은 핵융합을 평화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연구 즉, 핵융합 에너지 연구를 ... ...
PART6. 핵융합 선진국의 주역 케이스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변방에 불과하던 한국은 승부수를 던졌다. 미국이 연구 축소로 주춤하는 틈새를 노려
최초
의 초전도 토카막인 케이스타를 건설하기 시작했다. 우여곡절도 많았다. 중국은 뒤늦게 다른 재료를 쓰는 초전도 토카막 장치 ‘이스트(EAST)’를 개발하며 케이스타를 추격하기 시작했다. 중국은 나이오븀 ... ...
PART7. 인류의 꿈이 모였다 이터(ITER)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필요한 규모와 거의 같다. 이터는 스스로 타면서 핵융합 에너지를 만들 수 있는
최초
의 핵융합 실험로다. 한번 가동을 시작하면 최대 2억K의 고온 플라스마가 400초 동안 꺼지지 않고 계속 에너지를 만든다. 필요한 것은 연료(중수소와 삼중수소)와 약간의 외부 에너지다. 이터는 투입되는 외부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