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초"(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벤델슈타인 7-X(W7-X)다. 이 장치는 UFO같은 복잡한 외양에 거대한 규모를 자랑하며 2015년 최초로 가동할 예정이다.스텔러레이터는 토카막과 쌍둥이처럼 닮았다. 외형만 비슷한 게 아니다. 태동과 기술 발전 역사도 밀접하게 닮아 있다. 신소재, 플라스마 정밀제어, 고출력 가열 및 전원 기술, 고정밀 ...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잘 나갈 만한 분야로 꼽는 게 바로 소행성 채굴이다. 2005년이토가와 소행성에서 세계 최초로 미립자를 반입하는 데 성공한 일본은 11월 30일 두 번째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2’를 발사할 계획이다. 하야부사2는 ‘1999JU3’ 소행성에서 시료를 채취해 2020년 귀환할 예정이다. 영화에서나 보던 우주 ... ...
- [life & tech] 운석 연구하면 ‘□’를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지구 근처에 있는 소행성을 채취했습니다. 운석이 소행성에서 왔다는 직접적인 증거를 최초로 확인했죠.우리나라에서도 올해 운석이 매우 뜨거운 논쟁거리였습니다. 진주운석 말이에요. 우라늄-납 동위원소의 반감기를 이용한 연대측정 결과, 진주 운석의 나이가 태양계 나이와 유사한 45억9700만 ... ...
- PART5. 핵융합의 난관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주전자가 보온 성능이 좋은 주전자다.이 원리를 핵융합 장치에도 적용해 보자. 온도가 최초의 약 36%로 떨어질 때까지의 시간을 ‘에너지 가둠시간(confinement time, 이하 가둠시간)’이라고 한다. 핵융합에서는 플라스마의 온도가 1억K까지 올라가므로 온도가 3600만K까지 떨어지는 데 걸리는 시간이 ... ...
- PART7. 인류의 꿈이 모였다 이터(ITER)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필요한 규모와 거의 같다. 이터는 스스로 타면서 핵융합 에너지를 만들 수 있는 최초의 핵융합 실험로다. 한번 가동을 시작하면 최대 2억K의 고온 플라스마가 400초 동안 꺼지지 않고 계속 에너지를 만든다. 필요한 것은 연료(중수소와 삼중수소)와 약간의 외부 에너지다. 이터는 투입되는 외부 ... ...
- INTRO. 스페이스 임파서블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유럽우주국이 2004년 발사한 혜성탐사선이다. 10년의 대장정 끝에 작은 혜성 표면에 최초로 탐사선을 내려 보내는 데 성공한 로제타의 이야기를 1파트에서 소개한다. 태양계 초기 생성조건을 밝히고, 물과 생명의 기원을 알아내기 위해 인류는 불가능해 보이는 작전들을 계획하고 있다. 로제타는 그 ... ...
- [life & tech] 화장품 바르다 나노 중독 될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중금속처럼 먹이사슬을 따라 여러 차례 전달될 수 있다는 사실을 시각 증거로 최초로 확인해 ‘나노톡시콜로지(Nanotoxicology)’라는 학술지에 발표했다. 원생동물인 유글레나와 동물플랑크톤인 모이나물벼룩, 어류인 제브라피시로 이뤄진 3단계 먹이사슬에서 유글레나에게 먹인 형광 나노물질을 ... ...
- 봉 지아, 브라질 월드컵!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나이키는 이번 월드컵에서 태극전사들이 입을 유니폼을 공개했어요. 이번 유니폼은 최초로 상의와 하의, 그리고 양말까지 모두 플라스틱 병 18개를 재활용해 만들었지요. 기존 유니폼보다 20%나 가볍고, 통풍구가 나 있어 바람이 잘 통해요. 등번호에도 미세한 구멍을 촘촘하게 뚫어 땀을 바깥으로 ... ...
- [생활] 이슬람의 기하학 패턴을 찾아, 말레이시아로!수학동아 l2014년 11호
- 믿기 시작했어요. 그러다가 1511년 포르투갈이 술탄국을 무너뜨리자 말라카는 아시아 최초의 유럽 식민지가 됐지요. 그 뒤에도 서구 열강들의 침입이 계속되면서 말라카는 1641년에는 네덜란드, 약 200년 뒤인 1867년에는 영국의 소유가 되었답니다. 그리고 20세기에 이르러서는 말레이시아가 일본의 ... ...
- 명예기자와 기자단이 만나 제주에서 우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진출은 눈부신 속도로 영역을 넓혀가고 있답니다. 보이저 1호는 인류가 만든 물체 가운데 최초로 태양계 밖으로 나갔고, 여러 행성과 위성에도 무인 탐사선이 착착 내려앉아 매일 새로운 정보를 보내 주고 있지요. 우리나라도 2020년 달에 탐사선을 보내기 위해 한창 준비 중이랍니다.성훈이와 가은이 ... ...
이전166167168169170171172173174 다음